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3,6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화관의 감동 거실에서 만끽한다과학동아 l200111
- 색상이나 밝기, 어두운 부분의 표현력 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다소 답답한 그림이 나온다는 단점이 있다.또한 8배속 이상의 PC DVD-ROM과 디지털 출력이 가능한 사운드 카드가 필요하다. 디지털 신호를 AV 앰프에 연결하면 더욱 멋질 것이다. AV 앰프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 사운드 카드 자체가 ... ...
- 01 암과의 전쟁 5세대 선두주자 유전자치료과학동아 l200111
- 이 중 가장 관심을 끌고 있는 분야는 ‘사이토카인 유전자치료법’(cytokine gene therapy)이다(그림). 사이토카인이란 인체의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물질로 이는 암세포와 싸울 수 있는 T세포 같은 면역세포에 힘을 불어넣어준다. 여기에는 인터루킨-2, 인터루킨-4, 인터루킨-7, 인터루킨-12, 암괴사인자, ... ...
- 생생 화질, 입체 음향 디지털방송과학동아 l200111
- HDTV가 방영되기 시작하면 그전에는 거의 하지 않던 미술감상 프로그램이 많아질 것 같다. 그림이 갖는 다양한 색상과 질감, 그리고 뉘앙스까지 HDTV로 생생하게 전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입체음향과 데이터방송세번째 차이점으로 사운드 부분을 들 수 있다. 아날로그방송에서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 ...
- 태양계는 우리은하 어디에 있을까?과학동아 l200111
- 별이 너무 많이 모여 있어서 우리 눈에 물처럼 보인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우리은하는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지름이 5만광년이 넘는 거대한 원반 모양을 한다. 두께는 상대적으로 얇은 편이지만 중심은 볼록해 전체적으로는 볼록렌즈의 모습이다. 천왕성을 발견한 허셜은 태양계가 ...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물리학 - 제5의 물질 보즈-아인슈타인 응집상태과학동아 l200111
- 위상이 결맞은 상태가 돼 각 입자의 고유성을 잃어버리고 하나의 거대한 물질파가 된다(그림).이 상태는 20세기 초 보즈와 아인슈타인에 의해 이론적으로 예측됐으며 보즈-아인슈타인 응집상태(BEC)라고 불려 왔다. 액체 헬륨 원자들이 갖는 초유체 성질도 BEC로 일부 설명될 수 있다고 봤지만, 액체 ... ...
- 하늘과 만나는 지혜의 경계면 지붕과학동아 l200111
- 벽돌은 바닥이나 벽, 기둥이 받는 누르는 힘(압축력)에는 상당한 힘을 발휘할 수 있다(그림 1). 그러나 걸쳐진 상태에서 받는 부러뜨리는 힘(휨력)에는 맥을 못춘다. 왜냐하면 부러뜨리는 힘은 벽돌 아래 면에 늘어나려는 힘(인장력)을 발생시키는데, 돌은 재료의 특성상 인장력에 견디지 못하기 ...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화학 - 거울대칭 두 물질에서 유용한 쪽만 합성과학동아 l200111
- 얼핏 보면 같은 것 같지만, 왼손의 장갑이 오른손에 맞지 않듯 분명 서로 다르다.가령 그림자로만 보면 오른손인지 왼손인지 구별할 수 없다는 점이 이 두 화학구조 사이의 관계와 같다. 이처럼 어떤 물질이 그의 거울상과 겹치지 않을 때 우리는 이 물질을 키랄(chiral)성이라고 말한다. 키랄이라는 ... ...
- 2 활용 : ② 탄소나노튜브와 원자현미경의 찰떡궁합과학동아 l200110
- 2장의 서로 떨어져있는 금속막을 입힌 후 그 끝에 두개의 탄소나노튜브를 붙인 것이다(그림). 이 디바이스의 금속전극에 전압을 가해주면, 양과 음의 전하가 각각의 나노튜브 끝에 유도된다. 우리는 플라스틱 자를 털헝겊으로 문지르면 플라스틱에 전하가 유도돼 작은 종이조각이 들어붙는 ... ...
- 심심하고 할 일 없어 털다 -주유소 습격 사건과학동아 l200110
- 휘두른다. 야구선수 지망생 노마크, 단순무식이 신조인 무대포, 좌절한 록가수 딴따라, 그림 그리는 사이코 페인트. 이들 넷은 어느날 편의점에서 라면을 먹다가 주유소를 습격한다. 동기는 간단하다. 심심하고 할 일도 없고 해서 그냥 턴 것이다.점점 잔인하고 경박해져그들은 왜 아무런 이유도 없이 ... ...
- 하지점은 겨울철 별자리에 있다?과학동아 l200110
- 자전축은 (그림1)에서 보는 것처럼 23.5° 기울어져 있다. (그림1)에서 지구가 A점에 있을 때 해는 북회귀선을 수직으로 비추므로 우리나라는 더운 하지가 된다. 낮과 밤의 경계선에 유의하면 이때 하루 종일 북극 지방은 낮, 남극 지방은 밤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즉 (그림1)만으로도 지구의 양극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