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앞발
주먹
도움
손바닥
약혼
sone
so’n
뉴스
"
손
"(으)로 총 3,92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
2018.12.05
2.5㎛ 미만인 초미세먼지) 자체는 너무 작아 맨눈에 보이지 않는다. 시청자들은 기자의
손
에 묻은 검댕을 보며 충격을 받았겠지만, 기자의 폐에도 그 순간 함께 나온 미세먼지가 꽤 달라붙었을 것이다. 검댕 나노입자가 뭉쳐 미세먼지가 되고(위) 미세먼지가 뭉쳐 눈에 보이는 시커먼 검댕이 된다 ... ...
[영상]한반도 태풍·국지성 폭우 감시할 ‘천리안 2A호’발사 성공
2018.12.05
알리는 표지판에 불빛이 들어오자 통제동에서는 환호와 함께 박수가 터져 나왔다. 우리
손
으로 만든 정지궤도 기상관측위성 ‘천리안 2A호’가 우주로 떠난 순간이었다. 한국이 독자 개발한 첫 정지궤도위성인 천리안 2A호가 5일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2011년 7월 개발을 시작한 지 7년 6개월 만이다. ... ...
"기술은 팔았지만 배아 실험할지 몰랐다" 유전자 편집기술 관리 '빨간불'
동아사이언스
l
2018.12.04
유전자편집을 상상도로 나타냈다.-게티이미지 중국에서 배아 상태에서 유전자가 편집된 다음 엄마 자궁에 착상된 쌍둥이를 태어나게 한 실 ... 유전자 편집 실험에 사용된 것 같다”며 “우리의 기술이 우리
손
을 떠나 다른 사람의
손
에 있을 때 어떻게 쓰이는지 알 방법이 없다”고 밝혔다. ... ...
‘차세대소형위성 1호’ 세 차례 연기 끝에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4
우리
손
으로 만든 차세대소형위성이 세 차례의 연기 끝에 우주로 향했다. 이 위성은 575㎞ 상공의 지구저궤도에서 3개월간의 시험운영을 거쳐 본격적인 우주 관측과 국산 위성부품 실증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이번에 차세대소형위성을 쏘아 올린 미국의 민간우주회사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은 ... ...
슈퍼박테리아, 정면대결 대신 힘빼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3
일어난다”며 “세균이 만드는 독성물질을 낮추거나 없애면, 면역 세포들이 세균을
손
쉽게 퇴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렉카 아르야 성균관대 의대 교수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을 대상으로 항독성물질의 효과를 시험하고 있다.-성균과대 항균내성치료제연구소 제공 김 소장 연구진은 ... ...
국산 위성, 3번째 사용되는 팰컨9로켓 타고 우주로…24시간내 재발사 시대 열리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수 있는 로켓 하나를 3번 발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스페이스X 제공 우리
손
으로 만든 인공위성 2기가 잇따라 우주로 올라간다. 이달 4일 천문 관측과 국산 인공위성 부품 성능시험을 담당할 ‘차세대소형위성 1호’가 발사되고, 이어 5일에는 한국이 독자 개발한 첫 정지궤도위성인 ‘천리안 ... ...
발레리나의 훈련법
팝뉴스
l
2018.12.02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연습하자 다른 발레리나가 다가와 도와준다. 보통 사람 같으면
손
을 이용하겠지만 발레리나는 다르다. 제자리에 서서 발 한쪽을 높이 들어올렸다. 두 사람 모두 보통 사람은 절대 따라할 수 없는 동작이다. 생각해보면 한 명이 다른 하나의 연습을 돕는 게 아니라, 두 명이 ... ...
발사 관계자들이 전하는 누리호 엔진 시험발사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8.11.29
다 해야 되고. 전략 기술이어서 해외에서 기술 전수 받을 수도 없었다. 모든 걸 우리
손
으로 다 해야 되는 게 정말 어렵다. 2002년 11월 28일 KSR-3를 쐈다. 오늘은 공교롭게 같은 날이다. 개인적으로 나로호 발사를 포함해 네 번 발사를 경험했는데 실제 발사를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나중에 발사 장면 ... ...
[뉴스룸] 세계 과학계에 민폐 끼친 中 ‘디자이너 베이비’
동아사이언스
l
2018.11.29
때나 난치병 치료, 질병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제는 요술 빗자루를
손
에 넣은 동화 속 어린이처럼 이 도구의 강력한 힘을 무절제하게 사용하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게 인간 배아(수정란)에 사용하는 것이다. 생명과학자가 이 문제를 생각하지 않았을 리는 없다. 이미 2015년 4월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간지럼의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가려움과 간지럼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보다 ‘웃음’ 여부다. 가려움을 느낄 때는
손
으로 긁고 말지만, 간지럼은 긁지 않고 몸을 움츠리며 웃게 된다. 왜일까. 찰스 다윈과 독일의 생리학자 에월드 헤커는 19세기 말에 나름대로의 추측을 했다. 일명 ‘다윈-헤커 가설’이다. 이 둘은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