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스페셜
"
공동
"(으)로 총 3,041건 검색되었습니다.
속도 내는 코로나19 '항체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0.05.18
코로나19 용으로 다시 시험하는 약이다. 미국 생명공학사 리제네론과 프랑스 사토피가
공동
개발해 2017년 FDA 인증을 받은 류머티스 관절염 치료제 ‘사릴루맙’이나 로슈의 류머티스 관절염 치료제 ‘토실리주맙’ 등이 현재 코로나19 용으로 임상시험 중이다. 이들은 염증을 일으키는 데 관여하는 ... ...
"떠들다 떠난 곳 코로나19 침방울 8분 이상 떠다닌다"
연합뉴스
l
2020.05.16
담긴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당뇨·소화·신장질환 연구소(NIDDK)와 펜실베이니아대학
공동
연구 결과를 보도했다. 레이저를 이용해 대화 도중 비말이 얼마나 뿜어져 나오는지 실험을 벌인 결과 1초에 수천개가 확인됐다. 앞서 한국의 콜센터나 중국의 식당에서 코로나19 집단 감염이 발생하자 ... ...
심장·신장·간·뇌·혈액 이어 장도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4
결과가 계속해 나오고 있다. 앞서 네덜란드 후브레흐트 연구소와 에라스무스대 등
공동
연구팀도 장 오가노이드를 만들어 분석한 결과 바이러스가 증식했을 뿐 아니라 바이러스 감염에 맞서 싸우는 역할을 하는 인터페론 유도 유전자가 활성화됐다는 연구결과를 이달 4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 ...
"노약자와 기저 질환자, 코로나19에 약한 이유 알아냈다"
연합뉴스
l
2020.05.14
효능 범위가 상당히 넓으리라는 걸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말한다. MCG 건강 노화 센터의
공동
소장이자 논문의 수석저자인 카를로스 이살레스 박사는 "비정상 반응을 촉발해 고령 환자를 (코로나19에) 더 취약하게 만드는 핵심 마이크로 RNA 그룹이 존재하는 것 같다"라면서 "이런 마이크로 RNA 그룹을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19 치료 현장의 의료진 이야기
2020.05.14
의료진이
공동
연구를 시행해야 한다. 향후 다른 신종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곧바로
공동
연구를 시작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두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이다. 우리나라의 기초과학은 세계적 수준이기 때문에 기초과학자와 임상 의료진의 협동연구를 활성화한다면, 대응에 충분한 시너지를 낼 ... ...
현생인류 유럽 진출 예상보다 더 일렀다…4만5000년 전후 생활도구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독일 막스플랑크진화인류학연구소장팀은 불가리아 국립고고학박물관, 미국 뉴욕대팀과
공동
으로 2015년 불가리아 베이초 키로 동굴에서 발굴된 고인류 화석과 유적을 재발굴한 뒤 이 같은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네이처’ 및 ‘네이처 생태진화’ 12일자에 발표했다. 현생인류는 약 30만 년 전에 ... ...
코로나19로 이산화탄소 배출량 줄었다는데…대기 중 농도 또 역대 최고치
동아사이언스
l
2020.05.11
계속해 상승하리란 분석이다. 영국 기상청과 미국 샌디에이고대 스크립스해양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올해 이산화탄소 농도가 2.48ppm 상승할 것이라는 분석 결과를 이달 8일 영국 비영리 연구단체 ‘카본 브리프’에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대비 이산화탄소 농도가 0.6% 증가하는 것으로 최근 5년 사이 ... ...
이태원 클럽 감염자 30%는 '무증상'…"숨지 말고 적극 검사를"(종합)
연합뉴스
l
2020.05.11
정 본부장은 "신속하게 검사를 받아야 본인의 건강뿐 아니라 가족과 동료, 사회,
공동
체의 안전을 지킬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유념해주시기를 간곡하게 부탁드린다"고 요청했다. 특히 건강한 청장년층은 큰 증상 없이 회복되지만, 고령자나 기저질환자 등 면역이 약한 사람들에게는 코로나1 ... ...
한국 광학과 레이저 연구 개척자 신명 이상수 선생님의 10주기를 추모하며
2020.05.09
가운데 자국의 광학과 광산업에 공헌한 사람을 선발해 한국광학회와 미국광학회가
공동
으로 격년으로 주고 있다. 올해는 네 번째 수상자로 인도공대(IIT)의 아조이 가탁 교수가 선정돼 인도의 광섬유 광학 분야를 개척하고 교육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상을 받는다. 고인은 사회적 ... ...
[프리미엄 리포트]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
과학동아
l
2020.05.09
팽창 우주론의 결정적인 증거가 됐다. doi: 10.1086/300499 2016년에는 미국 예일대 등 국제
공동
연구팀이 허블우주망원경으로 빅뱅 후 불과 4억 년안에 생긴 은하를 관측했다. 큰곰자리방향에 있는 134억 년 된 GN-z11로, 이 또한 우주 팽창의 증거가 되는 은하다. doi: 10.3847/0004-637X/819/2/129 ● 블랙홀 Black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