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해
해
피해
상해
상처
결손
위해
뉴스
"
손상
"(으)로 총 2,735건 검색되었습니다.
식중독 일으키는 노로바이러스 콕 집어 검출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2.08
결합하는 특징을 지닌다. 연구팀은 살균한 시료에 PMA를 넣고 빛을 쪼였다. PMA는 세포가
손상
된 노로바이러스 유전자와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계면활성제인 사르코실을 넣어 PMA 반응을 촉진시켰다. 이후 유전자 증폭 과정을 거치면 감염성이 있는 활성 노로바이러스만 검출이 가능하다. 연구팀이 ... ...
생명과학 연구 새 지평… 세포 속 액체의 점도확인 가능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06
등 다양한 생체조직도 여기 속한다. 생명현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세포나 조직에
손상
을 입히지 않고 점도를 확인할 방법을 알기 어려웠다. 형광물질 분자로 물질의 점도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지만 효율이 낮아 정확한 측정이 어려웠다. 점도에 따라 형광물질이 반응하려면 ... ...
[표지로 읽는 과학] ‘조직 재생’ 비밀 담긴 멕시코도롱뇽 DNA 염기서열 해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02.05
’의 모습이 담겼다. 이 도롱뇽은 팔다리나 꼬리는 물론이고 심지어 뇌, 척수 부분에
손상
을 입어도 회복이 가능할 정도로 재생 능력이 뛰어나다. 때문에 재생의학과 생물의 발생학, 진화 등 연구에 활발히 활용된다. 최근 지그프리드 슐로이스니그 독일 하이델베르크 이론연구소 박사팀은 독일 ... ...
갯가재의 강력 펀치 비밀은?
과학동아
l
2018.01.30
전복의 껍데기를 부순다. 탈피 전까지 이런 ‘권투’를 5만 번 이상 하지만, 별다른
손상
을 입지 않는 이유가 밝혀졌다. 데이비드 키사일러스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UC리버사이드) 화학및환경공학과 교수팀은 갯가재의 앞다리에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는 독특한 구조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 ...
혈당 재는 ‘소프트 콘택트 렌즈’
동아사이언스
l
2018.01.25
위에 신축성 있는 전극 소재를 이용해 회로를 구성했다. 덕분에 구부러져도 전자회로가
손상
없이 본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었다. 또 눈물 외에 다른 물질에 노출돼도 성능 저하가 없었다. 두께도 일반적인 소프트 렌즈 두께인 50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정도 수준이다. 이 렌즈는 ... ...
가상화폐 게임 '크립토키티'가 성공한 이유는?
2018.01.23
장부를 통해 복구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이 게임에 적용된다면 사용자의 데이터가
손상
되더라도 빠른 복구가 가능하고 게임 상 재화를 임의로 삭제하거나 훔칠 수 없게 되죠. 즉 보안성과 안정성이 한층 강화됩니다. 크립토키티에서도 모든 트랜잭션이 기록되어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18.01.23
있고 배당체가수분해효소는 엽록체에 들어있어 서로 만나지 않는다. 그런데 잎 조직이
손상
돼 한 세포 안에 있는 액포와 엽록체가 터져 내용물이 섞이게 되면 배당체가수분해효소가 인디칸을 인독실로 분해한다. 뒤이어 인독실 두 분자가 만나 류코인디고가 만들어지고 이게 인디고로 산화하면서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신의 목소리를 들어본 적이 있나요
2018.01.21
발화하지 못하게 됩니다. 반대로 오른쪽 뇌는 정서를 느끼는 역할을 합니다. 오른쪽 뇌가
손상
되면 대화를 나누는 데 별 지장이 없지만, 상대의 말에 어떤 감정이 담겨 있는지 이해하지 못합니다. 뇌는 귀에 들린 타인의 말을 이해하기 위해서, 일단 뇌의 각 부분으로 해당 정보를 전달합니다. ... ...
갯가재 집게발이 단단한 이유...로봇에 적용하면?
동아사이언스
l
2018.01.16
부수기 위해 이런 구조가 필요했다고 분석했다. 겉의 코팅으로 일차적으로 집게발의
손상
을 막는데 더해 내부의 구조물이 추가로 균열을 막아 내구성을 끌어 올린 것이다. 키사리우스 교수는 “권투할 때 손에 감는 헝겊처럼 특정 패턴을 가진 내부 줄무늬가 집게발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빈혈로 이어진다. 알데히드를 대사하는 Aldh2 유전자 양쪽이 다 변이형이고 동시에
손상
된 DNA를 복구하는 Fancd2 유전자 양쪽이 다 변이형인 생쥐의 경우 염색체 이상이 쉽게 나타난다. 분열중인 세포의 상태로 염색체 일부에 절단이 일어나 다른 염색체에 붙은 ‘전좌’가 두 곳 일어났다. -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