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d라이브러리
"
활용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大화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기능을 유지하면서 부품 수도 줄일 수 있어 일석이조다. 최근 국내 연구진은 여기에
활용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박장웅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액정에 삽입할 수 있는 투명하고 유연한 지문 센서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3일자 온라인판에 ... ...
물리학상 -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개발하는 기본 기술로
활용
되고 있다.현재 극초단 고출력 레이저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된다. 특히 펄스 폭이 펨토초(10-15초)인 ‘고출력 펨토초 레이저’는 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 분의 1m) 수준으로 초정밀 미세 가공을 할 수 있어 산업 분야에서 널리 쓰인다. 혈관 확장에 사용하는 의료용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고려한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2013년 IPCC 5차 보고서에서부터 미래 기후를 전망하는 데
활용
됐습니다. 필자가 속한 국종성 POSTECH 환경공학부 교수팀은 지구시스템 모델을 이용한 기후변화 실험에서 해양 식물성 플랑크톤이 기후변화에 반응할 때 북극 온난화를 증폭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 ...
[서울대 공대 | 재학생 인터뷰] 다양성이 모여 다채롭게 빛나는 산업공학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쉽지 않았다. 김 씨는 3학년 1학기까지는 내신에 ‘올인’했다. 자투리 시간을 최대한
활용
했고, 어떻게든 자습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려고 노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적이 안 나오는 경우도 있었다. 김씨는 “아무리 내신 관리를 잘 해도 누구나 한 번씩은 미끄러질 때가 있는 것 같다”며 ... ...
[과학뉴스] 얼음으로 도로 결빙 막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코팅 기술을 사용하지 않았다”며 “얼음이 자연 상태에서 지닌 화학적 특성을
활용
해 도로가 얼거나 서리가 생기는 현상을 막는 방법을 찾은 셈”이라고 밝혔다. doi:10.1021/acsami.8b1128 ... ...
[현장취재] 수청이와 제비의 계절이 돌아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지사탐 대원들이 업로드하는 자료는 과학자들의 논문과 수원청개구리 보호 사업 등에
활용
되는 소중한 정보”라며 “지사탐 대원들이 자부심을 갖고 탐사해 주면 좋겠다”고 말했답니다 ...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지금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게 큰 장점입니다. 건물에서 생산한 전기로 건물 주차장의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등
활용
할 방법은 무궁무진합니다.”세계적인 하이브리드태양전지(페로브스카이트) 연구자인 석상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특훈교수는 앞으로는 태양광 발전을 도시에 맞게 발전시킬 방법을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데 집중했다. 하지만 앨리슨 교수는 다른 연구자와 달리 CTLA-4 연구를 암 치료에
활용
하고자 했다. 수년간의 연구를 통해 CTLA-4 기능을 억제해 T세포를 활성화하는 CTLA-4 항체를 개발했고, 1994년에는 암을 유발한 실험용 쥐에게 CTLA-4 항체를 주입해 암세포를 제거하는 데까지 성공했다. 그러나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불과한 단백질을 대체 무엇으로 진화시킨단 말인가. 하지만 그는 이에 굴하지 않고 DNA를
활용
해 효소를 진화시킬 방법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그의 강한 추진력이 없었다면 노벨 화학상은 불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다. 노벨상 덕분인지 크리스마스나 추수감사절에도 잘 비지 않던 연구실이 10월 3일 ... ...
중국을 꿈꾸는 과학자들에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유학생들과 연구자들에게 관심을 갖고, 이들이 중국과 한국을 잇는 귀중한 자원으로
활용
될 수 있도록 힘을 실어 주길 기대한다. 정홍식 연세대 물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