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에어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사용된 열이나 외부공기는 다시 실외로 배출된다.이 에어컨은 실내기와 실외기의
구분
이 없는 일체형이다. 기존 에어컨과 비교하면 공기를 건조시키는 쪽이 실내기에, 습기제거장치를 말리는 쪽이 실외기에 해당하는 셈이다.또 연구팀은 습기제거장치에 넣는 습기제거제의 성능을 높였다. 종이 ... ...
은하수 속에 숨은 펠리칸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보이는가가 중요하다. 북아메리카성운 내부에는 산개성단이 존재하므로 별과 성운의
구분
이 어려운 반면, 펠리칸성운에서는 성운만 보이기 때문이다.오래 전 국내 관측가들은 이 두 성운이 맨눈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여겼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 두 성운은 아주 맑은 하늘에서 그 존재를 확인할 수 ... ...
04. 눈과 귀 창조하는 인공시청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제공한다.인공달팽이관이 장착된 문이 사람의 목소리나 잡음 섞인 소리를 명확히
구분
해 낼 수 있기 때문에 미래에는 더이상 열쇠를 많이 갖고 다닐 필요가 없을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도 음성인식을 통해 사용자를 확인함으로써 다른 사람이 마음대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조사하여 전체의 크기, 그 곳까지의 거리 및 공간의 운동 등을 연구한다 도형을 세분하여
구분
된 면적이나 체적을 구하고, 다시 이들의 합을 구한 다음 한없이 세분했을 때의 극한(極限) 값으로 본래의 도형의 면적 또는 체적을 구하는 방법 구상이나 회전타원체(回轉楕圓體)에 가까운 형상의 단백질 ... ...
03. 과학을 입는다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강한 섬유 등 용도에 따라 기능도 크게 다르다. 최근에는 스포츠 의류와 거리 패션의
구분
이 거의 사라지고 있는 추세다.따라서 스포츠나 레저용 의류 소재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점점 더 다양화, 고기능화되고 있다. 땀을 신속히 흡수하는 면제품이 스포츠 의류의 주종을 이루고 있을 때 섬유 ... ...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아주 맑은 밤이라면 성운을 흐릿하게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은하수의 조각인지 성운인지
구분
하기가 어렵다.쌍안경이 준비되면 좀더 명확한 볼거리를 구경할 수 있다. 여름철 은하수는 쌍안경으로 훑어보기에 너무나 좋은 곳이다. 특히 독수리성운이 위치한 곳은 더욱 그렇다. 쌍안경에서 ... ...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생체자기센서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며 “어떤 자기장 분포가 어떤 질환에 해당되는지 정확하게
구분
하기 위해 질환별로 표준화된 자기장 분포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앞으로의 연구 계획을 밝혔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미래 삶을 확 바꿀 10대 웰빙 테크놀로지 과학동아가 선정한 10대 웰빙기술 ... ...
한국, 인텔국제과학기술경진대회 입상 쾌거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동시에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홍 군의 작품은 클라이언트가 특정 메일을 스팸으로
구분
하느냐 하지 않느냐에 따라 적절히 스팸메일을 방지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편의를 도모하면서 스팸메일 방지기능을 극대화시켰다. 이는 IMAP과 SM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스팸메일을 걸러주는 기존의 스팸메일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구경할 때 활성화되는 뇌의 부위가 거의 동일하다면 정신적 사랑과 육체적 사랑의
구분
이란 무의미한가?우리를 헷갈리게 하는 것은 비단 이뿐만이 아니다. 최근 미 하버드대의 한스 브라이터 교수 연구팀은 코카인 중독자에게 코카인을 투여하면서 fMRI를 사용해 뇌의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는지를 ... ...
색동옷에 숨겨진 전통염색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철학적 근거를 둔다. 이에 근거해 생겨난 것이 오방정색과 오방간색, 그리고 잡색으로
구분
되는 독특한 색 분류체계다. 이같은 색체관은 유교와 도교사상과 어우러지면서 우리민족 고유의 색채의식에 영향을 미쳤다.우리민족의 색채의식이 일목요연하게 표현된 바로 오방색이다. 오방(五方)은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