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공
범죄
추행
부정 행위
악행
날기
미친 짓
d라이브러리
"
비행
"(으)로 총 2,165건 검색되었습니다.
모헨조다로와 하라파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토우는 모헨조다로의 특징을 가장 잘 대변해준다.이곳에서 가장 믿을 수 없는 세가지는
비행
기 전기 수도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소문대로 수도나 전기는 저녁 때만 되면 두 세시간은 어김없이 끊겼다.목가적인 하라파 물탄에서 하라파로 가는 길가에는 푸른 들판이 끝없이 전개돼 있다. 이 ... ...
10대 흡연이 미치는 영향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이 수치보다도 훨씬 많다. 고3의 경우 70%가 넘는다.청소년 흡연은 흔히 얘기되는 사회적
비행
과 관련시키지 않더라도 국민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중요시 하지 않을 수 없다. 가톨릭 의대 맹광호교수는 "질병역학적인 측면에서 보면 19세 이하에서 담배를 피우기 시작한 경우는 25세 ... ...
국민을 놀라게 한 블랙박스 도청, 얼마나 밝혀졌나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속도 고도 자세 방위 등 19종류의 자료가 마그네틱테이프에 수록돼 있다. 이 장치는
비행
기의 엔진과 함께 작동되고 멈추도록 돼 있어 승무원이 임의로 변경시킬 수 없고 25시간 간격으로 새 자료가 수록되고 먼저 것은 지워진다.블랙박스는 불의의 사고를 당했을 때 필요한 것. 그래서 섭씨 1천 ... ...
밤에도 본다 야간 감시장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완수하게 하는 것이다.1987년 미공군의 F-111전투폭격기가 영국에서 이륙하여 4천㎞를
비행
한 후 리비아를 야간에 폭격한 사건은 현대 야간장비의 위력을 여실히 보여준다. F-111은 전방감시용 적외선장비로 목표에 접근, 레이저 광선의 유도를 받아 스마트폭탄 등으로 폭격한 것이다. 오늘날은 ... ...
바람의 과학 그 천태만상의 해부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감지할 수 있다. 오늘날에는 동쪽 방향으로 대륙간
비행
을 할때 제트기류를 이용하여
비행
시간을 절약하고 있다.제트기류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좁은 지역에서의 온도경도는 기압경도를 유발하고 기압경도와 전향력의 작용으로 등압선에 평행한 강한 바람이 분다. 기온경도가 큰 지역이 전선이며 ... ...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CAI)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또 한대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화면을 통해 소년들의 활동을 말없이 지켜보고 있다.
비행
기가 무사히 착륙하자 소년들은 성취감과 자랑스러움이 가득한 얼굴로 조정석을 나와서 선생님과 과정에서 겪은 여러가지 점들을 자유로이 토론한다.(세 학생이 이 활동을 하는 동안 나머지 학생들은 ... ...
기이한 거인상과 암벽화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학자들도 이와 거의 같은 견해다. 지리학의 여러가지 법칙으로 보아서나 우주공간
비행
을 쉽게 할수 없다는 것을 생각하면 고대인이 남긴 이상한 인물상이 우주인을 그린 것이라는 것은 비약이 너무 심한 것이라고 지적한다. 그래서 그 그림은 고대인들이 자신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그리거나 어떤 ... ...
중국의 과학기술 정책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높은 수준에 있다. 지금까지 20개의 인공위성을 발사하여 정지위성이 순조롭게
비행
하고 있다. 이 위성은 모두 자체기술로 제작한 국산 로켓으로 운반한 것이다. 그 중에는 서방선진국의 위성을 운반하기 위하여 제공한 로켓도 있다.그러나 더욱 발전할 수 있는 아까운 때를 허비한 시기가 있었다. 196 ... ...
PART1 첨단 선박들에는 어떤 것이 있나?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들면서도 그 속도가 수상을 달리는 물체로서는 획기적인 것이 되리라는 예상이다.이
비행
체는 1930년 핀란드의 기술자 '카아리오'(Kaario)씨에 의해 처음으로 만들어 졌고, 서독을 비롯하여 소련과 미국이 60년대 중반부터 1천t이상의 무게에 4백 노트까지 낼수 있는 WIG개발 계획서를 만들어 놓고 ... ...
「디스커버리」호에서 만들어진 단백질 결정(結晶)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무중력 환경을 생각하게 되었는데, 이 아이디어는 1983년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의
비행
때 최초로 실현되었다. 이 실험의 주역은 미국 앨라바마대학의 생화학 교수이며 나사(NASA)의 결정체 프로그램 책임자인 '찰스 버그'박사.대 제약회사들 참여이번 디스커버리호실험은 업존쉐링등 6개 제약회사가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