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포
후미
d라이브러리
"
작은 만
"(으)로 총 4,301건 검색되었습니다.
캐나다 옐로나이프의 오로라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건조하다. 오로라를 덮을
만
한 구름 한 점 없이 맑은 날씨가 ... 차리고, 그 주변에서 재잘거리는
작은
소리에 귀 기울여 보자. 하늘에 ... 한쪽 발인 리겔이다. 청색별로 약 1
만
℃나 돼 오리온자리에 있는 별 가운데 가장 밝다. 오리온자리는 옆에
작은
개자리가 있고 앞에 황소자리가 있어, 마치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생각했다.그러기 위해 블랙홀은 큰 것보다
작은
것이 더 좋다. 블랙홀이 작을수록 블랙홀이 내놓는 호킹 복사가 많기 때문이다. 그
만
큼 추진력도 커지는 셈이다. 물론
작은
것이 무조건 능사는 아니다. 너무 작으면 큰 에너지를 너무 짧은 시간에 내놓기 때문이다. 자칫 우주여행이 끝나기 전에 ... ...
일본 이리오모테 섬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예방한다고 하니 맹그로브는 새끼를 기를 뿐
만
아니라 다양한 생물이 살 수 있도록 생태계도 ... 난리다. 갯벌에 수없이 나 있는 구멍 속에서는
작은
농게들이 숨어 이방인의 출현을 경계하고 있다. 이렇게 섬의 다양한 생물을
만
나는 것이야말로 에코투어의 백미가 아닐까.이리오모테 섬은 ‘동양의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입체적인 몸을 안정적으로 감싸는 데 주름
만
큼 적절하고 손쉬운 방법은 없다.옷감 한쪽에 ... ‘사 폭’이라는 천 조각을 이용해 그런 바지를
만
들었다.한복 바지를 바닥에 펼쳐 놓고 보면 모두 ... 사이 가랑이 부분에 해당하는 ‘큰사폭’과 ‘
작은
사폭’ 두 조각이다. 옷감은 기본적으로 ... ...
어흥~! 한국호랑이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동물원은 우리가 놀러가는 곳이기도 하지
만
, 자연 서식처를 잃은 멸종 위기 동물들이 다시 ... 들어 야생에서 는 사냥에 성공하는 날도 있지
만
실패하는 날도 있다. 그래서 매주 금요일은 ... 한다. 또 사냥하는 법을 잊지 않도록 우리 안에
작은
동물을 넣어 줄 때도 있다.친척하고는 결혼 ... ...
신체지수 속의 편안함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밑단을 더 내야 했다. 한국의류학회는 공장에서
만
들어 나온 남성용 정장의 43%, 여성용 정장 상의의 ... 178.1cm인 영국보다 5cm, 176.5cm인 프랑스보다는 3cm
작은
수준에 불과하다. 키와 얼굴 길이를 비교한 ... 팔다리도 길어지는데 과거의 신체치수로 옷을
만
들면 수선의 번거로움
만
더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천천히 무너지기 시작해. ”강이 된 도로!지하에
만
든 배수관도 녹이 슬어 부서지거나 막히면서 ... 각각 ‘삼청동천’과 ‘백운동천’ 이라는
작은
개울물이 흐르고 있었다. 하지
만
도시가 개발되면서 개울물이 흐르던 자리가 건물로 메워졌기 때문에 물은 도로 가장자리를 따라 흐르게 됐다. ... ...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제사령부. 지하 상황실 대형 전광판에
작은
점 하나 가 깜빡이기 시작했다. 모니터 속
작은
점은 몇 번 깜 박이더니 잠시 뒤 사라졌다. ... 남해를 초계 중인 조기경 보기에 비상을 알렸다.
만
에 하나 위성이 떨어졌을 경우를 대비해 낙하물이 있는지 확인하도록 했다.세계 위성을 감시하고 있는 ... ...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교수는 우리나라가 도로나 항
만
같은 사회기반시설(SOC)에 투자한 ... 말한다. 그 결과 여름마다 크고
작은
수해를 입고 겨울과 봄에는 ... 정비의 필요성은 늘 제기돼왔지
만
예산 문제로 번번이 다른 SOC 사업에 ... 하천에 도입될 스마트 기술은 이미
작은
규모에서는 실행되고 있습니다. 바로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
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된 셈. 물방울은 기름이 뿌려진 판 위에서
만
들어지기 때문에 달라붙지 않고 형태를 유지했다. 물방울이 증발하면
작은
나노입자들이 모인 큰 구형 입자가
만
들어졌다. 이 구형 입자는 나노입자들이 규칙적인 크기와 배열로 모여 있기 때문에 광결정으로 이용할 수 있다.물 대신 빛을 쬐면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