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뉴스
"
위치
"(으)로 총 5,547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초의 인류는 누구인가?
과학동아
l
2021.05.08
차덴시스가 최초의 호미닌 지위를 잃는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인류 진화에서 중요한
위치
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유인원과 호미닌의 공통조상이 될 가능성은 남아 있기 때문이다.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가 살던 시기는 유인원과 호미닌이 공통조상으로부터 갈라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시기와 ... ...
[주말N수학] 수학계를 주름잡는 수학 명가
수학동아
l
2021.05.08
읽고 연구해 이 분야에서 연구 성과를 내기도 했다. 하지만 요한이 자라면서 야코프의
위치
를 질투하기 시작했고, 야코프에게 ‘최단 시간 강하 곡선 문제’를 제기해 싸움을 걸면서 경쟁이 시작됐다. 최단 시간 강하 곡선 문제는 중력만 작용하는 공간에서 두 지점 사이를 가장 빨리 움직일 수 있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프리카서 가장 오랜 현생인류의 무덤
동아사이언스
l
2021.05.08
이 유골의 주인은 태어난 지 2년 6개월에서 3년 사이로 추정되는 소년으로 케냐 남동쪽에
위치
한 한 동굴에서 발견했다. 약 7만 8300년 전 묻힌 것으로 추정된다.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사람 무덤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표지는 유골을 좀 더 알아보기 쉽게 컴퓨터 그래픽으로 복원한 것이다. 마리아 ... ...
[우주산업 리포트]중국도 '제2 스페이스X'를 키우고 있다
2021.05.07
한다. IDA 보고서에 따르면 베이징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우주기업 관련 시설들이
위치
해 있는 곳은 중국 남부에 선전과 광저우 그리고 주하이다. 그다음으로 우한과 창사에 많이 있으며 청두와 난징, 상하이, 항저우, 닝보, 창춘 등에도 있다. 2021년 4월 29일 중국 하이난성 원창 기지에서 ... ...
상어도 바다거북처럼 지구 자기장 'GPS'로 활용해 장거리 이동
연합뉴스
l
2021.05.07
[Bryan Keller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상어도 바다거북처럼 지구의 자기장을 '자연 위성
위치
확인시스템'(GPS)처럼 이용해 수천 킬로미터를 이동하는 것이 처음으로 증명됐다. 백상아리가 남아프리카 연안에서 호주까지 왔다가 이듬해 정확히 같은 해역으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밝혀지는 등 일부 ... ...
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무덤 주인은 두살배기 소년
동아사이언스
l
2021.05.07
미국 스미소니언 국립자연사박물관 교수 국제연구팀은 케냐 남동쪽에
위치
한 한 동굴에서 시신을 무덤에 매장한 흔적을 찾았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6일 발표했다. 인류의 장례의례 기원과 그 진화는 매우 뜨거운 관심을 받는 논쟁거리다. 약 35만년 전 유럽에서 나타난 ... ...
중국 로켓, 통제불능 상태로 이달 11일 전에 지구 대기권 진입할 듯
동아사이언스
l
2021.05.06
실제로 진입한 후 몇 시간이 지나야 알 수 있다”며 “제18우주통제비행대가 로켓 본체의
위치
를 4일부터 대기권 진입일까지 매일 업데이트하고 추가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미 국방부는 미국 합동군우주사령부(JFSCC)가 운영하는 우주 관측데이터 공개 홈페이지(www.space-track.org)를 통해 ... ...
왜 변이 코로나엔 백신 효과가 떨어질까
연합뉴스
l
2021.05.06
것이다. 남아공 변이 신종 코로나의 스파이크 단백질(PDB: 7a94)에 생긴 돌연변이
위치
가 적색으로 표시돼 있다. 흐린 청색과 녹색은 각각 N-말단 도메인(NTD)과 수용체 결합 도메인(RBD)이다. 흑색은 인간 세포의 ACE2 수용체, 회색은 스파이크 단백질의 나머지 부분이다. [ UC Riverside Godzik lab / 재판매 ... ...
이상률 항우연 원장 “조직 내 문제점 열거 어려울 정도로 많아…1년내 해결책 찾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06
우주청 설립 등 우주정책 관련 거버넌스 체계에 대해서는 항우연이 결정할 수 있는
위치
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다만 정부의 정책을 최대한 따르며 항우연의 의견이 필요할 시 제시한다는 생각이다. 전직 원장들과 관련된 현안에 대해서는 원만한 해결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조광래 전 ... ...
마지막 북극 빙하, 사라지기 전 두 차례 멈추고 확장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06
제도는 전체 면적의 57%가 빙하로 덮여 있다. 사진은 스발바로 제도 동남부 끝단에
위치
한 함버그만. 남승일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 제공 지구의 마지막 최대빙하기 이후 빙하가 녹아 현재 상태로 축소되기까지 빙하가 계속해서 녹기만 한 것이 아니라 빙하 소멸이 중단되거나 오히려 확장된 시기가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