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d라이브러리
"
구멍
"(으)로 총 2,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조선 중간갑판을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기름유출사고의 70, 80%를 막을 수 있다는 것.그러나 89년 발데즈호 사고와 같이 6m 깊이의
구멍
이 뚫릴 수도 있다. 이 경우 이중선각이나 이중선저가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등장한 개념이 중간갑판구조. IMO 규칙의 '동등 이상의 효과를 갖는 구조'를 적절하게 활용한 것이다 ... ...
크낙새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수피와 목질부를 가볍게 두들겨 한 치의 오차없이 1초에18회이상 빠른 동작으로
구멍
을 뚫어 긴 혀로 벌레를 낚아채는데, 이 기술은 신기에가깝다. 이를 두고 외과의사가 환자의 환부를 도려내는 것과 비교해 숲속의 외과의사라고 하는 것이다.크낙새는 암수교대로 포란(抱卵)과 육추(育雛)를 한다. ... ...
먼지의 영향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온실효과를 방해할 수도 있다. 그것은 또한 파괴적인 화학물질을 축적하여 오존층의
구멍
을 더 크게 잠식시킨다.혼돈이론에 의하면 복잡한 현실세계에서 광범위하고 예측할 수 없는 결과도 작은 변화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고 한다. 우리가 아직 화산은 통제할 수 없지만 대기 속으로 날려 버리는 ... ...
태양사진 어떻게 찍나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한곳에 빛이 맺히게 되면 깨지게 되므로, 주경앞에 가리개를 만들고 이 가리개에 작은
구멍
을 뚫어 사용한다. 즉 초점을 맞출 때는 가리개를 덮은 상태에서 태양을 바라보도록 하고, 노출을 정하고 찍을 때만 잠깐 가리개를 치우면 된다. 이런 번거로움을 피할수 있는 방법이 카메라용 ND필터를 ... ...
푸른 생명이 넘실대는 유일한 행성 지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화면인 셈. 따라서 관객들은 비스듬히 누워서 화면을 감상하게 된다. 옴니맥스 화면은
구멍
이 송송 뚫려 있다. 바닥을 제외한 모든 공간이 화면이어서 음향장치를 비롯 각종 보조장치가 화면 뒤에 자리잡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15분 동안 상영될 옴니맥스 영화 제목은 '행성으로의 여행'(가제). NASA ... ...
망원경 조립·조정 요령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수직상태에서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말고 위에서 아래로 넣어야하며 그 형태에 따라
구멍
을 정확히 찾아 넣은 후 완전히 고정시켜야 한다.다리 위에 몸통인 가대를 조립했으면 무게균형추의 축을 가대에 부착한다. 무게균형추의 축은 그 형식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축을 나사식으로 ... ...
산양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서식수를 쉽게 알 수 있다. 보금자리는 맹수와 사람들이 쉽게 드나들 수 없는 바위
구멍
에 만든다.산양은 고집스런 성질로 주서식지를 멀리 떠나지 않고 한번 택한 지역에서 영구히 살며, 좀체로 이동하는 일이 없다. 그러나 눈이 많은 지역에서는 저지대로 내려올 때가 있다.암수의 색채와 크기, 뿔의 ... ...
물과 빛으로 쇠를 자른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B.C. 4000년 경의 이집트에서는 드릴을 고안하고 화살형상의 손잡이를 회전시켜 돌에
구멍
을 냈다.이 방법들은 원시적이기는 하지만 강한 것으로 약한 것을 깎는다는 것과 반복적인 작업으로 공작물에서 재료를 소량씩 제거한다는 절단의 기본원칙을 내포하고 있다. 이는 오늘날 기계적 가공의 ... ...
아마추어 천문가가 NASA의 오류를 지적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남극 오존
구멍
의 지름 20~26㎞는 실제보다 축소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 오존
구멍
을 측정한 인공위성 님부스7호의 프로젝트담당자인 리처드 맥피터박사는 자신들의 부정확함을 인정했다.NASA의 오차는 두가지 원인 때문이다. 첫째는 님부스 자체가 갖고 있는 2% 정도의 측정오차를 들 수 ... ...
X선 기술로 미이라를 영상화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烏石)일 것으로 추정됐다. 그리고 복부의 왼쪽 옆구리에
구멍
이 나 있었다. 아마도 이
구멍
을 통해 간 위 폐 장 등 내부장기가 꺼내졌을 것이다.대영박물관과 성토마스병원 연구진들은 앞으로 더 많은 미이라를 X선으로 검사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미이라 제작기술의 변천사도 파악할 수 있게 될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