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
타인
남쪽
남향
스페셜
"
다른사람
"(으)로 총 3,05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뉴턴의 사과
2020.01.09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고향집 울즈소프에서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했다는 뉴턴의 일화는 유명하다. 이 일화의 진위를 놓고도 의견이 분분하다. 다만 1666년의 어느 날 갑자기 사과가 뉴턴의 머리 위에 떨어졌고, 잠시 뒤 “유레카”의 순간이 뉴턴에게 떠오른 그런 영화 같은 ... ...
구글·페이스북도 탐낸 ‘로봇 핸드’ 10년간 열정으로 ‘진일보’
동아사이언스
l
2020.01.09
이상엽 원익로보틱스 개발팀장과 배지훈 생산기술연구원 박사가 ‘알레그로 핸드’를 들어보이고 있다. 동아사이언스DB 사람의 손은 다양한 물체를 잡는 데 알맞게 진화했다. 손가락의 관절을 자유자재로 구부려 자연스럽게 물건을 잡는 메커니즘을 로봇으로 구현하기는 쉽지 않다. 센서 기술을 ... ...
불타는 호주…기후변화는 이미 당신 옆에 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영국 가디언은 이달 1일 마이클 만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기상및대기과학부 교수의 글을 실었습니다. 기고문은 호주 화재를 유발한 기후변화에 대한 대처 움직임을 촉구하는 목소리를 담고 있습니다. 동아사이언스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글로벌 저널리즘 이니셔티브인 '커버링 클라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커피의 치매 예방 효과
2020.01.07
국내 연구진이 55~90세 남녀를 대상으로 커피 섭취량과 치매 위험성의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 커피를 하루 두 잔 이상 마시는 그룹이 두 잔 미만 마시는 그룹에 비해 치매 위험성이 3분의 1이나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난주 월요일 신문에서 커피가 치매 위험을 낮춘다는 기사 ... ...
중국 우한 폐렴환자 59명으로 늘어…시장판매용 야생동물서 유래 추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원인 모를 폐렴이 확산하고 있다. 폐렴 환자들이 격리중인 병원의 모습이다. 병원 홈페이지 캡처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원인 모를 폐렴이 계속해 확산되고 있다. 우한시 보건당국은 5일 폐렴 증세를 보이는 환자가 59명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31일 첫 발표 때 ... ...
중 후베이성 우한 폐렴 사태…WHO 주시, 전문가들 신종바이러스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5
중국 후베이성 성도 우한. 크리에이티브커먼스 제공 중국 후베이성 성도 우한에서 원인 모를 폐렴 감염 사태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우한시 보건당국은 4일 오후 이상 폐렴 증세를 보이는 환자가 44명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닷새 전인 지난해 12월 31일 공개한 환자수 27명보다 훨씬 늘어난 숫자다. ... ...
[표지로 읽는 과학]인류 공동추진목표의 이행상황을 평가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4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하늘을 향해 높게 솟아 있는 은색 건물을 새해 첫 호 표지에 실었다. 건물 벽면의 기하학적 디자인을 따라 지나치는 하늘색, 보라색, 노란색의 선도 볼 수 있다. 위아래로 들쑥날쑥한 모습은 흡사 어떤 추세를 나타내는 그래프처럼 보인다. 지앙궈 리우 미국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애정과 열정이 ‘지나쳐도’ 번아웃 온다
2020.01.04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아무리 원대한 계획을 세웠더라도 잔뜩 지쳐 있어서 그것들을 실천으로 옮겨갈 에너지가 없다면 목표 달성은 불가능하다. 어쩌면 괜히 달성 못할 계획들만 세워서 좌절을 더 늘리는 셈이 될 수도 있다. 그런데 지쳐 있다는 건 구체적으로 어떤 걸까. 지치지 않으려면 어떻게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면역계 친구는 누가 있을까
2020.01.04
위염과 위궤양, 위암 등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인 헬리코박터 균. 파스퇴르연구소 제공 오랜 친구 가설에 의하면 인간은 다양한 미생물과 중생물(macrobe)이 공생적 관계를 맺고 만들어진 통생명체(holobionts)다. 이러한 공생적 관계가 5억 년을 넘도록 이루어졌고, 다양한 구성 성분을 조정하는 역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
2019.12.31
여성의 0.6%가 후각망울 없이도 전혀 문제 없이 냄새를 잘 맡을 수 있다는 사실이 최근 발견됐다. 한편 생쥐의 페로몬 감지 메커니즘도 최근 명쾌히 규명됐다. 참고로 사진 속의 설치류는 생쥐(mouse)가 아니라 쥐(rat)다. 사이언스 제공 2019년 한 해도 이제 몇 시간 남지 않았다. 오늘은 한 해의 마지막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