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승인
수긍
긍정
승낙
시인
친절
허락
d라이브러리
"
인정
"(으)로 총 3,017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국내 연구진 벼·배추·고추에 주력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컨소시엄'(Brassica Genome Consortium)이 결성됐는데,이는 세계적으로 한국의 식물게놈연구가
인정
받는 계기가 됐다.식물게놈연구 4단계식물게놈프로젝트는 전체 염기서열의 분석을 통해 유용한 유전자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식물게놈의 연구는 유전자지도(Genetic map)작성,물리지도(Physical map)작성 ... ...
최첨단 컴퓨터 기술의 경연장 컴덱스 2000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21세기 정보통신기술(IT)의 첫흐름을 보여준 ‘추계 컴덱스 2000’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11월 13일부터 17일까지 총 5일간 개최됐다. 정보통신기술의 새로운 방향을 가늠할 수 있 ... 를 선보여 모바일 제품상에서 '베스트 오브 컴덱스' 최종심사까지 올라 세계적인 기술력을
인정
받았다 ... ...
2. 모솔왕의 대형무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아버지로도 알려졌으며,당대에 이미 예술 분야에서 진정한 혁명을 일으킨 예술가로
인정
받았다.이런 점을 감안할 때 피데오스는 헬레네 시대의 진정한 건축가라고 볼 수 있다.모솔레움이 피데오스의 작품이라는 자체만으로도 세계의 불가사의에 들어갈 수 있다는 뜻이다 ... ...
냄새의 신비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해도 1만여가지가 넘기 때문이다. 원취가 확정되지 않는 이상 모든 사람이 공통적으로
인정
하는 냄새를 정의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4.사람에게도 페로몬이 존재할까 후각상피에서 페로몬 수용체 유전자 확인독일 사람은 누군가를 싫어할 때 “그 사람 냄새 못맡겠다”고 말한다. 자신과 다른 ... ...
두뇌의 환각현상? 실재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있습니다.칼 나는 아직도 UFO 현상이 현재 수준으로 완벽히 설명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
합니다. 그렇다고 UFO가 외계인이 타고온 최첨단 우주선이라는 식의 주장을 수용할 수는 없어요. 아마 우리가 지구 대기 현상을 좀더 잘 이해할 수 있을 때 이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2. 로스웰 UFO ... ...
샴쌍둥이 분리수술 생명윤리의 딜레마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이것도 인위적인 것이기는 하지만 산모와 태아의 생명과 생명에 대한 권리에 차이를
인정
하는 것이다. 그러면 조디와 메리의 관계가 산모와 태아의 관계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을까. 적어도 필자는 그러한 근거를 제시할 수 없다. 따라서 조디의 생존을 위해 메리의 희생을 결정할 권리는 메리 자신 ... ...
Ⅱ. 한국과학자가 계기 마련한 올해화학상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교수의 수상소식에 변 박사는 잠을 이루지 못했다고 고백했지만 그의 업적을 선선히
인정
했다. 처음 발견은 자신이 했지만 그뒤 10여년 간 계속 이 연구에 매달린 사람은 시라카와 교수였기 때문이다. 다만 시라카와 교수가 당시 상황을 얼버무리는 것이 섭섭하다고 한다.아인슈타인, 상금을 ... ...
외계인 피랍체험의 진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않다는 것이 존 맥의 얘기다. 그가 피랍 체험을 털어놓는 사람들의 이야기에서 진실성을
인정
하는 기준은 ‘체험자들이 그 일을 얼마나 실제처럼 느꼈는가’와 ‘그것이 자신에게 제대로 전달됐는가’ 하는 사실 뿐이다.구체적인 단서 못찾아 이 문제에 대해 칼 세이건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순수물리 아성 깬 '응용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다른 대부분의 역대 수상자들이 그랬듯 자신이 이미 30-40여년 전에 이룩한 업적을 뒤늦게
인정
받은 경우이다. 따라서 일반인이 보기에는 예년과 별다름 없는 평이한, 매년 있어온 연례적 수상자 발표의 하나라고 생각할 수 있다.상업성과 실용성에 무게 실어하지만 면밀하게 선정 이유를 들여다보면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뇌 신호전달 매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짧은 기간에 이뤄진 것이 아니다. 30-40년에 걸쳐 꾸준히 연구했고, 결국 그 노력이
인정
을 받게 된 것이다. 이들의 연구는 심리학의 영역으로 인식된 학습과 기억현상이 자연과학적인 차원에서 해석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복잡한 뇌의 기능을 간단한 신호전달과정을 통해 설명해준 것이다.또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