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료소
의원
hospital
병원미생물
미생물
사설병원
사설
d라이브러리
"
병원
"(으)로 총 2,597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질병, 최면으로 치료한다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필요 없이 일방적으로 최면을 걸고 암시만 주어도 치료가 잘 된다. 변박사는 자신의
병원
에서 행하는 일반적인 최면치료과정을 단계별로 컴퓨터에 입력시킨 후에 자동응답전화(700-6995)로 연결했다.전화 최면치료는 이용자가 집에서 스피커 폰 혹은 핸스프리 폰으로 안내에 따라하기만 하면 되도록 ... ...
입맛의 생리학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많은 직장인과 학생들이 바쁜 아침 시간에 쫓겨 식사를 거르는 경우가 많다. 몇몇 연구에서 따르면 아침 식사를 거를 경우 점심 무렵에는 허기가 져서 일과 학습의 능률이 떨어지고 점심과 저녁 식사를 허겁지겁 많이 먹게 된다. 그래서인지 아침식사를 하는 인구 집단에서 아침을 거르는 인구집단 ... ...
Ⅰ. ①두뇌: 남자 좌우 뇌 차이 크다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남성과 여성의 뇌는 같을까 다를까. 약간 다르다. 우선 무게가 다르다. 서구의 한 연구에 따르면 성인 남성 뇌의 평균 무게는 1천4백50g으로 여성 1천2백50g 정도에 비해 조금 무겁다. 한때 이 사실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두뇌가 우월하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데 사용됐다.그러나 이 주장은 별다른 근거 ... ...
절반의 행복 잃어버린 독일과학의 수호자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젊은 과학자들이 전쟁 활동에 참여한 것처럼 플랑크의 두 아들도 전쟁터로 갔고 두 딸은
병원
에 배치됐다. 플랑크는 이 전쟁에서 큰 아들을 잃었다.플랑크 자신도 애국심에서 정치적인 일에 끼어들었다. 1914년 각 신문에 발표된 ‘지식인 93인의 호소문’이란 선언에 서명한 것이다. 이 호소문은 독일 ... ...
10대들의 고민 키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수 없었어요. ” 김양은 자신의 심경을 솔직히 털어놨다.그러던 중 1년 반전에 대학
병원
에서 키가 커지는 수술을 받았다. 154 cm 였던 키가 160 cm가 돼 무척 행복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 행복도 잠시. 3개월 후 거리를 무심히 지나치다가 다리에 넣은 핀이 부러져 두번째 수술을 받았고, 이 때문에 휘어진 ... ...
성인 뇌세포 세계 최초로 시험관 배양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주제의 하나다. 3백여편의 논문김교수가 평생 달려온 길은 '기초중의 기초' 분야다.
병원
을 개업해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다른 의대 출신에 비해 아무래도 어려움이 많다."가끔 집사람이 그런 얘기를 해요. 동기나 선후배는 의사로 잘나가거나 대통령 후보로 나서고 그러던데 당신은 젊은날 그렇게 ... ...
인간의 정자를 생산하는 쥐 등장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멜버른 왕립 여성
병원
의 로저 쇼트는 미국 국립보건학회에 쥐에서 인간의 정자를 성장시키는 자신의 이론을 확증할 실험동의를 요청해두고 있다. 그는 “쥐에게서 만물의 영장인 사람 정자를 생산해내는 일이 가당치도 않다고 생각하겠지만, 곧 많은 사람들이 내 생각을 받아들이게 될 것”이라고 ... ...
이별의 씨앗이 된 현미경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코흐는 탄저병에 걸린 동물로부터
병원
균을 분리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한종류의
병원
균만을 순수하게 배양하는 방법을 더욱 면밀히 다듬을 수 있었다. 이 때부터 코흐는 유명세를 톡톡히 치뤄야했다.탄저병 연구로 명성을 얻은 코흐는 이제 일반환자를 진료할 짬이 없었다. 대신 연구를 계속했고, ... ...
봄철 꽃가루 알레르기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바람직하다.청년기는 알레르기 안식년"우리 아이는 오래전부터 알레르기 천식으로 여러
병원
에서 치료를 받아 왔습니다만, 크게 좋아지는 걸 느낄 수 없습니다. 몇몇 의사선생님들께서 나이가 들면 자연히 좋아진다고 해 증상이 있을 때마다 치료를 하면서 자연히 좋아질 때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 ...
Ⅰ 생명체 곰삭이는 자연의 분해자: 버섯은 곰팡이 일종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어느새 조직을 파괴하는 병균으로 변모한다.이런 면에서 신영오 교수(강원대 의대·
병원
성미생물학)는 "사람의 적은 기생성 곰팡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실상 곰팡이 전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몸을 호시탐탐 노리는 기회주의자들에게 사람이 대책 없이 노출된 셈이다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