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아버지가 우울하면 10대 자식도 우울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실시할 때 과거보다 아버지의 우울증에 더 초점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랜싯 정신의학’ 11월 15일자에 실렸다. doi:10.1016/S2215-0366(17)30408 ... ...
[과학뉴스] ‘귀염둥이’ 수달, 수백만 년 전엔 무시무시한 포식자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년 전 생태계에서는 동물계를 호령하는 포식자였을지도 모른다는 얘기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1월 9일자에 실렸다. doi:10.1038/s41598-017-15391- ... ...
[과학뉴스] 버려지는 양파껍질로 전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연구팀과 공동으로 양파 껍질을 사용해 전력 효율이 높은 압전소자를 개발하고
국제
학술지 ‘나노 에너지’ 12월호에 발표했다. 압전소자는 힘이나 자극이 가해질 때 압력을 전기로 바꿔 주는 소자를 말한다. 몸에 부착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등에 활용할 수 있지만 핵심 소재가 유해물질이라는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땅속을 지속적으로 자극해 작은 지진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그 근거로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2015년 6월 19일자에 발표된 논문을 들었다. 매튜 웨인가르텐 미국 콜로라도대 지질학과 연구원팀이 미국 중부와 동부에서 발생한 지진과 땅속 셰일가스 추출 작업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연구단 출범 후 최초 평가인만큼 지난 5년간의 성과와 과학적 진보에 대해
국제
적 수준에서 평가 의견을 받고 있다”며 “모든 평가위원들이 2박3일간 연구단 전체를 만나보고 질의응답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IBS는 올해 9개 연구단에 동료평가 방식을 적용할 계획이다. 하지만 일반 ... ...
[과학뉴스] 파킨슨병 원인, 30년 만에 뒤집혔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기저핵의 운동신경이 흥분할 경우 파킨슨병이 발병한다는 내용을 밝혀 신경과학분야
국제
학술지 ‘뉴런’ 8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의 기저핵 신경을 빛으로 자극해 파킨슨병 환자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도록 만들었다. 그러자 기저핵 주변 신경들은 기존 학설대로 억제되는 것처럼 ... ...
[과학뉴스] ‘뇌 하수구’로 치매 해결책 찾나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뇌에 있는 림프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결과인지 등을 연구할 계획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e라이프’ 10월 3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oi:10.7554/eLife.2973 ... ...
[과학뉴스] 전세계 꿀 75%에서 살충제 성분 검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연구팀이 전 세계에서 모은 꿀 75%에서 살충제 성분을 검출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10월 6일자에 발표했다. 에드와르드 미첼 스위스 노이샤텔대 생물학연구소 교수팀은 전 세계에서 수집한 198종의 꿀 샘플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의 살충제 성분이 남아 있는 지 조사했다. ... ...
[과학뉴스] ‘세레스’ 지형에 한국 신(神) 이름 붙었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연구팀 소속으로 2007년부터 돈이 보내온 데이터를 토대로 세레스 등을 연구하고 있다.
국제
천문연맹은 세레스가 로마 신화 속 곡물의 여신인 ‘케레스’에서 따온 만큼 세레스의 지명도 전 세계 농업의 신들 가운데 고르기로 방침을 정했다. 슈뢰더 박사는 “세레스에 있는 수천 개의 크레이터 ... ...
Intro. 北 핵실험으로 요동치는 백두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세계적인 권위자로 꼽히는 류자치(劉嘉麒) 중국과학원 원사는 최근 서울에서 열린
국제
학술회의에서 백두산 분화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번 핵실험의 여파로 백두산 인근에서는 자연지진이 세 차례 발생했다(10월 18일 기준). 백두산 지하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을지 추적해봤다. ▼관련기사를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