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끝"(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 캐럴 그레이더 박사 "무한반복 실험 즐겼더니 노벨상 받았죠"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정상이다. 반대로 텔로머라아제가 지나치게 활성화 된 경우가 바로 암세포다. 염색체 끝의 텔로미어가 줄지 않기 때문에 세포도 죽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분열하는 것이다.그레이더 교수, 블랙번 교수, 조스택 교수는 이처럼 텔로머라아제를 이용해 세포 수명을 조절하는 원리를 밝힌 업적으로 2009년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여름내 산길에 밟히는 흔한 꽃입니다. 7월에서 9월까지 피는 여러해살이 풀이죠. 줄기 끝 혹은 잎 겨드랑이에 서 가늘고 긴 꽃대가 올라오고 작고 노란 귀여운 꽃들 이 마치 벼 이삭처럼 줄줄이 달립니다. 산길에서 만난 다면 아무 생각 없이 짚신나물이려니 하겠지만, 우리나라 특산인 산짚신나물인 ... ...
- 생활 속 고민거리, 통계로 풀어 보세요!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실태를 조사한 결과, 가장 흥미로웠던 점은 무엇인가요?조사 결과 62%의 학생이 지우개를 끝까지 쓰기 전에 버리거나 잃어버리고, 48% 학생들이 2주 안에 새 지우개로 바꾸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이런 낭비는 고학년으로 갈수록 심해졌지요. 저희는 저학년 때부터 지우개 관리에 대한 교육을 ... ...
- 김주황의 악당예찬2 -바이오닉 암보다 접합부가 문제 윈터솔져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더욱 복잡해진다. 사람의 관절은 x, y, z축과 깊이까지 총 4개의 축으로 움직인다. 손가락 끝에 젓가락을 묶은 뒤, 그 젓가락으로 무엇이든 집어 보자. 젓가락이 빠지던가, 손가락에 피가 통하지 않든가 둘 중 하나다. 이 때문에 아무리 뛰어난 의수를 개발하 더라도 아직은 늘 몸에 붙이기 힘들다. 가슴 ... ...
- 김주황의 악당예찬7 - 순식간에 재생하는 암줄기세포? 익스트리미스 군단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문제가 있다’는 뉘앙 스의 대사가 나온다. 텔로머라아제는 세포가 분열할 때 염색체 끝을 보호하면서 세포가 죽지 않도록 유지시키 는 효소다. 익스트리미스를 맞아 개조된 세포는 아무리 분열해도 노화가 일어나지 않고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 는 상태에 고정된 셈이다. 게다가 심장 같은 장기가 아 ... ...
- 피아노 VS 파이프오르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건반악기도 있다?작은 피아노처럼 생긴 하프시코드(쳄발로)는 건반을 누르면 건반 끝에 달려 있는 가죽인 플렉트럼이 현을 튕기면서 소리를 내요. 그래서 기타처럼 ‘챙챙’거리는 소리가 나지요. 현을 두드리는 대신 튕기는 원리이므로 손가락의 힘을 조절해도 피아노처럼 음을 여리거나 세게 칠 ... ...
- 김주황의 악당예찬1 - 배터리가 된 인간 일렉트로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공간에 몰리는 전 기를 넓게 퍼뜨려 피해를 줄이는 물체다. 일렉트로가 뿜어내는 전기를 끝이 날카로운 곳(피뢰침)으로 유도만 하면 된다. 게다가 그렇게 유도된 고압 전기는 미리 깔 아둔 거미줄로 넓게 퍼뜨려 피해를 막을 수 있다.활동하는 동네는 다르지만 일렉트로는 스파이더맨의 적인 해리 ... ...
- Part 1. 오늘 밤에도 동대문에 은빛 우주선이 내려온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전해지도록 했다. 1mm의 오차도 없이 마치 스위스 시계처럼 정교하게 작업했다. 우여곡절 끝에 2만5000장의 삼각형 유리를 다 끼우는 데 성공했다. 30개월 만에 탄생한 세계 최초의 원반형 건물이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그대, 살아서 꿈틀대는 동해를 보았는가PART1. 동해 해저에 거대 ... ...
- 절벽에 매달려 꿀을 따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이렇게 원시방법 그대로 절벽에서 꿀을 수확하는 부족들이 살고 있다.❷ 막대 끝에 걸린 달콤함올해로 62살인 꿀벌 사냥꾼 마리는 40년째 이 일을 하고 있다. 능숙하고 재빠른 손놀림으로 대나무 막대를 움직여 벌집에서 꿀을 꺼내 양철통에 담는다. 주민들이 성스럽게 여기는 이곳 ‘데바 베리아’ ... ...
- [knowledge] 유전자에도 피부색이 있는가 ‘인종의학’ 논란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너와 나’를 구분 짓고 나아가 ‘나는 너보다 우월하다’는 차별 의식으로 발전한 끝에 나타난 것은, 18~19세기의 노예무역이나 20세기 나치의 인종청소 등 우울하고 끔찍한 역사였을 뿐이다.과학이 인종 개념을 되살린다?인종은 사망선고를 받았지만, 완전히 죽지는 않았다. 특히 최근에는 ... ...
이전197198199200201202203204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