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6,95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DNA메모리·바이오닉 슈트 등 미개척 융합기술개발 공모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23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지금까지 학계에 보고된 기간 중 최장기간이다. 연구팀은
세포
막 양면이 각각 친수성과 소수성을 가지는 데 착안해 친수성과 소수성 블록을 반복적으로 배열한 블록코폴리머를 이용했다. 실리콘 기판 위에 지름 8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크기 구멍 수만 개를 ... ...
우주인이 길러 먹는 골다공증 막는 양상추
동아사이언스
l
2022.03.22
일어난 것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박테리아의 일종인 ‘아그로박테륨’으로 양상추
세포
를 감염시키고 거기에 뼈 성장을 자극하는 부갑상선호르몬을 만들어내는 유전자를 집어넣었다. 그 결과 양상추 1kg당 약 10~12mg의 부갑상선호르몬이 들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 380g의 상추를 먹을 경우 ... ...
차세대 면역항암제 'TIGIT 억제제' 개발 '봇물'...한올바이오파마·유한양행도 도전장
동아사이언스
l
2022.03.22
신약물질 ‘비보스톨리맙’을 합친 복합체 ‘MK-7684A’의 절제 불가능한 국소진행성 비소
세포
폐암 환자 대상 임상 3상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 로슈도 지난해 12월 PD-1 억제제와 TIGIT 억제제 병용 투여 임상 2상을 국내에서 시작했다. 안혜경 한올바이오파마 본부장은 면역항암제가 ... ...
'크리스퍼 베이비' 중국 과학자 출소 임박…배아 유전자 편집 논란 재점화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3.22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유전자 교정을 논하는 국제회의'에 참석한 과학자들은 "인간 생식
세포
에 대한 유전자 교정은 기초연구에 한해 법과 윤리적 규칙에 따라 이뤄져야 한다"며 배아단계까지만 실험하는 것을 허용한다는 내용을 합의됐다. 한국은 2005년 ‘황우석 사태’이후 배아를 활용한 연구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탄소중립 앞당길 미생물 공장
2022.03.22
오토에타노게눔은 어디서 에너지를 얻는 것일까. 장에서 발생한 일산화탄소를 흡수하면
세포
안에서 이산화탄소로 바뀌고 이 과정에서 나온 전자가 에너지를 담고 있다. 그 뒤 오토에타노게눔이 수소분자도 먹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수소분자가 수소이온으로 바뀌며 역시 고에너지 전자가 ... ...
[과기원은 지금] 김재경 KAIST 교수팀
세포
이질성 원인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22.03.22
정도가 다른 원인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외부 자극에 대한
세포
간 이질성의 크기가
세포
내 신호 전달 과정의 반응 속도 제한 단계의 수에 비례한다는 분석이다. 화학 요법 치료의 효과를 개선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8일자에 ... ...
SK 바이오사이언스 첫 국산 코로나 백신 1000만회분 공급계약
동아사이언스
l
2022.03.21
‘재조합 백신’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표면항원 단백질을 투여하면 체내에서 면역
세포
를 자극해 중화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GBP510은 항원 노출을 증가시키는 기술을 활용해 항체를 많이 생성, 면역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개발됐다는 게 SK바이오사이언스의 설명이다. 섭씨 2∼8도의 ... ...
냄새 찾아가는 벌레 담은 ‘웜온어칩’ 폐암도 탐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21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찾아내 감도와 정확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미 선충을 폐암
세포
쪽으로 유인하는 특정 냄새 분자를 확인했다. 연구팀은 “의료진과 협력 연구를 통해 폐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도록 후속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 ...
돌연사 주범 심부전 발생위험 높이는 단백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21
증가했음을 발견했다. 세레블론은
세포
내에서 특정 단백질의 분해를 결정하여 다양한
세포
기능을 조절하는 단백질로 2004년 최초 발견됐다. 연구팀은 심장에서 해당 유전자 조작 생쥐 모델을 제작하고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세레블론 단백질이 심장 수축력을 조절하는 칼슘 통로를 직접적으로 ... ...
암
세포
주변에서만 모양 바꿔 침투해 암
세포
죽이는 나노입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20
아이디어를 얻었다”며 “약물 없이 나노머신에 붙은 분자의 기계적 움직임으로 직접 암
세포
에 침투해 사멸시키는 새 방식을 제시했고 기존 항암치로 부작용을 극복할 수 있는 새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2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에 실렸다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