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d라이브러리
"
확인
"(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 인터뷰] 살아있는 드릴? 돌 먹는 민물조개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4호
이 돌의 화학 성분을 분석했는데, 우리가 뚫은 바위(사진➋)와 같은 성분인 것을
확인
했어. 연구팀은 리토레도 아바타니카가 돌에서 어떤 영양분을 얻는지는 알지 못했어. 대신 새들이 소화를 돕기 위해서 모래주머니 속 돌조각을 이용하는 것처럼 플랑크톤이나 다른 먹이를 잘게 부수기 위해 돌을 ... ...
달 착륙 50주년, 다시 달의 땅 밟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4호
어떤 분야에 참여할지 확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답니다.▲ PDF파일에서 고화질 이미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028년 달기지 건설은 어디에? NASA는 달에 사람이 살 수 있는 기지를 건설할 예정이에요. 달은 영하 170℃에서 영상 130℃까지 기온 차이가 크기 때문에, 기지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 ...
기생충을 사랑한 과학자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초파리에 있는 동양안충의 유충을 자신의 눈에 옮긴 뒤, 이것이 제대로 성장하는지를
확인
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하지만 아쉽게도 실험은 실패로 끝났고, 이후 다른 연구자에 의해 수컷 초파리가 동양안충을 퍼뜨린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
[과학뉴스] 개의 눈이 선한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눈윗근육과 눈옆근육이 발달하도록 진화해 동글동글한 눈 모양을 만들 수 있는 것을
확인
했지요. 연구팀은 “사람이 개를 가축화하는 과정에서 선한 눈의 개를 선택함으로써 개의 진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본다”고 밝혔답니다 ... ...
점점 더 진화하는 이모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작가 빅토르 위고의 작품 ! 트위터 사용자들이 이모지로 만든 줄거리를
확인
해 보세요. 이해가 되나요? 심지어 한 권 전체가 이모지인 책도 있어요. 2009년, 미국의 개발자인 프레드 베넨슨은 허먼 멜빌의 소설 을 이모지로 다시 쓴 을 출판했죠.책 한 권을 통째로 쓸 ... ...
[가상충돌 D-8년] 너란 소행성 처음이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시나리오에 따르면 2019 PDC는 최근까지 존재조차 몰랐던 소행성이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궤도부터 추정하려고 서둘렀어요. 왜 2019 PDC는 지금껏 발견되지 않았을까요? 미발견 ... 과학자들이 2019 PDC의 궤도 추정에 3년을 써야 했던 이유랍니다. ▲PDF파일에서 고화질 이미지를
확인
할 수 ... ...
괭이갈매기 알로 어떤 연구를 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더 작거든요. 태안해경에서 받은 알과 올해 저희가 난도에서 잰 알의 크기를 비교해서
확인
하려고요. 또 야외에선 정확히 구별할 수 없었던 알 색깔과 패턴의 차이도 연구할 계획이랍니다 ... ...
[에디터노트] 십 년이 지나도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의 존재도 이를 찾아내려는 25년간의 노력 끝에
확인
됐다(2016년). 생명공학 분야에서는 원하는 부위의 DNA를 정교하게 잘라내는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CRISPR)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가 2015년 ‘올해의 혁신적인 기술(Breakthrough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최초 달성 올해가 양자컴퓨터 개발의 터닝포인트가 될 것이라던 그간의 전망이 사실로
확인
됐습니다. 구글은 54큐비트로 구성된 양자컴퓨터용 칩 ‘시커모어(Sycamore)’가 특정 과제를 푸는 임무에서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슈퍼컴퓨터를 완전히 압도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10월 23일자 ... ...
‘알라딘’의 파란 피부 지니는 청색증 환자?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설파닐아미드(Sulfanilamide) 가 포함된 ‘수마트립탄’이라는 두통약을 복용한 것으로
확인
됐다. 2007년 의학학술지 ‘랜싯’에는 이 환자의 사례를 포함해 설프헤모글로빈혈증(Sulfhemoglobinemia)을 다룬 논문이 실렸다. doi: 10.1016/S0140-6736(07)60918-0 혈액이 무색인 척추동물 사람뿐만 아니라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