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큰 원소가 붕괴할 때 나오는 입자나 전자기파를 말한다.방사선이 몸 안에 들어오면
세포
나 DNA를 변형시킬 수 있다. 방사선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을 표시하는 단위는 ‘밀리시버트(mSv)’다. 보통 사람은 일상생활 속에서 1년 동안 2.4mSv의 방사선을 쐰다. X선 촬영을 한 번 하면 0.05~0.6mSv, ... ...
신경교
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통증’, 또는 ‘신경성 통증’이라고 불렀다. 최근 연구 결과, 신경성 통증은 미세교
세포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뉴런이 다른 뉴런으로 신경전달물질을 보낼 때 시냅스(➊)라는 연결 부위를 이용한다. 별교
세포
(➋)는 이 시냅스를 만들고 더 단단하게 붙인다. 또 뉴런의 신호를 강화한다.] ... ...
모두가 승리한 로봇 축제 FLL 체험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부족하거나 넘치면 정확한 위치에 스텐트를 삽입할 수 없었다.악성종양(검은 판)과, 정상
세포
(하얀 판)를 구분해 치료하는 임무도 험난했다. 검은 판과 하얀 판이 뒤섞여 있는데 이 중 검은 판만 인식해 180°를 돌려야 했다. 로봇은 광센서를 이용해 검은 판과 하얀 판을 구분한다. 하지만 주변의 빛의 ... ...
융합이 빚어낸 작지만 큰 세계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오래 활동하려면 로봇을 움직이는 전력이 필요하다.“쥐의 심장
세포
를 배양해 심장
세포
의 자발적 수축력을 에너지로 하는 마이크로구동기를 만들었습니다. 이 기계로 심장이 좋지 않은 사람들의 심장박동 소리를 탐지해 기능 이상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현재 사용하는 심박조율기는 전지를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렐먼 교수팀은 16S 리보솜 RNA(rRNA)의 유전자(16S rDNA)에 주목했다. 16S rRNA는 단백질을 만드는
세포
내 소기관인 리보솜의 구성성분으로 모든 박테리아가 갖고 있는 분자다. 박테리아 종마다 이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분석해 비교하면 해당 박테리아의 실체를 규명할 수 있다.기존에는 ... ...
“가려움증 일으키는 신경은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있다”며 “특이한 감각신경
세포
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규명함에 따라 앞으로 감각신경
세포
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 개발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가축 안 키우고도 고기 먹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미로노프 교수.][앞으로 우리는 훨씬 더 다양한 단백질 공급원을 갖추게 될 것이다.] [
세포
를 배양해 고기를 만들면 좁은 공간에 가둬 놓고 소를 사육할 때보다 더 깨끗하고 인도적으로 고기를 먹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이렇게 실험실에서 만든 고기는 맛이 진짜 고기와 똑같을까. 미로노프 교수는 ... ...
과체중인 아이, 운동하면 수학실력 오른다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박사는 “체중을 줄이기 위한 운동은 뇌의 혈관과 신경
세포
를 건강하게 만들고 신경
세포
연결이 많아지게 한다”며 “규칙적인 운동이 지능과 행동을 담당하는 뇌를 자극해 수학성적이 오르도록 도와준다”고 말했다 ... ...
루팡도 깜짝 놀란 별난 과학 은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분석하여 증명한 뒤, 등록 번호를 주고 냉동 보관한다. 그 뒤 원하는 연구자에게 줄기
세포
를 보내 준다. 이리하여 결국 난 아무것도 훔치지 못했어. 그런데 세상에 이렇게 멋진 과학 은행이 많다는 걸 예전엔 미처 몰랐지 뭐야. 돈을 맡기는 은행뿐 아니라 사람의 생명을 구하고, 치료하고, 연구하는 ... ...
슈퍼 농작물 개발법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신호를 특이하게 전달하는 현상도 발견했다. 결과적으로 두 유전자 간의 상호작용이 뿌리
세포
의 분열과 뿌리 생장을 조절하는 셈이다.임 교수는 “지금까지 개발된 다수확 신품종 작물들은 대부분 지베렐린을 합성하거나 지베렐린이 신호를 전달하는 경로에서 변이가 생긴 것이지만 신호를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