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뉴스
"
사람
"(으)로 총 22,313건 검색되었습니다.
심부전증 원인 유전자 찾았다
2014.08.17
중 약 10%가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다는 사실을 찾아냈다. 이 유전자가 쥐뿐 아니라
사람
에게도 심근병증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유전자 검사를 통해 심근병증과 심부전증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됐다”며 “심근병증의 발병 메커니즘을 밝혀낸 만큼 치료에도 ... ...
“필즈상 ‘40세 나이제한’ 철폐 검토 하겠다”
2014.08.15
젊고 유망한 수학자에게 줘야 한다는 약속 정도였는데 어느 순간 40세로 굳어졌다”며 “(
사람
들의) 평균수명이 높아지고 지금의 40대는 수학자들이 왕성히 활동하는 시점이어서 이 제한에 논란이 있다”고 밝혔다. 박 위원장은 또 “4명의 수상자를 세계수학자대회 행사 당일까지 비밀로 하는 ... ...
식물끼리 대화, 어떻게 하나 봤더니
2014.08.15
사람
이 이야기를 나누듯 식물도 대화를 나눈다. 단, 대화의 수단은 화학물질이다. 가령 한 식물이 곤충의 공격을 받으면 ‘푸른잎성분’이라는 휘발성 물질을 분비해 동료 식물에게 위험을 알리는 식이다. 최근 한국인 과학자 김건준 씨가 논문 1저자로 참여한 미국 버지니아공대 연구진은 ... ...
"정신이 없어서 필즈 메달이 뒤바뀐 것도 몰랐어요!"
수학동아
l
2014.08.14
각자의 이름이 새겨져 있는데 시상식을 마치고 난 뒤에야 네
사람
모두 서로 다른
사람
의 필즈메달을 가지고 있다는 걸 알고 바꿨다"고 시상식 뒷이야기를 전했다. 필즈상 수상자 만줄 바르가바 교수가 밝은 표정으로 질문에 답하고 있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한 시간 넘게 이어진 인터뷰에서 ... ...
영화 속 거대한 바다 소용돌이 만든 수학자, 가우스상 영예 안아
수학동아
l
2014.08.14
답을 찾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수학 분야에 뛰어난 업적이 있는
사람
에게 주는 ‘천상’은 복소기하에서 초월적 방법론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킨 필립 그리피스 미국 프린스턴고등연구원 명예교수(72)가 받았다. 그는 미국 프린스턴대, 하버드대, 듀크대 등에서 교수를 지내며 우수한 ... ...
하품 따라하는 보노보, 낯선이에게도 '공감' 느끼기 때문
2014.08.13
느끼는 등
사람
과 비슷한 공감능력이 비슷하다고 알려져 있었다”며 “이번 연구 결과로
사람
과 보노보의 공감능력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과학학술지 '피어제이(PeerJ)' 12일자에 실렸다. ... ...
‘수학계 올림픽’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막 올랐다
2014.08.13
수브하시 코트 미국 뉴욕대 교수에게 돌아갔다. 수학 분야에 뛰어난 업적이 있는
사람
에게 주는 ‘천 상’은 필립 그리피스 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원 명예교수가 받았다. 각 상은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수여해 ICM 역사상 최초의 여성 시상자가 됐다. 개막식 전반을 진행한 잉그리드 도브시 ... ...
게임만 했는데 3차원 뇌지도 제작이 끝~
과학동아
l
2014.08.12
사람
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홍보 캠페인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 게임은 다수의
사람
들이 많은 시간을 투자할수록 더 빨리 뇌 지도를 완성할 수 있다. 아울러 KT는 게임 참여자들의 이용행태에 대한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다른 IT서비스에도 활용하기로 했다. 황창규 KT 회장은 “KT는 ... ...
우리가 작아진다면?
수학동아
l
2014.08.12
치즈도 작은 크기로 자른 다음에 또 다시 작게 갈아서 먹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작은
사람
들이 먹기에는 치즈가루가 커 보인다. - 데이비드 길리버 제공 이 밖에도 수학동아 8월호에서는 디오라마 사진작가 데이비드 길리버의 다양한 작품 사진과 함께 디오라마 촬영 기법에 대한 인터뷰도 만나 ... ...
사카린은 설탕을 대신할 수 있을까
2014.08.11
일으키고 기억력도 높인다고 해석했다. 위의 동물실험 같은 엄격한 상황을
사람
들의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사카린 같은 인공감미료가 설탕을 결코 대신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리기는 아직 섣부르다고 봐야할까. 놀랍게도 식품회사들은 이미 인공감미료로는 역부족이라는 사실을 ... ...
이전
2074
2075
2076
2077
2078
2079
2080
2081
20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