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로봇"(으)로 총 2,376건 검색되었습니다.
-
- ① 소재ㅣ수술 부위 말끔히 없애는 홍합 접착제과학동아 l2001년 04호
- 국방부의 지원을 받아 개구리 근육을 연구하고 있다. 개구리 근육을 장착한 로봇의 등장도 결코 꿈만은 아니다.호주의 과학자들은 식물에서 획기적인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 바로 광합성을 하는 클로로필을 모방한 인공 광합성 물질이다. 클로로필은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당과 다른 ... ...
-
- 인간 감각 흉내낸 생체모방 센서과학동아 l2001년 04호
- 크기와 분포를 측정하는 소자 종류다.지금까지의 촉각 센서는 응답속도가 느려서 지능 로봇처럼 빠른 응답성이 요구되는 응용 분야에 적용하기 힘들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1초에 1백회 이상 정보를 읽을 수 있을 만큼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 ...
-
- 화성과 금성 나타내는 행성기호 ♂ · ♀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못만드는 물건이 없을 정도로 손재주가 좋은 대장장이 신입니다. 스스로 움직이는 로봇 ‘퀴베르네테스’를 처음으로 만든 것도 바로 헤파이스토스랍니다. 퀴베르네테스(Cybernetes)란 키잡이(steersman)가 내장돼 스스로 움직이는 장치라는 뜻입니다. 20세기에 인공두뇌학자들은 바로 이 이름을 빌어 ... ...
-
- PART 2. 쓰레기 소각장 다이옥신 제거하는 나노화학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요즘 아이들은 비행기나 새를 어렵게 만드는 것 같지 않다. 사탕을 사면 그 속에 조립식 로봇이 딸려 있고, 장난감 가게에서 흔히 살 수 있는 레고 블록으로 비행기, 새는 물론 커다란 집도 만든다. 심지어 보물섬이나 우주정거장과 같은 영화의 한 장면을 연출하기도 한다.요즘 과학기술 분야에서도 ... ...
-
- PART 1. 백과사전 24권을 핀 머리에 써넣는다과학동아 l2001년 03호
- 필요없다. 이뿐만이 아니다. 빈곤과 굶주림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드렉슬러의 작은 로봇이 아주 싼 가격으로 원하는 물건을 생산해내기 때문이다. 그리고 가장 저렴한 재료로 음식을 합성할 수 있어서, 원한다면 먼지를 스테이크로 바꿀 수도 있다. 드렉슬러는 나노과학이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 ...
-
- 3. 국내 감성공학 연구의 현주소과학동아 l2001년 02호
- 것이다.인간을 위한 최적 시스템즉 주인의 기분을 파악해서 기분이 좋을 때는 애완견 로봇이 마중나오고, 기분이 나쁠 때는 적당히 모른척해서 더이상 기분을 상하지 않게 한다. 또한 저녁 식사를 했는지를 옷에 배인 냄새를 센서로 파악하거나, 그날 움직임을 기록한 자동차나 개인 단말기의 ... ...
-
- 바람계곡의 나우시카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많은 사람들이 봤으면 좋겠어요.성래_ 저는 일본의 애니메이션 수준이 부럽더라구요. 로봇에서도 벌써 생체적인 개념을 생각하잖아요.다른 나라에서 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을 구분해서 싸우는 애니메이션을 등장시킬 시점에 일본의 애니메이션 작가들은 신화, 생태학, 환경을 생각했다는 것이 ... ...
-
- 1. 감성공학이 세상을 바꾼다과학동아 l2001년 02호
- 기술로 로봇에 사람의 뇌를 그대로 옮길 수 있다. 그러면 두뇌는 사람이고, 몸은 기계인 로봇이 탄생한다. 사람과 기계의 벽이 무너지는 시대가 오고, 결국은 이것이 인류의 종말을 초래한다는 것이다.(이어령, "빛과 소금" 2001년 1월호)디지털 기술의 주체는 인간하지만 과학기술은 사람에게 더 좋게, ... ...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때마다 로봇팔도 같이 움직였다. 팔동작을 일으키는 뇌신경의 신호가 전극을 통해 로봇에게도 전달됐기 때문이다.나아가 미국 에모리대 신경학자 필립 케네디 교수팀은 컴퓨터를 통해 사지가 마비된 환자가 생각만으로 팔을 움직이게 하는데 성공했다. 연구자들은 환자가 생각을 할 때 나타나는 ... ...
-
- '아이다호'에 나타난 슬픈 질병, 기면 발작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사람이 전혀 움직이지 못한다는 놀라운 사실을 알아냈다. 마치 마구 움직이던 로봇의 전원 스위치를 끈 것처럼 말이다. 연수가 근육의 운동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음이 밝혀진 것이다.이 연구는 1953년 REM 수면이 발견되기 전에 이뤄졌기 때문에 매군 교수는 REM 수면을 직접 연결하진 못했다. 그 후 ... ...
이전1981992002012022032042052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