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소
감퇴
감량
저하
하락
수축
점감
d라이브러리
"
감소
"(으)로 총 2,26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을 너무 닮아 슬픈 운명에 오랑우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널리 살고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그러나 20세기 들어오면서 그 수가 급격히
감소
, 지금은 보르네오와 수마트라지역에서 약 4~5천 마리정도가 야생할 뿐이다. 이처럼 세월이 지날수록 줄어들고 있는 것은 두말할 것도 없이 사람들의 남획때문이다.인간들이 삼림을 벌채하면서 오랑우탄은 살 터전을 ... ...
열역학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같이 구멍이 뚫린 금속 원판을 가열하면 구멍의 직경은 어떻게 되겠는가? ①증가한다 ②
감소
한다 ③변함없다3. 공기가 들어 있는 풍선의 부피가 줄어든다면 그 공기의 온도는 어떠하겠는가?①올라간다 ②내려간다 ③알 수 없다4. 무더운 여름 날씨에는 짜증스럽고 불쾌지수가 높다. 이러한 ... ...
로봇의 눈 컴퓨터비전의 가능성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약 30%의 비중을 차지할 것이고 소프트웨어는 29%에서 62%로 증가하며 서비스는 38%에서 9%로
감소
할 것으로 예측된다는 것이다. 이에따라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보고 선진국에서는 인공지능에 대한 대규모 연구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 ...
PART2 한국조선산업의 미래는?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여기에 그동안 축적되어 왔던 선복량의 과잉현상은 신규선박 발주물량을 현저하게
감소
시켰으며 심지어 이미 건조해놓은 선박에 대한 인수기피 현상까지 나타났다. 이는 필연적으로 선가의 하락을 야기했으며 이로인해 그동안 엄청난 시설투자를 해온 조선업체들의 적자재정이 불가피해졌다. ... ...
유전자 조작기술을 활용한 유전병 치료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때문에 변화된 또는 결여된 유전자는 주어진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감소
시킨다. 이에 대한 고전적인 예가 페닐케톤뇨(Phenylketonuria, PKU)을 들수 있다. 이 병에 걸린 사람은 대부분의 음식물에서 발견되는 필수 아미노산인 패닐알라닌을 대사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뇌조직에 ... ...
약의 부작용 약화(藥禍)를 하려면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된다. 우선 눈동자가 커지고 입안의 분비가 억제되므로 입이 마른다. 또 위액의 분비가
감소
되고 위장관의 운동이 억제되고 심장의 박동속도가 빨라진다. 가령 이 아트로핀을 위액의 분비를 억제시킬 목적으로 사용하였다면 그 목적하는 작용 이외의 다른 작용들은 모두 부작용이 되는 것이다 ... ...
올여름 날씨 냉해 등 위험 예상돼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입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북반구 전역을 덮어 일시적으로 일사량을 20% 가까이
감소
시킨 것으로 관측되었다.이보다 훨씬 오래전의 일이지만 18세기말 미국 동부부를 강타한 한파의 원인은 아이슬란드 화산폭발이 아닌가 하는 추측도 있다.기상학은 종합학문 지구의 기상을 지배하는 핵심적인 ... ...
속도의 한계는?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타키온의 운동에너지가 증가될수록 그 속도는
감소
된다. 그런데 타키온의 속도가 계속
감소
될수록 그것을 감속케하는 일이 더욱 어려워진다. 더구나 타키온의 속도가 광속에 도달되면 더는 감속할 수 없게 된다.결국 미립자에는 세 종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로는 타아디온인데 0보다 큰 ... ...
'생명체는 음(-)의 엔트로피를 먹고 산다'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태양에너지를 여러 형태로 변환시키거나, 이미 변환된 것을 이용하여 자신의 엔트로피를
감소
시키고 있는 것.대부분의 생명체는 탄소 수소 질소 산소 인 황(CHNOPS)등 몇개 안되는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원소의 존재비율과는 거의 상관이 없다(예를 들어서 지구에 가장 많이 ... ...
청소년에는 철분이 긴요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많기 때문이다.어쨌든 현재 영양학자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쏟고있는 것은 두되세포수의
감소
가 두뇌의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점이다. 또 우리가 전(全) 두뇌의 잠재력을 1백% 발휘할 수 있을지, 그리고 세포수의 제한이 지적 자극에 의해 어느정도 극복될 수 있는지가 연구의 과제로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