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식물학자의 한국 우주인 도전기 한국형 SF소설 ‘중력’과학동아 l2019년 06호
- 2006년 한국에서 처음으로 우주인 선발 공고가 있었다. 10대 학생부터 중년의 대기업 사장, 생물학 연구원까지 우주를 꿈꾸던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선발에 지원했다. TV에서는 그들의 열정적인 모습을 강조했지만, 현실은 고달프고 힘든 상황이었다. 지원자들은 생업이 걸린 현실의 많은 부분을 포 ... ...
- [수학 THE LOVE] 어디서나 사랑받는 팔방미인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신약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수학적 모델링으로 구현한생체시계 모델을 활용했다" 신약과 수학 “컴퓨터 안에 가상의 생명체를 구현해 이를 계산 도구로 활용합니다. 복잡한 생명 시스템을 수학이라는 도구로 쉽게 이해하는 거죠.”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수학자이자 생물학자다. 대 ... ...
- [로보트 재권V] 로봇, 1시간 움직이게 해보자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지난 호까지 우리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팔, 다리, 몸통, 머리를 만들었습니다. 이제 어느 정도 로봇처럼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아직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허우대만 멀쩡해 보일 뿐 쇼윈도에 전시된 마네킹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그래서 이번 호부터는 로보트 재권V를 움직이게 해보려고 ... ...
- 연금술에서 과학으로 '화학 혁명' 이끈 위대한 불꽃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산소는 우주에서 수소와 헬륨 다음으로 흔한 원소로 각종 원소와 반응해 다양한 산화물을 생성한다. 그만큼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고,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원소 중 하나다. ‘익숙함에 속아 소중함을 잊지 말자’는 문구는 어쩌면 산소를 위한 말일지도 모른다. "산소의 발 ... ...
- 수학 문화재는 어떻게 알아보나요?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오늘의 마지막 사연은 '한국의 인디아나 존스'를 꿈꾸는 구독자 안디안 님께서 보내주셨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수학 문화재가 많지 않을 뿐더러, 오래된 유물은 쓰임새조차 알기 어려운데요. 유물에 수학적인 내용이 담겨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수학적인 가치를 알아보지 못하면 버려질 수 ... ...
- 어린이과학동아 과학가족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어과동 과학가족 모여라!’에 소개할 첫 번째 가족은 조성현 독자 가족이에요! 성현 친구는 사소한 질문도 자세히 설명해 주고 ‘우리 동네 천문대’의 천문대장이기도 한 아버지를 주인공으로 사연을 보내왔어요. ‘우리 동네 천문대’가 뭐냐고요? 천문 가족 성현이네 이야기를 함께 들어봐요! ... ...
- [출동!기자단] 와, 플라스틱이 예술인데? 크리스 조던 전시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플라스틱 오염을 막아야 한다’라는 메시지를 어떻게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전할 수 있을까요? 미국의 사진작가이자 다큐멘터리 감독인 크리스 조던은 이 질문에 ‘예술’이라고 답했어요.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난 2월 22일, 서울에 있는 성곡미술관에서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친구들이 크 ... ...
- RNA가 지구 최초 생명체 만들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필자는 화학자다. 화학자들은 물질을 원자 수준에서 들여다보려는 습성이 있다. 이런 필자에게 생물은 너무나 어려운 대상이었다. 세포 하나가 수천 개의 거대한 분자로 구성돼 있고, 그 구성 방식도 이해할 수 없을 만큼 복잡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이런 세포들이 수조 개 모여 사람이라는 하나의 ... ...
- 영화 ‘맨 인 블랙’ 외계인 vs. 지구 생명체 능력 대결과학동아 l2019년 06호
- 1997년 처음 개봉한 영화 ‘맨 인 블랙’은 끊임없이 웃음을 터트리게 하는 기상천외한 외계인 캐릭터로 인기를 끌었다. 이들 외계인이 지구인의 모습으로 위장한 채 인간과 섞여 지구에 살고 있다는 설정도 흥행 포인트였다. 무엇보다도 지구를 공격하는 막강한 힘을 가진 외계인이 아니라 무섭지 ... ...
- [검시관의 사건노트] 혈흔과 뼈가 말하는 살인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누군가 사라진 사건 현장에서 과학수사는 더욱 신중해진다. 단순 실종인지 강력 사건인지 알 수 없을뿐더러, 만약 범행을 은폐할 목적으로 깨끗하게 정리된 현장이라면 더욱 어려워진다. 마땅한 증거가 눈에 띄지 않는 현장에서 사라진 이의 상태를 파악하고 보이지 않는 시체를 검시해야 하기 때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