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 1차 전형 통과 비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자원이 생기게 됩니다.저는 극지생물체를 수단으로 하여 기계와 전자공학을 접목해,
인류
에 도움이 되는 물질 생산에 필요한 학문인 생명공학부 바이오메카트로닉스과에 진학해서 개인적 (목표를) 성취(할) 뿐만 아니라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연구원이 되고 싶습니다.좀 더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 ... ...
별똥에서 소리가 났다는 기록이 있다고요?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낮에는 해시계로 쓰고 밤에는 혜성이나 행성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지요.”
인류
가 망원경으로 밤하늘을 관측하기 시작한 지 400년이 되는 올해, 현대 천문학에는 후발주자인 우리나라지만 풍부한 천문학 유산을 갖고 있다는 자부심이 새로운 도약을 위한 밑거름이 되지 않을까. Music from Outer ... ...
제8회 전국학생과학논술대회 수상작(중등부 대상) - 누구를 위한 이타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과제를 제시한 점이 돋보인다. 인간의 이타주의를 다윈의 자연선택과 연관시키지 않고
인류
미래에 필요한 덕목으로서 주장을 펼친 것이 독창적이다. 다만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와 적절한 예시로서 증명하는 것이 빠져 아쉽다 ... ...
한국도 2020년 달에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이소연 박사의 목소리는 당찼다. 한국이 세계 36번째 우주인 배출국이 되는 순간이었다.
인류
의 우주 기술 진보를 이끈 주역은 미국과 구소련이었다. 이념 대결을 통한 국가 역량의 결집이 없었다면 1960년대에 달에 인간이 발을 딛는 일은 사실상 불가능했을 것이다.하지만 최근 들어 양상이 달라지고 ... ...
아이스 에이지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계곡과 칼날처럼 솟아오른 거친 산맥을 넘으며 말이다. 또다시 찾아오는 빙하시대에도
인류
는 당당히 추위에 맞서 싸우며 문명을 이어나갈 것이다. 온실효과와 빙하시대 : 온실효과로 남극의 빙하가 녹고 있다는데, 왜 빙하기를 걱정하느냐고 반문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몇 가지 오해에서 ... ...
[입학사정관제] 면접과 토론으로 준비된 나를 어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보겠다는 뜻이며, 리더란 좋은 교육을 받고 좋은 사고방식을 갖춰
인류
사회에 공헌하고자 하는 인물을 말한다”고 설명했다.정답을 모르면 스스로 도출홍승우 입학사정관은 “면접에서는 정답이 있을 수 없다”고 못을 박았다. 대부분 지원자의 가치관이나 성장과정, 사회적 ... ...
[신경과학] 지방을 섭취한 기억이 오래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풍부한 먹이를 먹었는지 기억하게 한다”며 “열량이 높은 음식에 대한 정보는 원시
인류
의 생존과 진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실제로 지방 섭취는 필수 기관 보호와 비타민 흡수에 필수적이지만 당시에는 지방이 풍부한 먹이가 귀했다. 그러나 그는 “오늘날에는 OEA의 ... ...
터미네이터 로봇의 진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과학적 가능성과 인간 정체성에 대한 질문 공세 역시 만만치 않다.2018년 지구에는
인류
를 말살하려는 기계 군단에 맞서 인간 저항군이 전쟁을 벌이고 있다. 위~잉! 비행접시 같은 무인정찰기(에어로스태츠)가 주인공에게 다가오더니 얼굴을 스캔하고 그의 정체를 파악해 위치 정보를 인공지능 ... ...
인천-LA 1시간대에 주파하는 극초음속 비행기 시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플라이어 1호’로 세운 기록은 소박했다. 12초 동안 36m 비행. 하지만 이 사건은
인류
역사에서 길이 기억된다. 날개 없는 생물인 인간이 새처럼 하늘을 가를 수 있게 한 시발점이었기 때문이다.라이트 형제의 세계 최초 비행 이후 비행기 발달을 가속시킨 건 양차 세계대전이었다. 당시 비행기 ... ...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치명적인가’ ‘인간에서 또 다른 인간으로 바이러스가 전파되는가’이다. 현재까지
인류
에게 가장 큰 피해를 입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스페인 독감(H1N1)으로 사망률이 10%가 넘었다. 1918년에서 1919년 사이에 약 5억 명의 사람이 감염돼 그중 약 5000만 명의 사람들이 사망했다.하지만 신종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