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류
전심
전념
용병술
전압
전원
뉴스
"
전력
"(으)로 총 2,292건 검색되었습니다.
[열린 시선]‘美 NRC 인증’ 첫 관문 통과한 한국 원전 기술
동아일보
l
2015.03.17
및 기술 공급사 지위를 인정받는 중대한 성과를 이뤄냈다. 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
전력
공사가 공동 제출한 APR1400 원전의 설계인증 신청문서를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가 본심사에 착수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는 NRC가 미국 내 건설 대상 원전으로 APR1400을 인증하기 위한 절차를 시작했음을 ... ...
구글 글래스 뛰어넘는 ‘케이-글래스2’
2015.03.10
구글 글래스를 사용할 수 없는 곳에서도 눈동자만으로 작동이 가능하다”며 “초저
전력
설계로 24시간 이용할 수 있는 것 또한 강점”이라고 설명했다. 오른쪽 눈 옆에 달린 시선추적이미지센서 덕분에 시선만으로 마우스 커서를 조작하고, 윙크를 통해 클릭이 가능하다. - KAIST ... ...
갤럭시s6 탁자에서 충전?… 앞으론 자동충전 세상온다
2015.03.05
보내는 우주태양광 발전에도 이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전력
의 상당 부분이 전송되는 도중 사방으로 사라져 효율이 낮고 인체에 해롭다는 단점이 있다. ... ...
사우디아라비아 수출하는 원자로 ‘스마트’
2015.03.04
중소형 원전을 설치해 직접
전력
을 공급하는 방식이 효율적이다. 스마트에서 생산하는
전력
중 10%는 해수담수화에도 사용될 전망이다. 원자로 한 기당 10만 명 규모 도시에 물 4만 t을 공급할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에 1400MW(메가와트)급 한국형 원전 4기와 요르단에 ... ...
차세대 저
전력
‘스핀-오빗 메모리’ 개발
2015.03.03
SiO2) 등을 쌓아 나노자석을 만든 뒤 이 나노자석이 산화되는 정도를 조절해 구동
전력
을 절반 이하로 낮춘 차세대 스핀-오빗 메모리를 제작했다. 이번에 개발한 스핀-오빗 메모리는 기존 메모리와는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해 1나노초(ns) 이하에서도 구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보저장용 ... ...
‘킬링필드’ 상처 어루만지는 따뜻한 과학 원조
2015.02.27
자원이 풍부하지만 식품 가공 기술이 없어 농민들이 수익을 얻기 힘든 상황”이라면서 “
전력
사정도 좋지 않아 농업에 에너지 기술을 연계한 적정기술을 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종복 최고기술책임자(CTO)는 개소식에서 겨울철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현지형 난로와 화덕을 공개했다. ... ...
일본 규모 6.9 지진, 원자력 발전소 이상 없나?
동아닷컴
l
2015.02.17
이와테현 쿠지항에 0.1m의 파도가 도달한 것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진다. 한편 토후쿠
전력
은 “이날 진도 2의 진동이 관측된 미야기현에 위치한 오나가와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아직까지 지진으로 인한 이상 상황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아오모리현에 위치한 히가시도리 원자력 발전소와 ... ...
2020년 달 표면 누빌 한국형 로버 첫 공개
2015.02.17
동면을 하다가 해가 뜨기 시작하면 3일 동안 A4 용지 2장 넓이의 50W급 태양전지를 이용해
전력
을 충전한 뒤 10일간 활동하고 나머지 하루 동안은 다시 밤을 대비해 동면을 준비하는 형태로 운영될 예정이다. 로버의 설계수명은 1년이다. 달 착륙선에 실어 보낼 수 있는 로버의 최대 무게가 20kg 내외이기 ... ...
막대기를 움직인 건 수맥인가 내 마음인가?
과학동아
l
2015.02.10
엄청난 양의 흙을 운반해야 할것이며, 산소가 모자라지 않게 환기도 시켜줘야 하며,
전력
도 공급해줘야겠지요. 자칫하다가는 땅굴이 무너질 수도, 침수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어려움을 이기고 50km 정도인 땅굴을 팠다면, 그건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터널입니다. 그런 엄청난 일을 북한은 아무도 ... ...
SK하이닉스, 차세대 모바일용 D램 본격 공급
동아일보
l
2015.02.10
규격으로 기존 LPDDR3에 비해 두 배 빠른 초당 3200메가비트(Mbps)의 속도를 내면서도 소비
전력
은 30%가 적다. 모바일용 D램은 스마트폰의 주(主) 기억 부품인 램(RAM)을 만들 때 쓰이는 반도체다. 램 용량이 클수록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양이 많아져 처리 속도가 빨라진다. 초고화질(UHD)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