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금일
현재
오늘날
지금
요사이
이날
당일
d라이브러리
"
오늘
"(으)로 총 2,578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노보드에 숨겨진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스노보더. 형형색색의 보드복은 흰 설원과 어울려 ‘이보다 더 멋있을 수 없다’.
오늘
은 뭘할까 고민하며 뒹굴거리던 과동이는 TV 속의 이 장면을 보는 것만으로 벌써 온몸의 스트레스가 풀리는 것 같다. 올해는 꼭 스노보드를 배워보리라 결심한 과동이는 자리를 박차고 일어났다. 우선 스노보드 ... ...
두나무 가지 이어져 한 몸 된 연리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기록상으로는 처음 모습을 보인 연리지의 출현은 21세기의 첨단 과학문명 시대에 들어선
오늘
에도 전설로만이 아니라 분명 길조로 다가오는 느낌이다.그래서 새롭게 찾아진 연리지가 연인, 부모와 자식, 통치자와 국민, 그리고 부자와 빈자 사이 모두를 묶어‘사랑나무’로 승화시키는 계기가 ... ...
소비자를 유혹하는 제품의 패션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쌓여있는 진열대 앞에 서보자. 평소 같으면 어떤 껌이 좋을지 몇번을 만지고 고민하지만,
오늘
은 ‘이게 과연 껌일까’ 의문이 드는 동그란 통에 바로 손이 향한다. 다른 껌들보다 좋은 향이 나는 것도 아닌데 왜일까.일단 색다르고 독특한 포장으로 덮여있는 제품은 눈에 띈다. 직사각형 포장 일색인 ... ...
토정비결 과학인가 재미인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하는 한국의 실정에 비쳐보면 한심스러운 일이다.인간이 점을 치기 시작한 것은 어제
오늘
의 일이 아니다. 옛날 사람들은 어려운 일이 있을 때면 으레 신에게 부탁하거나 점을 쳤다. 여기에는 한결같이 운명은 초인적인 존재, 이를테면 신이나 하늘이 이미 정해놓은 것이라는 생각이 깔려있다. 고대 ... ...
위대한 유산 과학을 남긴 가문 - 캐번디시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그 결과 폭넓은 대중은 처음으로 과학과 만날 수 있게 됐다.캐번디시 가문의 과학사랑은
오늘
날에도 멈추지 않고 있다.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경계 쯤에 해당하는 체스터셔 지방에는 채트워스라는 이 가문의 본가가 있다. 시내에서 차를 타고 두시간 쯤 들어가야 하는 아주 깊숙한 곳에 위치한 ... ...
한국여성 과학계 참여 10%도 못미쳐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박사를 취득했다. 이후 곧바로 휴스턴대에서 연구교수로 2년간 재직했다. 국내에 들어와
오늘
까지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 재직중이다.김박사는 지난 10여년간 전자부품과 리튬전지에 응용되는 전도성 고분자 소재를 연구개발하고 있다. 특히 정보기록매체와 광스위치에 응용되는 첨단 ... ...
Ⅰ 디지털 르네상스 주도할 쌍두마차 : ② 몸에 존재하는 자연산 슈퍼컴 DNA컴퓨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원하는 정보를 가공할 수 있는 DNA컴퓨터는 아직까지 요원해보인다. 이는 세계 곳곳에서
오늘
도 DNA컴퓨터의 현실화를 위해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수많은 과학자의 몫일 것이다 ... ...
Ⅱ 놀고 있는 컴퓨터 그물망으로 엮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그리드 컴퓨팅의 개념과 현주소, 그리고 이에 따른 컴퓨팅 패러다임의 변화를 짚어보자.
오늘
하루 12군데의 대리점을 방문해야 하는 영업사원 K씨. 본사에서 가장 가까운 곳부터 들러야겠다는 계획을 세워보지만 언제 다 돌아볼지 막막한 심정이다. 시간과 거리를 꼼꼼히 따져봤지만 내가 선택한 ... ...
잃어버린 기억을 몸에 새기다 메멘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솜씨는 잃어버리지 않고 간직할 수 있었을까. 기억에는 몇가지 종류가 있다. 첫번째는
오늘
아침 식사 때 무엇을 먹었는지, 지난 주 친구와 무슨 대화를 나눴는지를 기억하는 일처럼 ‘시간과 연관된 기억’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과거사에 관해 방대한 기억을 갖고 있고, 그런 과거 경험이 ... ...
3 교육 : 차세대 나노주자 위한 소우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원자수준의 표면윤곽을 얻기가 현재는 매우 어렵다고 토로했다.“같은 시료를 두고
오늘
본 SPM 사진과 내일 본 SPM 영상이 다르다. 아니 매번 다르다고 말할 수 있다. 그 이유는 SPM의 탐침이 단지 원자 몇개로 구성돼 있어 쉽게 손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랜 시간 동안 SPM을 다뤄본 사람만이 제대로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