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윈이 없었다면 진화론도 없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과학의 발전이 수많은 사람들에 의한 집단적인 성취라는 사실도 강조한다.
에너지
보존과 변환 법칙들은 “이론가들의 지적 호기심이 아니라 증기 기관의 효율성을 조금이라도 높여서 이윤을 얻기 위한 엔지니어들의 치열한 노력이 만들어낸 결과”라는 해석처럼 말이다. ‘미국 민중사’를 통해 ... ...
Part 2. 그녀들을 최고로 만든 ‘물리 스킬’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기울여야 구심력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신체중심의 위치
에너지
를 운동
에너지
로 바꿔 추진력을 더하는 방법이다.직선주로에서 곡선주로로 접어들 때 많은 선수가 원심력을 이기지 못해 밀려나거나, 넘어질까 봐 두려워 속도를 줄인다. 이상화는 곡선주로가 더 급한 쇼트트랙에서 ... ...
오래된 나무가 지구를 지킨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연구팀은 큰 나무일수록 더 빨리 성장하는 까닭을 뿌리가 깊고 나뭇잎 총 면적이 넓어
에너지
를 얻는 데 유리하기 때문으로 해석했다.큰 나무일수록 탄소를 더 많이 고정한다는 사실도 새롭게 밝혀졌다. 대형 고목 한 그루가 1년간 흡수해 고정하는 탄소의 양이 중간크기 나무 수백 그루가 이룬 숲과 ... ...
일어나, 로제타! 혜성 찾으러 가야지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의 혜성 탐사선 ‘로제타’가 긴 ‘잠’에서 깨어났다. 2004년 지구를 떠난 뒤, 2011년 6월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컴퓨터 1대와 히터 몇 대만 제외하고 모든 장치를 끈 지 31개월만이다.로제타의 목적은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혜성에 25km까지 접근해 표면을 관측하고 궤도선을 착륙시키는 것이다. ... ...
GALAXY는 WARP중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왜소 은하는 설사 바로 옆에 있더라도 유령처럼 관찰하기 힘들다.거대한 거품 모양의 고
에너지
분출 구조물도 2011년 새롭게 발견된 모습이다. 은하 중심에 있는 팽대부를 기준으로 원반 위아래로 각각 약 8kpc(2만 5000광년) 높이의 감마선과 엑스선이 뿜어 나오고 있다. 아직 정확한 원리는 밝혀지지 ... ...
“환경보호에 가장 공헌한 건 석유공학자”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과학동아 애독자 5명이 전공탐색을 위해 최종근 서울대 교수를 찾았다. 최 교수는 “석유가 얼마 남지 않았다고 하는데 사실 앞으로도 200년 동안 쓸 수 있다”며 “
에너지
문제는 편리한 생활만 추구하는 우리 자신을 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
두 얼굴의 양자역학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파동은 정상파가 허용하는 특정 파장만 가진다. 원자는 이에 해당하는 띄엄띄엄한
에너지
만 가질 수 있다. 띄엄띄엄하다는 것을 고상한 말로 양자화되어 있다고 하며, 양자역학이라는 이름은 여기서 나왔다.이 정도면 할머니에게는 첫 번째 강의로 넘치고도 남을 것이다.전자는 두 개의 구멍을 ...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수 있지요.”그밖에 불안정한 핵의 내부 상태를 계산하거나, 양성자와 중성자가 고밀도
에너지
상태에서 서로 구분이 사라지는지(아이소스핀 상실) 등 이론물리학의 여러 난제에 도전할 예정이다.“일부 문제는 한국에 있는 가장 우수한 슈퍼컴퓨터를 써도 부족할 정도로 계산이 복잡해요. 핵 ... ...
생물처럼 말랑말랑한 ‘소프트 로봇’ 나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것”이라며 “유글레나가 움직이는 원리를 적용하면 세포 크기만큼 작으면서도 적은
에너지
로도 자유롭게 혈액 속을 헤엄치는 마이크로 의료 로봇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 ...
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포유류에게 필요했는지부터 되짚어봐야 한다. 사실 기온이 낮은 겨울에는 체온 유지에
에너지
가 많이 들고, 먹을 만한 식물도 줄어들기 때문에 잠을 자는 게 더 유리하다.그런데 숨은 이유가 하나 더 있다. 바로 ‘안 잡아먹히기 위해서’다. 겨울잠을 자는 포유류는 곰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소형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