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원
박사
의도
의향
doctor
딱터
d라이브러리
"
의사
"(으)로 총 2,954건 검색되었습니다.
허준은 스승의 시신을 해부했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존재했다. 그것은 오늘날의 수술 형식과 거의 똑같은 것이다. 중국에서는 당나라 때의 한
의사
가 이런 수술을 10여 차례 성공적으로 치러냈다고 하며, 청나라 때에는 이런 수술법 내용이 의학 서적 안에 자리잡았다. 중국의 경우와 달리 조선에서는 ‘언청이’ 수술에 대한 내용이 알려져 있지 않다. ... ...
소비자와 직접만나는 델컴퓨터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있다고 생각했다. “와! 엄청난 돈벌이가 있네.” 그러나 아쉽게도 델의 부모는 자식이
의사
가 되기를 원했기 때문에 그는 텍사스대학으로 의학공부를 하러 떠나는 수밖에 없었다.대학생활은 그에게 따분함만 안겨주었다. 그는 수업을 팽개치고 학교 기숙사에서 PC를 조립해 친구나 다른 고객들에게 ... ...
2. 별 여행을 실현시킬 미래의 추진기술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기계팔을 사용해 수리한다. 지구로부터 원격조작이 미치지 못하므로 우주선 스스로
의사
결정해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를 내장하고 있다.다이달로스는 무수한 별들만 보면서 암흑의 공간을 일직선으로 약 40년 여행하면 겨우 버나드별과 1광년의 거리에 도달한다. 만약 거대한 행성이 발견되면 앞 ... ...
눈물 젖은 꿈 우주에 띄운 '우리별' 주역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유사장이 배워 온 기술이 1회용이 아니었음이 입증된 셈이다.사실 유사장의 어릴 적 꿈은
의사
였다. 13년간 병석에 누워 계신 아버님을 치료해 드리고 싶어서였다. 하지만 우주를 향한 그의 마음은 가슴속에 깊게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 초등학교 담임선생님이 건네준 ‘환희의 세계’란 책을 ... ...
지구 온난화가 설사병 증가의 원인?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지구 온난화 현상이 어린이 설사병 증가와 관련있다는 주장이 처음으로 제기됐다. 미국 존스홉킨스 공중보건대학의 과학자들은 페루의 리마에서 어린이 5만7천3백31명을 대상으로 실 ... 이 연구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어린이 설사병 예방 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됐다며 환영
의사
를 밝혔다 ... ...
1. 천연두가 지구상에서 사라진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합리적인 기술이 없던 당시로서는 당연한 일이었다.소젖 짜는 여인의 비밀1798년 영국
의사
에드워드 제너는 천연두 바이러스 대신 이보다 독성이 약한 우두 바이러스를 사용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했다. 제너는 우연히 우두에 걸린 소젖짜는 여자들이 천연두에 걸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
성형수술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하려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개성에 맞춰 해야 한다는 인식도 넓게 퍼져있다. 성형외과
의사
에게 유명한 배우 사진을 내보이며 “이렇게 해주세요”하는 사람들이 많이 줄어들고 있는 것이 그 예다.성형외과(plastic surgery)라는 용어는 그리스어로 ‘형태를 만든다’는 의미의 플래스틱코스(plasticos ... ...
한국인의 눈이 작은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특징적인 주름으로, 북미 인디언에게서도 발견된다” 라고 쓰여있다. 그런데 성형외과
의사
들은 몽골주름이 눈의 가로 길이를 짧게 만들기 때문에, 눈의 세로 길이를 넓게 하는 쌍꺼풀 수술을 하면서 동시에 몽골주름을 제거하면 눈이 훨씬 더 커보인다고 말한다.이처럼 쓸모없어 보이는 몽골주름이 ... ...
도메인 네임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도메인을 닉스라는 회사가 3억에 샀으며, ‘eyedoctor.pe.kr’ 라는 개인 도메인이 안과
의사
인 함창훈 씨에게 1천만원에 팔렸다. 또한 지난 1월20일 인터넷업체 두루넷은 인터넷 도메인 Korea.com을 재미교포로부터 5백만달러(약 55억원)에 사들였다. 이렇게 고액으로 도메인 네임을 사들이는 사람들은 ... ...
턱도 디스크에 걸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생활습관 하나가 어느 순간 무서운 존재로 변할 수 있다는 점을 새삼스럽게 깨달았다.
의사
의 설명으로는 인구의 30% 정도에서 턱에서 소리가 발생하거나 통증을 느낀다고 한다. 적지 않은 수다. 물론 이들이 모두 병원에서 치료를 받을 필요는 없다.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 그리고 통증이 없지만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