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두 번째 실험] 한 점도 겹치지 않게 모나리자 구기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끝점이 같은 ‘모든’ 곡선이 그렇다고 증명하기는 쉽지 않아요. 아래쪽 미니실험을 보세요. 시작점과 끝점이 같은 미로가 한눈에 보기에도 평면을 안과 밖으로 나누나요? 그렇다면 어디가 안이고 어디가 밖인지도 쉽게 알 수 있어야 해요.수학에서 말하는 정리는 어떤 경우든 참이어야 논란이 없기 ... ...
- [Interview] “초대칭 이론, 아직은 흔적 못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이론에 따르면 훨씬 커야 한다). 물리학자들이 초대칭성을 좋아하는 이유는, 현존하는 세 가지 문제를 한꺼번에 풀 수 있기 때문이다. 힉스 입자의 질량뿐만 아니라, 암흑물질의 후보물질을 제시할 수 있고, 자연계의 네 가지 기본 힘(중력, 전자기력, 강력, 약력)을 우주 초기 상태에서 하나로 묶을 ... ...
- 한국인은 어쩌다 장수의 민족이 됐을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별 일 없이 산다면(크게 아프거나 천재지변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90세까지 산다. 평균 수명이 90세가 된다는 것은 이런 것이다. 그런 시대가 코 앞으로 다가왔다.최근 2030년 한국 ... 2. 인간은 왜 늙는가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 .. ...
- 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장수로 흥하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활짝 핀 순창의 꽃보다 아름다운 할머니장수로 향하는 길은 험난했다. 햇빛이 채 창문을 뚫기도 전인 새벽 6시, 서울 용산을 떠나 전북 순창군으로 향했다. 3시간 30분만에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 ...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만약 우리의 수명이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면 지역에 관계없이 장수인의 비율이 고르게 분포돼야 한다. 하지만 다른 지역에 비해 장수인이 눈에 띄게 많은 마을들이 있다. 이는 유전자 ... 왜 늙는가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 ... ...
- 비법 대공개! 대통령 메이커의 선거 필승 전략수학동아 l2017년 05호
- 투표 결과도 50% 내외에서 큰 차이 없이 나타납니다. 후보자가 홀수일 때는 외톨이가 돼야세 명이 대결할 때는 균형이 여럿입니다. 그림➋처럼 선분을 이등분해 나진보는 왼쪽, 나보수와 장보수는 오른쪽에 있다고 해봅시다. 나보수는 나진보와 장보수 사이에서 움직여봐야 득표율이 그대로고,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바꿀까, 안 바꿀까 그것이 문제로다!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사라 대장님, 상자 세 개 중 하나에 보물을 넣어뒀습니다. 상자의 빈틈은 모두 막아서 뚜껑을 열기 전까지는 안에 뭐가 들었는지 알 수 ... *수학동아 블로그(mathdonga.blog.me)의 ‘알쏭달쏭 논리동화’에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세요. 논리적인 댓글을 단 독자에게는 소정의 선물을 드립니다 ...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 4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잡아주며 고마워해 주셔서 기뻤어.편 : 장수의 비밀은 알았는지?최 : 그건 기사를 읽으세요. 인트로, 1, 2, 3, 4파트 강추.편 : …기억에 남는 장면은?최 : 할머니를 웃으시게 하려고 사진작가, 나, 디자이너, 편집장이 사방에서 재롱(?)을 부렸는데, 희한하게 꼭 편집장 쪽만 보시면 웃음을 뚝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남세균이 엽록체로 진화하는 과정의 중간 형태를 연구하는 그는 “수십억 년 전 남세균이 광합성을 통해 지구 생태계를 어떻게 바꿨는지 이해하면, 미래의 진화과정도 예측할 수 있다”며 “나아가 광합성을 할 수 있는 조류를 새롭게 만들어내는 것도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더 읽을거리닉 ... ...
- [Career] ‘나쁜 드론’ 잡는 원스톱 제어시스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오 선임연구원은 “기존보다 세 배 이상 분해능이 좋아진 것”이라며 “앞으로 3년 안에 세계 최고 수준을 따라잡고, 넘어서겠다”고 말했다.새인지 드론인지 밝혀 줄 인공지능이 관건멀리서 날고 있는 새를 비행체로 착각하면 어떻게 될까. 문 센터장은 “기계와 새의 비행은 분명 차이가 있는데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