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981건 검색되었습니다.
달 착륙 후보지 탐색하고 우주인터넷 검증…한국형 달궤도선 임무 첫 공개
2021.04.01
달 주위 자기장과 달 표면의 자기장 이상 지역을 찾는다. 지구 자기장의 수십 분의 1
크기
인 1000 나노테슬라(nT·10억분의 1T) 수준의 미세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다. 달 주변 우주공간의 자기장을 측정해 태양과 지구, 달 사이 우주환경을 연구하는 임무도 수행한다. 김대관 항우연 달탐사사업단 ... ...
3D 프린팅으로 나노미터 구조물 수천개 동시에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1
정전기 렌즈를 통해 뒤이어 도달하는 나노입자들을 구멍 중심으로 집중시켜 100나노미터
크기
의 에어로졸로 집속시키는 원리를 3D 프린팅 기술에 활용했다. 특히 3D 나노 구조물을 한 번에 수천개 이상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이 개발한 3D 나노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면 3D 나노 ... ...
무절연 고온초전도 자석 만든 한승용 서울대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3.31
고온초전도 자석’을 개발했다. 기존 세계 최고 성능의 초전도 자석(총 무게 35t)에 비해
크기
와 무게를 100분의 1로 줄인 초소형·초경량 초전도 자석을 개발한 것이다. 이를 통해 지난 20여년 간 깨지지 않았던 직류 자기장 최고 기록인 44.6테슬라의 벽을 넘어 45.5테슬라를 달성하는 데 성공했다. ... ...
[화보+]'찰칵' 바다문어가 촉수로 찍은 셀피
동아사이언스
l
2021.03.30
흔히 음식으로 소비하는 ‘아귀’의 모습이다. 성체가 되기 전 아기 아귀의 모습으로
크기
가 2mm에 불과하다. 수중사진 가이드∙ 스티븐 코박스 제공 두 마리의 게가 같이 들러붙어 짝짓기를 하고 있다. 짝짓기를 하며 점점 더 깊은 심해 속으로 잠수해 들어가는 모습을 포착했다. 미국 플로리다 ... ...
'미세먼지 심할 땐 힘든 운동 피하세요' 젊은층에 역효과·혈관질환 위험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1.03.30
담은 연구결과를 30일 국제학술지 ‘유럽심장저널’에 발표했다. 미세먼지(PM10)는 입자
크기
가 10㎛(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 이하인 먼지다. 미세먼지 중 입자가 2.5㎛ 이하면 초미세먼지(PM2.5)로 분류된다. 미세먼지는 심혈관질환을 일으키는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규칙적인 운동은 ... ...
자손 낳는 인공생명체 세계 첫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1.03.30
인공생명체 JCVI-syn3A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JCVI-syn3A의 모세포에서 증식한 딸세포는
크기
와 형태, 유전자 구성에서 완전히 일치했다. 연구진은 NIST의 특수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살아있는 이를 확인했다. MIT 연구진은 전자현미경 관찰이 진행되는 중에도 JCVI-syn3A에 영양분을 공급해 세포 분열이 계속 ... ...
미 북서부 나타난 때아닌 유성우…정체는 재진입 실패한 스페이스X 로켓
동아사이언스
l
2021.03.29
알 수 없는 이유로 재진입이 지연된 것이다. 팰컨9의 2단 발사체는 길이 7m, 지름 3.6m
크기
로 무게는 3t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스페이스X는 이번 현상이 팰컨9의 잔해라는 것과 관련해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았다. 에릭 라스무센 트위터 캡처 제임스 데이븐포트 워싱턴대 천문학부 교수는 ... ...
[프리미엄 리포트]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1.03.27
추출한 에너지를 지구로 옮기기엔 지구와 블랙홀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다. 블랙홀의
크기
가 태양계 전체보다 큰 만큼 이를 둘러싸는 구조물을 만드는 것도 현실적이지 않다. 그럼에도 과학자들이 블랙홀에서 에너지를 추출하는 이론을 연구하고 실험하는 이유는 블랙홀을 이해하는 좋은 ... ...
[지구는 살아있다] 왜 설악산 돌은 밝은색이고, 제주도 돌은 어두운색일까
2021.03.27
띤다. 화강암과 현무암의 광물 입자
크기
는 왜 차이가 나는 걸까. 광물 입자의
크기
는 마그마가 식는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액체 상태로 녹아있던 마그마는 식으면서 천천히 고체 상태의 결정으로 변한다. 이때 마그마가 천천히 식을수록 광물 결정은 크게 자란다. 화강암은 땅속 깊은 곳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실험실에서 탄생한 태아의 씨앗 '배반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3.27
3차원으로 쌓아올려서 배반포랑 유사한 조직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 조직의 형태,
크기
, 세포, 구성 등이 실제 사람의 배반포와 유사다는 것을 확인했고 단일 세포 RNA 시퀀싱을 이용해 이 조직을 분석한 결과 RNA 성분도 비슷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호세 폴로 호주 모나시대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