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d라이브러리
"
자리
"(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길을 찾는 능력을 설계할 때 사용된다. 휴~, 어쨌든 가이 녀석 덕분에 무사히 새 보금
자리
를 얻었군. 하지만 널 아직까지 우리 가족의 일원으로는 받아들일 수가 없어! 착각하지 말라고!그루그, 왜요? 제가 없었다면 여기까지 올 수 없었을 걸요? 온 가족에게 도움을 주려고 제가 얼마나 노력했는데요 ... ...
해커와 대결하라! 암호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방법과 푸는 방법이 다르다.먼저 메시지를 보내는 사람은 ‘공개키’라고 부르는 수백
자리
의 자연수를 이용해서 메시지를 암호화 한다. 이 메시지를 받는 사람은 공개키를 만드는 두 개의 소인수를 알아야 메시지를 다시 복원할 수 있다. 만약 비밀키인 두 소인수를 모르면, 이 문제는 슈퍼컴퓨터를 ... ...
구구단 필요없는 최고의 곱셈 왕은 누구?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외워야 하군요.후보 3 러시아의 수학자 카라추바 큰 수의 곱셈도 문제없어요!겨우 두
자리
수 곱셈을 하라고요? 제 곱셈법은 큰 수의 곱셈에 유용한 곱셈법인데 말이지요. 컴퓨터에서 제 곱셈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시간이 훨씬 줄어들어요. 이 점을 꼭 참고해 주세요.곱셈 알고리즘 등장카라추바 ... ...
항성 VS 행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항성과 행성의 차이점을 알려 주세요.김하늘 평택 소사벌초 5 항성항성은 항상 일정한
자리
에서 스스로 빛과 열을 내는 천체를 가리킵니다. ‘별’이라고 부르는 천체가 항성이에요. ‘붙박이별’이라고도 하지요. 항성이 스스로 빛과 열을 내는 것은 천체에서 열핵융합반응이 일어나기 ... ...
PART 3. 구글의 눈으로 보는 세상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이후 새로운 혁신을 불러올 것으로 보이는 구글 글래스. 자동차는 어떤가. 문을 열고
자리
에 앉아 시동을 켜고 목적지만 말하면 알아서 데려다 주고 주차도 해준다. 구글 글래스와 무인자동차는 ‘구글 X프로젝트’의 대표적인 사례다.미래 공상 영화에서나 볼 법한 일들이 현실에서 일어나고 있다 ... ...
숫사자는 장식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시야가 좁은 지역에서 벗어나 사냥을 시작한다. 숫사자는 여전히 낮에 머물렀던
자리
에 남아 있는다. 하지만 단지 쉬기 위함이 아니라 지형 특징을 이용해 사냥을 한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암사자와 협동하지는 않지만 몸을 숨길 수 있는 위치인 만큼 기습에 유리하다는 것이다.로리 박사는 ... ...
우리 학교는 영재가 가장 행복한 곳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만들어준 것입니다. 꼭 그들에게 감사해야 합니다. 또 세월이 지나서 여러분이 만일 제
자리
에 서게 된다면 후배들에게 지금보다 더 좋은 환경을 남겨줘야 합니다 ... ...
산불이 할퀴어도 씨앗은 남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타버렸다고 해도 뿌리가 살아있다면 일종의 나무싹인 맹아가 올라온다. 재앙이 지나간
자리
에도 남아있는 씨앗이 있다산불이라는 재앙 전후로 숲이 어떻게 바뀌는지 살피기 위해 강원도 한계령에 있는 신갈나무숲을 생각해보자. 이 숲은 산불 이전에는 높이 8m 이상 되는 신갈나무 이외에도 ... ...
세라믹 없으면 스마트폰도 없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높인다. 유리를 약 400℃의 녹은 칼륨염에 넣으면 나트륨 이온이 유리에서 빠져나가고 그
자리
를 칼륨 이온이 채운다. 칼륨 이온은 나트륨 이온보다 크다. 크기가 더 큰 칼륨 이온은 유리가 식을 때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해 유리를 압축시키면서 표면으로 퍼져 나간다. 그 결과 일상 생활 속에서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그는 인쇄물에 적힌 소수점 이하 3
자리
의 숫자를 입력했지만, 컴퓨터는 소수점 이하 6
자리
까지 저장하고 있었던 것이다.로렌츠는 1972년 ‘브라질에 있는 나비의 날갯짓이 텍사스에 토네이도를 일으킬 수 있을까?’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했다. 사실 그는 처음 논문에서 갈매기의 날갯짓이라고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