d라이브러리
"생명"(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 줄기세포 혁명? 또 한 번의 악몽?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다른 세포로 분화하기 쉽고, 환자 체세포로 만들어 면역거부반응이 없다. 생명윤리 문제에서도 자유롭다. 그러나 치료용 세포로 만들어 몸에 주입하면 극소수의 미분화세포로 인해 암이 생길 위험이 있다.스탭줄기세포는 체세포복제배아줄기세포와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장점만 합쳤다. 난자를 쓰지 ... ...
-
- 우리 학과 뭘 배우지?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나노, 신소재, 생명공학과 환경공학이 융합되는 추세입니다.요즘 대세는 나노!최근 화공생명공학 연구실 이름을 살펴보면 대부분 앞에 ‘나노’가 붙습니다. 그만큼 100nm 이하의 작고 얇은 물질을 합성하고 조립, 제어하는 기술이 인기가 많다는 뜻입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물질도 나노크기의 ... ...
-
- 외계인도 잘 생겨야 하는 더러운 세상...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침팬지는 당연하고, 식물만 해도 사람과 수십%의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지구의 생명체가 모두 똑같은 조상에게서 나왔다는 데는 이제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또, B급 SF나 판타지에서는 외계인-인간 혼혈을 등장시키기도 하고 그럽니다. 재미있자고 만든 설정이겠지만, 이제는 식상하죠. ... ...
-
- 수학교과서에 오류 있다?!수학동아 l2014년 03호
- 수학과 황선욱 교수는 “앵무조개와 같이 자연에서 발견할 수 있는 황금비의 예는 생명체의 성장패턴을 황금비로 볼 수 있다는 관점이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교과서를 집필하는 과정에서 근거가 부정확한 수학사를 걸러내기 위해 더 확실한 사례를 발굴하는 등 많은 노력이 ... ...
-
- 총에 맞아도 15초면 지혈 끝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영화 속 주인공이 총을 맞고 쓰러진다. 옆에 있던 동료가 옷감을 찢어서 감아주며 흘러나오는 피를 막으려고 애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주인공은 장렬히 죽고 만 ... 스테인바흐는 “전쟁에서 가장 주된 사인은 과다출혈이므로 군수품으로 보급하면 많은 생명을 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 새하얀 얼음 사막 위의 안식처에 가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얼룩덜룩 무늬를 만드는 지의류와, 바위 틈에서 푸른 색을 내며 자라는 이끼를 보면 생명의 경이로움이 느껴진다(이끼를 자세히 보기 위해 장갑을 뺐다가 손시려워 죽는 줄 알았다!). 특히 지의류는 지표 생물이다. 남극의 춥고 건조한 환경에 적응한 움벨리카리아나 부헬리아 종의 분포에 따라 남극 ... ...
-
- 박테리아 VS 바이러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전자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어요. 또 바이러스는 다른 생명체에 기생하지 않으면 아무런 생명 활동도 하지 못해요. 그래서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으로 보기도 하지요. 게다가 바이러스는 사람의 몸에 들어와서 이로운 일은 하나도 하지 않고 병만 일으킨답니다 ... ...
-
- Robot 수학으로 생명을 불어넣다 !수학동아 l2014년 03호
- 팔과 다리를 가진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을지도 모르겠군요. 이처럼 로봇 기술은 생명과학과 첨단 공학 기술, 그리고 수학의 융합으로 더욱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미래에는 어떤 로봇들을 우리 주변에서 발견할 수 있을까요? 제가 선정한 미래 로봇들을 소개하면서 오늘 이벤트를 ... ...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분명 거시계다. 당신이 두 개의 구멍을 동시에 지난 적은 없지 않은가. 아메바 같은 생명체는 거시계인 거 같다. 그렇다면 분자량이 5800 정도 되는 인슐린은 어디에 속하나? 애매한가? 만약 원자 1000개가 경계라고 하자. 그렇다면 원자 1000개까지는 두 구멍을 동시에 지나다가 1001개가 되면 하나의 ... ...
-
- 겨울은 사랑을 부르는 ‘도파민’의 계절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못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의지와 관계없이 신체를 제대로 제어하지 못하게 되며, 폐처럼 생명과 직결된 기관과 신호를 제대로 주고 받지 못하면 죽음에 이르게 된다 ... ...
이전1961971981992002012022032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