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9,24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도시에 성공 방정식이 있다면?
과학동아
l
201204
투자해 연구소기업을 육성하고 창업을 촉진한다. ‘특구
기술
오픈마켓’을 통해 우수
기술
을 쉽게 이전하도록 돕는다. 글로벌 사업과 특구 사이의 공동연구도 지원한다.특히 지난 해 말 선정한 특구 별 특화분야 지원을 강화한다. 대덕특구는 IT·바이오의학·나노 등, 광주특구는 ... ...
뇌조절
기술
과학동아
l
201204
아바타가 느끼는 감각을 직접 느낄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기술
이 사람의 생각을 읽는
기술
과 결합된다면 영화처럼 나와 아바타가 하나가 되는 날이 현실이 될 것이다.지금까지 살펴 본 방법들은 뇌의 깊은 부분을 자극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뇌의 깊은 부분은 인간의 복잡한 감정이나 기억을 ... ...
진흙 속 진주 :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
과학동아
l
201204
전기로 인해 부착력이 더 세지기 때문이다.이를 ‘전기 모세관’ 현상으로 불리는 이
기술
은 100여 년 동안 주목받지 못했다. 이 현상은 1V이하의 낮은 전압에서만 발생하고 높은 전압을 걸면 물이 전기분해되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1990년 높은 전압으로도 표면장력을 제어할 수 있는 일렉트로웨팅 ... ...
Part1. 독, 잔혹한 욕망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204
강장제, 사료 첨가제 등으로도 널리 쓰였기에 구하기도 쉽고 값도 쌌다. 또 (당시의
기술
로) 검출도 쉽지 않다는 점은 비소를 살인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독약으로 만들었다.비소가 등장하는 역사적 사건은 기록된 것만도 차고 넘친다. 가장 유명한 살인사건은 보르자 가문의 체사레와 루크레치아 ... ...
Intro. WELCOME TO 데이터유니버스
과학동아
l
201204
선거 전략’이라는 말이 후보 캠프마다 심심치 않게 나온다. 경제 정책이나 마케팅
기술
에도 자주 등장한다. 몇 년 사이에 세상이 새로운 빅데이터 세계로 천지개벽이라도 한 것일까.세계는 데이터와 데이터 과학자 사이의 오랜 싸움터다. 빅데이터 시대가 온 것은 이 싸움터가 모든 사람에게로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1204
데 문제가 생겼다. 데이터를 생산하는
기술
의 발전 속도가 분석이나 저장에 필요한
기술
의 발전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분야가 게노믹스다. 미국의 바이오기업 일루미나의 스콧 칸 박사는 2011년 2월 ‘사이언스’ 기고문에서 “2007년에 이미 하루에 읽을 수 있는 유전자 염기서열 ... ...
빗겨간 탐욕, 4월 탄생석 다이아몬드의 눈물
과학동아
l
201204
수준으로 올라섰다. 이러한 과학자들의 노력은 이른바 ‘화학적 증착’과 ‘에칭’
기술
로 발전하며 공업용 다이아몬드 제조에 두루 활용된다.우주도 인간의 다이아몬드에 대한 탐욕에 화답한 것일까. 최근 들어 우리은하 어딘가 절반 이상이 다이아몬드로 이뤄진 이른바 ‘다이아몬드 행성’이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
과학동아
l
201204
응용을 중심으로 한 기초임상연구 지원을, 7T MRI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중심의 활용
기술
개발에 특히 중점을 둘 것”이라며 “MRI를 이용하는 연구자가 만족할만한 결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4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04
불분명한 게 논란의 핵심이다.광명성 3호 추적과 요격 능력 보유 여부도 중요한 과학
기술
이슈로 불거졌다. 대륙간탄도미사일 같은 고고도 장거리 미사일은 이지스함과 정찰기 레이더로 추적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이지스함인 세종대왕함(7600t)에는 최대 1024km 밖의 목표물 1000개를 동시에 추적할 수 ... ...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
과학동아
l
201204
나노 물질을 만드는 연구를 하다가 나노
기술
의 매력에 빠져들었다. 최 교수는 에어로졸
기술
관련 세계적인 학술지 ‘저널 오브 에어로졸 사이언스’의 편집장을 2004년부터 맡고 있다.“물리는 상식입니다. 그리고 명확합니다.”최 교수는 물리의 매력을 스포츠처럼 명확한 점에 있다고 설명했다.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