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에서 레몬주스가 떨어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포함돼 있어도 우리에게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경우도 있다. 다음은 그런 물질들의 예다.
잘못
말한것은?① 석면을 흡입하면 석면침착증, 폐암 등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② 원자로 및 핵무기에 사용하는 베릴륨은 특히 폐질환환자에게 치명적이다.③ 수은전지나 페인트공장에서 자주 접할 수 밖에 ... ...
말하는 마이크로칩 선보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녹음은 물론 녹음된 내용을 20초간 재생할 수 있는 무선호출기, 말하는 장난감, 기계의
잘못
을 알려주는 세탁기 등의 제작 가능성을 연 것이다.기존의 녹음장치를 대체할 이 칩의 가장 큰 특징은 재래식 기억소자와 달리 데이터를 직접 아날로그형태로 저장한다는 것. 재래식 기억소자는 소리가 ... ...
어떤 망원경을 선택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달의 크레이터를 발견한 것은 구경 42㎜ 배율 9배의 굴절망원경이었다. 뉴턴의
잘못
된 판단으로 굴절망원경은 색수차를 없앨 수 없다고 알려져 인기를 잃었으나, 18세기 중반 체스터 무어와 존 돌랜드가 아크로마틱렌즈(색수차 제거 렌즈)를 발명함으로써 19세기 말까지 대부분의 천문대에서 ... ...
타국 땅에서 그려 보는 조국의 밤하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칸막이 너머로 이어지지 못한다면 그들이 경험하게 될 것은 미국교수의 단순한 인사말을
잘못
이해해서 엉뚱한 일을 하고 당황해하거나 제대로 대화내용을 이해하지 못한 채 무조건 끄덕거리다가 난처한 일을 당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어느 날엔가는 엄청나게 위협적인 거대과학기술을 들여다가 ... ...
좁혀지는 인간과 침팬지의 사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이러한 사실은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러한 유의 유전자 연구방법은 까다롭고 또
잘못
된 결과를 낳기 쉽다. 아닌게 아니라 예일대학교의 조나단 마크씨는 시블리씨의 결과를 부정하였고 심지어는 그의 연구자료가 거짓으로 꾸며졌다는 식의 의사를 표명하기도 했다.그러던 중 유전자 사슬을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해결할 수 있다"고 반론을 편다.한박사는 이어서 "영재는 그냥 두어도 잘 자란다는
잘못
된 통념이 있어요. 단순히 학교성적만을 놓고 말한다면 그럴 듯하게 들릴 수도 있어요. 하지만 과학영재의 창의적 잠재력을 최대로 개발해준다는 영재교육의 본질에 비춰 보면 확실히 그릇된 생각임을 알 수 ... ...
과학용어 통일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통용을 방치할 때 시정은 요원하며 두고두고 부작용을 남길 것이다.신문 방송 TV도
잘못
된 과학용어를 남발하고 있어 걱정된다. 전보다 많이 나아진 것은 사실이다. 황산과 질산(일본이름은 각각 유산 초산)은 이제 굳어가는 것 같다. 혹성 유성 등 일본말이 횡행하더니 이제는 행성으로 어지간히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때문에 이같은 이론에 모순된다고 밝히고 있다.그렇다면 결국 UFO현상이란 목격자들의
잘못
된 감각이 만들어낸 허구의 산물인가. 그렇지 않다. UFO현상은 물리적인 뚜렷한 기반을 갖고 있다. 다음에 소개하는 사건은 그 대표적인 예다. 생화학적 변화 뚜렷1981년 2월 8일 오후 5시경 프랑스 니스에 살고 ... ...
하이에나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청소부 하이에나는 억울하다. 사냥은 전혀 할줄 모르고 죽은 시체나 먹는 동물로
잘못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아프리카의 대초원. 한마리의 얼룩말이 혼신의 힘을 다해 질풍같이 도망가고 있다. 그 뒤를 몇마리의 얼룩 하이에나가 추격을 한다.곧 하이에나는 성공적인 사냥을 자축하듯 요란한 ... ...
지상망원경과 우주망원경의 전쟁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기대를 모았던 허블우주망원경이 주경(主鏡)의 초점이 맞지 않아(연마
잘못
으로 판명됨) 보내오는 사진마다 흐릿한 모습을 보이면서, 지상망원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은 작년 말에 지구에 토성의 대백반(大白斑)사진을 보내왔다. 토성의 대백반은 태양계 내에서 태양을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