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차세대 비행기 설계도 5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하늘 길은 바둑판 모양이어서 여객기가 선을 따라 지그재그로 비행해야 하거든요. 만약 전체 공역을 하나로 묶으면, 최단거리로 갈 수 있을 겁니다. 이렇게 되면 몇 대의 여객기가 동시에 같은 항로를 비행할 확률이 높아지는데, 철새처럼 편대비행을 하면서 연료를 아낄 수 있습니다.기자 : 실제로 ... ...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바람 방향을 생각하면 사우스조지아 섬이 그나마 가능성이 있어 보였다. 섀클턴은 탐험 전체에서 가장 무모하지만, 대원들의 생존 가능성을 가장 높일 수 있는 모험을 하기로 했다. 가지고 있던 보트 중 하나인 커드 호에 1개월치 식량을 실었다. 누더기가 된 보트를 타는 위험천만한 여행에 ... ...
- [Life & Tech] 한류스타가 내게 문자를?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있었다.2013년 11월 1일, 정식 서비스 출시 이후 1년 만에 700만 다운로드를 달성했다. 특히 전체 다운로드 중 90%가 중국, 대만, 동남아 등 해외시장에서 이뤄졌다. 팬들이 자발적으로 입소문을 내주는 덕에 지금껏 마케팅도 따로 하지 않았다.“구글 플레이어에 리뷰로 ‘왜 베트남어가 없어요?’라는 ... ...
- [수학뉴스] 현동훈 포스텍 수학과 교수 2014년도 젊은과학자상 수상수학동아 l2015년 01호
- 공간이란 쉽게 말하면 분류하고자 하는 대상이 있을 때 이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전체를 보여 주는 ‘지도’다. 예를 들어 지하철 노선도에서 점 하나와 역 하나가 일대일 대응하는 것처럼, 곡선 모듈라이 공간의 한 점과 곡선 하나가 대응을 이룬다. 지하철 노선도를 보면 A역에서 B역까지 ... ...
- [매스투어] 불교문화 속 띠군을 찾아~ 태국으로!수학동아 l2015년 01호
- 타이 왕국과 불교의 변천사를 보여 주는 중요한 유적지입니다. 1991년부터 도시 전체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돼 보호를 받고 있지요.가장 먼저 가볼 곳은 아유타야의 대표 유적지인 왓마하탓입니다. 태국어로 ‘왓’은 ‘사원’이라는 뜻이에요. 입구를 지나 천천히 걷다 보면 엄청나게 ... ...
- [과학뉴스] 전세계에 떠다니는 플라스틱, 26만9000t!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있는 플라스틱만을 추정한 것일 뿐”이라며 “어류가 삼킨 훨씬 많은 미세 플라스틱은 전체 해양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공공도서관학회지(플로스원)’ 12월 10일자에 발표됐다 ... ...
- [Life & Tech] 단식 반복하면 음식 중독 된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VTA)에서 분비된 도파민이 전전두피질, 측좌핵, 편도체, 해마 등 뇌 전체로 전달되면서 뇌 전체가 행복감을 느끼고, 이런 쾌감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서서히 중독이 된다. 실제로 음식에 탐닉하는 사람의 뇌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촬영해보면 약물이나 알코올에 중독된 사람의 뇌와 매우 ... ...
- [Knowledge] 3할 타자는 최고의 타자일까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갖는 것이다.서건창이 정말 최고타자인가이치로의 기록을 다시 살펴보자. 리그 전체 타율 1위, 아메리칸 리그 외야수 중 출루율 1위를 기록했지만 정작 최고의 공격력을 가진 선수에게 수여되는 ‘실버슬러거’는 받지는 못했다. 규정타석을 채운 아메리칸리그 외야수 25명 중에서 이치로는 OPS 7위, ... ...
- 2014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미래의 생태학자들, 한자리에 모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종합과학관에서 ‘2014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이 열렸어요. 이 날 수료식에서 전체 600여 명의 대원 중 열심히 활동한 200여 명이 수료증을 받았답니다. 지사탐 대장님의 멋진 인사와 친구들의 발표, 제인 구달 박사님의 깜짝 영상 편지까지…! 지사탐 1년의 기억을 가득 담고 있는 수료식 현장을 만나 ... ...
- 총알보다 빠른 혜성에 착륙하라! 로제타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P/추류모프-게라시멘코’야. 1989년 추류모프라는 소련의 과학자가 처음 발견한 혜성이지. 전체 모양이 오리처럼 생겼는데, 길이가 가장 긴 곳은 4.1km나 돼.이 혜성이 선택된 이유는 태양을 중심으로 주기적으로 돌고 있는 ‘주기혜성’이기 때문이야. 비주기혜성은 태양계를 한번 왔다가 떠나면 다시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