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선점하겠다는 의욕을 보이고 있다. 세계 4위의 토륨 산지인 인도는 기존 원전에 토륨을
반응
시켜서 우라늄-233을 얻은 뒤 분리해 화학적으로 처리하고 다시 핵분열을 거치는 3단계 방식을 10년 이상 연구해 왔다. 하지만 홍 교수는 “최근 1~2년 사이에 가속기 기반 원전으로 방향을 바꿨다”고 말했다. ... ...
재난 앞에서 우리는 왜 똑똑하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참여하며, 우왕좌왕하는 사람들을 안전한 곳으로 이끈다. 이들은 재난이 닥쳐와도 패닉
반응
을 보이지 않고 비교적 침착함을 유지한다.물론 영웅형도 재난 앞에서는 스트레스와 패닉을 경험한다. 단지 이타적인 행동을 통해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의식하지 않으려 노력할 뿐이다. 패닉과 이타적 ... ...
'톡톡ʼ스마트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사람의 말을 풀어서 이해하는 거지. 시리는 음성인식 기술을 넘어 사람의 말을 알아듣고
반응
하는 인공지능 서비스라고도 볼 수 있어.아직 사람의 말을 다 받아들일 수 있는 음성인식 기술은 개발되지 않았단다. 하지만 정해진 문장이나 제한된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기술은 정확성이 높아져 상당한 ... ...
유방암 백신 개발 ‘한발짝 더’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말했다. 면역기능은 인체가 암세포를 병원균으로 인식해 항체를 만들고 림프구
반응
을 촉진시킨다. 백신은 이 기능을 활성화하면서 암세포 표면에 있는 MUC1 단백질을 공격해 항암효과를 낸다.연구팀은 이 백신을 유방암 모델 쥐에서 실험한 결과, 종양이 평균 80%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의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실험 결과가 발표됐다.]빠르면 올해… 그 이후는?물리학자들은 예상하던 결과였다는
반응
이다. ‘LHC, 현대 물리학의 최전선’이라는 책을 쓴 이강영 건국대 물리학부 연구교수는 “물리학자들이 예상하던 범위라 뜻밖의 결과는 아니다”라며 “올해부터 에너지를 더 높여 자료를 쌓으면 1~2년 안에 ... ...
나노갤러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황화인듐이 많다. 같은 온도라도
반응
시간을 늘리면 도토리의 모양은 점점 길어진다.
반응
온도와 시간을 조절하면 병, 애벌레 등 다양한 모양의 나노 캡슐도 만들 수 있다. 캡슐 안은 비어 있어 약물을 넣어 운반할 수 있다.나노 센서독일 KIT센터와 프랑스 IPCMS 연구팀은 파란 볼펜의 염료인 수소 ... ...
소년은 늙기 쉽고 연애는 이루기 어렵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더 잘 맞혔고요.여자에게 많이 집적대는 남자일수록 자신의 행동에 여자가 어떻게
반응
하는지를 많이 접하기 때문에 상대가 자기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눈치 채는 ‘촉’이 발달한다는 거예요. 여자는 따뜻한 연애를 잘하는 성격일수록 남자가 다가가기 쉬워서 남자가 보내는 신호를 알아채는 ... ...
햇볕에 널기만 해도 깨끗해지는 옷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없애고 깨끗해진다.연구진이 발표한 새로운 섬유는 자외선만이 아니라 가시광선에도
반응
한다. 기존에 개발된 ‘자가 세척 섬유’는 이산화티타늄을 이용하며 태양광 중 극히 일부분인 자외선만을 이용한다. 이산화티타늄이 빛을 받으면 산화되면서 옷에 묻은 때와 같은 유기물을 분해해 제거한다.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사진 속 물고기 로봇의 꼬리지느러미는 인공근육으로 제작했다. 쌍안정성을 가진 소재는
반응
속도가 빨라 인공근육으로 개발하면 유용하다.][조규진 교수팀은 파리지옥의 잎처럼 쌍안정성을 가진 소재를 이용해 로봇을 개발했다. 로봇의 잎이 완전히 닫히는 데 0.12초 밖에 걸리지 않는다. ... ...
꿈을 저장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사진이 첨부돼 있다.기계의 원리는 간단하다. 생각에 따라
반응
하는 뇌세포의 종류와
반응
이 다르기 때문에 뇌파를 측정하면 그 사람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 역추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컴퓨터 없이 종이테이프에 직접 뇌파를 기록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현재 뇌공학자가 쓰고 있는 방법과 크게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