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량
우월
탁월
상위
유망
유명
저명
d라이브러리
"
우수
"(으)로 총 2,253건 검색되었습니다.
경이의 자연사박물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좋은 예. 이런 연구작업 중에서 '특정지역의 동식물보존방법'같은 테마가 박물관팀이
우수
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얘기다. 자료의 대여·교환도 중요한 기능 전시와 연구기능 이외에 자연사박물관이 맡고 있는 큰 역할이 '자문기능'이다. 학구적인 의문점은 물론, 상업적인 목적 등으로 많은 ... ...
한국과학기술대학 과학영재의 산실로 뿌리내리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14명에 불과하다. 2학년 수료자들이 대학에 들어와서 어느 정도 적응하는지, 아니면 더욱
우수
한 성적을 내는지는 아직 정확한 통계는 나와있지 않으나 대체로 중상위권 이라는 것이 직접 교육을 맡고 있는 이대학 교수들의 귀띔이다. 특히 87년도 입학생에는 과학고등학교 1학년 수료자들도 8명이나 ... ...
초전도체의 열풍속에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수 없게 새로운 기능의 칩을 내장한 신기종을 내놓았던 것이다. 이 신기종은 성능이 매우
우수
하다고는 하지만 일반고객들은 값이 비교적 비싸고 종전의 모델과는 전혀 호환성이 없는 이 신기종을 구입하기를 주저하고 있고 클론 메이커들도 이 신기종과 맞먹는 새로운 호환기종을 개발하고 있어 ... ...
미생물학은 생명과학의 총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산업적 응용이 넓은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기존의 단백질보다도 더욱
우수
하고 안정된 기능을 가진 단백질이나 자연계에 전혀 존재하지 않는 단백질을 만들어 낼 수 있어 새로운 세대의 의약품, 산업용 효소를 비롯해서 심지어는 바이오칩, 바이오센서 등의 반도체로도 활용이 ... ...
학문의 길로 가고 싶은데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경우라면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이 집안의 부담을 덜어주는 길이 된다. 각 대학이 아주
우수
한 학생에게 장학금을 주는 것은 잘 알 것이다. 또 과학기술대에 입학하면 돈걱정은 별로 안해도 된다. 포항공대도 장학금혜택을 많이 준다. 대학졸업후 과학기술원에 들어가면 수업료·숙식비 걱정을 ... ...
커트라인, 작년보다 높아질듯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순으로 돼있다. 김호길학장은 "서울대합격자수로 고교의 우열을 따지는 폐습으로 인해
우수
한 학생들이 포항공대를 오고 싶어 해도 못오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항공대를 지원한 학생이야말로 개척정신이 있고 과학자의 자질을 갖춘 학생일 것이라고 평가하면서 과학에 전념할 ... ...
산학 협동으로 현장교육 중시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우수
한 학생들이 대거 유학왔던 게 사실. 그러나 그후 시도단위로 예비고사를 실시해
우수
학생 유치에 타격을 받았고 졸업정원제 실시후의 양적팽창에 따라 질적저하가 초래되었다는 것이 학생들이나 학교측이 공통적으로 느끼는 점이다. 게다가 지방을 경시하는 중앙집권적 풍토에서 지방대학이 ... ...
은행잎 수출, 논쟁의 내막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팔리고 있으며, 이를 원료로 만든 약품들이 세계시장에서 팔리고 있다는 사실이 약효의
우수
성을 웅변해주고 있는게 아니냐는 주장도 있다. 은행잎전쟁의 배경 '은행잎 수출'을 둘러싼 논란도 은행잎의 약효 못지 않게 관심을 끌고 있는 대목이다. 은행잎의 수출물량은 전국의 20~30군데 ... ...
여학생으로 보다 적합한 선택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예컨대 인식능력에서도 여성은 언어능력과 직관력 통찰력, 남성은 입체공간적 능력에서
우수
한 것으로 특징지워져 있다. 그러나 이런 일반적 차이가 마치 여성에게 과학적 능력이 결여된 것처럼 확대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여자는 원래 수학적 능력이 뒤진다는 생각도 실험적 프로그램으로 ... ...
창원기능대학 산업현장의 고급 기능인력을 길러낸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등에 대해 연수를 마치고 귀국했다. 새기술을 흡수한 이런 교수진이 학생들을
우수
한 고급기능인으로 양성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산업체가 기계 철강 조선 자동차 전자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발전해가면서 기능대학이 배출하는 고급 기능인력 수요도 점점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