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물"(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삶으면 설포라판 함량이 감소합니다. 한두 번 먹는다고 효과가 나타나는 것도 아닙니다. 동물실험에서는 보통 1주일 동안 해당 성분을 투여하고 효과를 측정하는데, 이는 사람에게는 1년 정도에 해당하는 시간입니다. 그 정도는 먹어 줘야 효과를 논할 수 있다는 거죠.그리고 어린이와 청소년, ...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퇴화돼 사라진 것이다(doi: 10.1016/j.cub.2016.03.053). 모노케르코모노이데스는 양분이 풍부한 동물의 장에 기생하고 있기 때문에 미토콘드리아에서 특별히 에너지를 만들 필요가 없다. 그러나 조상이 같은 다른 종은 미토콘드리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모노케로코모노이데스 역시 원래는 미토콘드리아를 ... ...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잎사귀로 우거진 숲에서 평생을 살아간다. 이들은 몸집이 작고 연약하기 때문에 수많은 동물들이 먹잇감으로 노린다. 그래서 아놀도마뱀은 몸을 숨기기 좋도록 비늘이 초록색이다. 나무 위에 꼭꼭 숨어있는 아놀도마뱀을 찾기란 보통 힘든 일이 아니다.하지만 제 아무리 위장술이 뛰어난 ... ...
-
- [과학뉴스] 물고기는 뇌가 작아야 건강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뇌가 작은 물고기가 뇌가 큰 물고기에 비해 면역력이 뛰어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동물들은 진화하는 과정에서 신체의 모든 기관들을 한 번에 발달시키지 못해요. 발달에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가 한정되어 있어서 한곳을 집중적으로 발달시키려면 다른 곳의 발달을 포기해야 하거든요.여러 ... ...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개구리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천적으로부터 자신의 몸을 지키기 위해 하얀 독액을 분비한답니다. 이 독액에는 동물의 신경을 마비시키고 심장을 멈추게 하는 성분이 들어 있어요. 하지만 잘 가공하면 약으로도 쓸 수 있지요. 실제로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는 예전부터 두꺼비 독을 이용해 심장의 기능을 보완하는 ‘강심제’를 ...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최시원, 꽃처럼 피었다 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싹을 틔운 뒤,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햇빛이 꼭 필요해요. 식물은 동물과는 달리 햇빛과 물, 이산화탄소로 스스로 양분을 만들어 살아가거든요. 그래서 ‘독립 영양 생물’이라고 부르지요.식물은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잎에 있는 *기공으로 들어온 이산화탄소를 재료로 빛 에너지를 ... ...
-
- PART 2. 생생 캐릭터, 탄생 현장을 가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얻은 데이터를 가공하기도 만만치 않아요. 이런 어려움 때문에 3차원 가상공간에 실제 동물과 꼭 닮은 디지털 캐릭터를 만드는 거예요. 감독이 원하는 방향과 거리에서 캐릭터가 연기하는 모습을 찍을 수 있으니까요.미래에는 애니메이션이 어떻게 달라질까요?지금까지 영화나 애니메이션은 막대한 ... ...
-
- Part 1. 뱀파이어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정체성, 그리고 생존을 위협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이 상상하는 귀신의 모습도 동물보다는 사람이 많고, 생판 모르는 남보다는 내 주변 사람들이 많다.요즘은 뱀파이어가 좀 더 활동적이고 사람과 가까운 모습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래서 사람과 친해지고 심지어는 사랑에 빠져, 다른 ... ...
-
- [과학뉴스] 물고기가 사람의 얼굴을 알아본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뇌를 가진 영장류에게만 있으며, 진화 과정에서 획득한 능력이라고 생각했다.옥스퍼드대 동물학과 카이트 뉴포트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얼굴을 구별하는 데 복잡한 뇌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온라인판 6월 7일자에 ... ...
-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배아에 주입하는 연구는 연구비 지원을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인간의 줄기세포가 다른 동물의 배아 안에서 다른 조직으로 분화하거나, 혹은 다른 기관에(극단적인 예를 들자면 돼지의 뇌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런 문제를 의식해서인지 인간-돼지 배아를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