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동"(으)로 총 6,60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굶주림은 꿀벌을 강하게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살펴봤지요. 애벌레 때 먹이를 적게 먹은 꿀벌의 경우, 먹이가 부족한 상황에서 생체 활동을 조절해 적당한 수준의 혈당량을 유지할 수 있었어요. 또한 먹이가 풍족했던 꿀벌에 비해 신경질적인 행동도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답니다.일리 : 꿀벌은 강한 적응력을 가지고 있구나!꿀벌 : 연구팀은 ... ...
- [소프트웨어] 마인크래프트로 배우는 코딩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컴퓨터적 사고법과 같은 논리적인 사고력이 필요하다. 마이크로소프트 배진희 기업시민활동 담당자는 “마이크로소프트는 청소년들이 코딩을 배워 직접 문제를 해결해 보는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컴퓨터적 사고법★컴퓨터처럼 논리적인 흐름에 따라 ... ...
- [수학동아클리닉] 꼬리에 꼬리를 무는 부등식 도미노수학동아 l2016년 08호
- . 문제 카드와 해 카드를 분리한 뒤 각각의 문제에 맞는 해를 찾는다. 이때 모든 아이들이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반드시 한 사람이 한 문제 이상을 풀도록 한다.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서는 각자 수준에 맞는 문제 카드를 선택해 푸는 것이 효과적이다.3. 전지 위에 ‘Start’ 카드를 붙인 뒤 문제 ... ...
- Part 2. 남극, 가장 뜨거운 바다에서 얼음 대륙이 꽃피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증거들이 남아있다. 제임스 클락 로스 탐사팀이 목격했다는 에러버스 산의 화산활동 역시 맨틀 플룸의 잔존 효과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비밀3 고립된 뒤 더 추워졌다그렇다면 남극대륙은 왜 두터운 빙하로 덮이게 됐을까. 우선 남극대륙이 남극점을 포함하는 고위도에 위치하고 있다. 위도가 높기 ... ...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한 창고에서 3800여 마리의 필리핀숲거북이 발견됐다는 신고였다. 거북생존연합회의 환경활동가들과 수의사, 그리고 거북학자들이 필리핀으로 총출동했다.현장에 도착한 사람들은 경악했다. 물이 있는 넓은 공간에 살아야 할 필리핀숲거북이 비좁은 창고 안에 수북하게 쌓여 있었기 때문이다. ... ...
- [Tech & Fun] 우리 집 실험실 만들기 Lab Me Home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아마추어를 위한 실험실이라니, 뭔가 싸고 간단할거란 생각이 들었다! 그중 가장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진스페이스(genspace)’는 미국 뉴욕에 실험실을 운영 중이다. 이들에게 홈메이드 실험실 만들기 노하우를 배우기 위해 뉴욕을 찾았다.#구사일생 #하늘이_무너져도_솟아날_구멍뉴욕에서 ... ...
- Part 1. 북극, 빙하기 동해 닮은 비밀의 얼음 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경우 깨진 틈이 상대76적으로 많아 해수의 침투와 분출이 용이했고, 그 결과로 열수 활동이 강화됐을 거라 추론하고 있다(doi:10.1038/nature01704). 비밀 4. 320만 년 전, 해빙 본격 출현그렇다면 북극해 환경은 어떻게 변해왔을까? 북극의 기온, 결빙 면적의 변화가 우리나라를 비롯한 북반구 환경에 큰 ...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이용한 훈련입니다. 바이오피드백은 심장의 활동(EKG), 근육활동(EMG), 피부의 전기활동(SC), 뇌의 전기적 활동(EEG) 등을 이용해, 선수의 심리상태를 파악하려는 시도죠.캐 병원에서 사용하는 것들 아닌가요?해 네. 1960년대에 의학 분야에서 처음으로 활용됐습니다. 호흡이나 근육이완훈련 등을 통해 ...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대문에 작은 틈을 만들거나 천적을 막아 줄 까마귀 모형을 다는 등 적극적인 제비 보호 활동을 벌이고 있답니다. 제비는 사람들이 바꾼 환경 때문에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거였어. 앞으로 우리 흥부자는 제비들이 잘 살 수 있는 환경을 가꾸기 위해 노력할거야. 뭐 꼭 박씨 때문은 아니고…, 흠흠… ... ...
- [따끈따끈한 수학] 이름 따라 행복한 결말 맺을까? 해피 엔딩 문제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에르되시와 함께 쓴 논문도 여기에 해당하지요. 1970년대에는 호주수학회 회장으로도 활동했습니다.세케레시와 에르되시가 발표한 1935년 논문은 램지 이론★과 조합 기하★ 분야의 시작이 되는 중요한 연구입니다. 논문에는 다음과 같은 정리가 증명돼 있습니다.[램지 이론★ 꼭짓점의 크기가 ... ...
이전202203204205206207208209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