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뉴스
"
천문
"(으)로 총 2,35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0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08.27
러시아 면적과 유사하다. 이중 ‘하트’ 모양의 얼음 지형(NASA는 명왕성을 처음 발견한
천문
학자 이름을 따 이 지역을 ‘톰보 영역’이라고 부른다)의 폭은 2000km이다. 명왕성의 하트 지형은 태양 빛을 반사해 명왕성을 더 밝게 보이게 한다. 현재는 궤도상 명왕성과 태양이 점점 가까워지고 있어 ... ...
PART 0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
과학동아
l
2015.08.27
최초로 떠올린 사람은 프랑스의 수학자 피에르 드 페르마였다. 독일의 수학자이자
천문
학자였던 요하네스 케플러는 극대 또는 극소값 근방에서 함수가 증가하는 양이 무한히 작아진다는 것을 알았는데, 페르마가 이를 극대값과 극소값을 결정하는 방법론으로 발전시켰다. 영국의 수학자 아이작 ... ...
오늘 밤(13일 새벽) 하늘에서 ‘별비’ 쏟아진다
2015.08.12
때문이다. 다만 불빛이 많은 대도시에서는 떨어지는 유성을 쉽게 관측하기 어렵다.
천문
연 측은 “주위에 산이나 건물처럼 하늘을 가리는 물체가 없는 탁 트인 곳에서 머리 꼭대기 방향에 있는 하늘의 중앙 부분을 넓은 시야로 바라봐야 한다”며 “유성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복사점에서 30도 정도 ...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
2015.08.10
하지만 사실 역사를 거슬러보면 가톨릭이 오랜 기간 과학자들을 괴롭혔다. 1632년 ‘
천문
대화’라는 책을 펴낸 갈릴레이는 이듬해 로마로 소환돼 구금됐다가 지동설 포기를 서약하고 나서야 사면됐다. 당시 갈릴레이가 했다는 혼잣말 ‘그래도 지구는 돈다…’는 가톨릭의 과학계 탄압을 상징하는 ... ...
사람의 폭력성은 진화의 산물일까
2015.08.09
시간에 폭발해 우주가 점점 팽창하고 있다는 빅뱅 모델이 나왔다. 원자핵물리학과 전파
천문
학이 발전하며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하게 돼 이 모델을 뒷받침할 수 있었다. 이렇듯 빅뱅 이론은 고대 그리스부터 품어온 의문을 해결하려는 결론에서 나왔다. 저자는 빅뱅이론을 통해 과학이 완벽하지는 ... ...
“반역자가 돼야 과학을 할 수 있다”
2015.08.02
뚱뚱하고 날씬한 사람을 나누는 기준인 ‘BMI(체질량지수)’는 벨기에의 통계학자이자
천문
학자이며 수학자인 아돌프 케틀레에 의해 1870년 만들어졌다. 사람을 몸무게만 가지고는 적당한지 판단할 수 없어 키를 반영한 공식을 고안했던 것이다. 그는 개인의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누면 개인별 키 ... ...
[즐기자! 사이언스바캉스] 과학동아가 만든 고품격 과학 강연회
2015.07.31
블랙홀이나 팽창하는 우주 등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송용선 한국
천문
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아인슈타인의 이론으로도 여전히 풀리지 않는 난제를 끄집어냈다. 송 연구원은 “아인슈타인 덕분에 우주의 비밀이 많이 풀리기도 했지만, 우주가 점점 더 빨리 팽창하고 있다는 ... ...
이지스함 레이더를 야구에 가져오다, 스탯캐스트
동아사이언스
l
2015.07.29
공의 속도까지 파악할 수 있다. 보통 이런 레이더 기술은 군사용으로 사용되거나,
천문
학이나 기상분야에서 많이 이용됐다. 트랙맨은 별이나 미사일, 비행기보다 훨씬 가까운 거리에서 움직이는 지름 약 7cm 야구공의 속도 변화를 알아낸다. 이를 위해 사람이 공을 가릴 때 생기는 노이즈나 ... ...
미래 사회 이끌 키워드는 '호기심과 상상력'
과학동아
l
2015.07.27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이날 행사는 국양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서울대 물리
천문
학부 교수)의 기조강연으로 시작됐다. 국 교수는 올해로 탄생 100주년을 맞은 일반상대성이론과 이를 고안한 아인슈타인의 생애에 대해 강연하며 "아인슈타인의 천재적인 발상 비결은 호기심"이라고 단언했다. ... ...
휴보가 DARPA 챌린지에서 우승한 비결은?
2015.07.25
씨의 공연에는 움직이는 무대인 '플라인 스테이지'로도 쓰였다. 오 교수는 여러 장의
천문
사진을 보여주며 "휴보의 제어 기술로 KAIST 옥상에서 우주의 성운, 우주 정거장 등을 정밀하게 찍을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사이언스바캉스는 휴보 강연이 이후에도 3D프린터가 변화할 세상, 아인슈타인과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