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쿨
학원
배움터
핵교
학당
학겨
핵겨
d라이브러리
"
학교
"(으)로 총 5,431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독성물질로 프린트 하시겠습니까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면역계가 완성되지 않은 어린 아이들은 이런 물질에 어른보다 훨씬 더 취약해요. 초·중
학교
의 방과후 교실에서 FDM 프린터의 유해한 면을 전혀 모른 채로 아무런 규제 없이 사용하고 있다는 건 우려할 만한 상황이죠. 학생과 학부모, 교사의 알 권리가 전혀 충족되지 않고 있습니다.” 일부 제조 ... ...
[비주얼 과
학교
과서]'신풍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무척 싫어하셔. 그래서 마음이 내키실 때까지 교문 앞에서 기다리게 하는데, 몇 달 걸려
학교
안으로 들어온 학생도 있었다고 해.”오로라의 말에 시원이는 기가 막혔어요.“뭐? 여기서 마냥 기다리라고? 이 짐을 좀 봐! 이걸 메고 2시간이나 걸어 들어왔다고!”시원이의 말에 오로라가 침착하게 ...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충분하다고 생각해요. 사실 저도 수능시험 이후로 생물학 책을 본 적이 없었어요. 고등
학교
때 배운 생물 지식이 전부였어요. 그래서 박사과정 때 생물학과 신입생이 듣는 수업부터 차근차근 들었어요. 수리생물학에도 분야가 아주 많아서 자기가 하고 싶은 분야에 필요한 수업만 골라 들으면 돼요 ...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나비 모양 영역을 벗어나지는 않는다.Fractal그 많은 치즈는 다 어디서 왔을까?다음은 고등
학교
에서 배우는 극한에 관한 문제다.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1인 정사각형 안에 선을 그어서 가로 세로 길이가 인 9개의 정사각형으로 나눠보자. 가운데에 있는 정사각형 하나를 밖으로 들어낸다. 이제 남은 ... ...
[Tech & Fun]시작은 절대 반이 아니야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학교
다닐 때, 명문대 사진을 표지로 한 노트가 유행이었다. 친구 중에는 어떤 대학에 꼭 가겠다며 그 대학노트로만 공부를 하는 친구도 있었다. 한술 더 떠 그 대학에 직접 방문하고 캠퍼스 생활을 알아보기도 했다. 추측건대 ‘합격한 이후의 삶을 꿈꾸는 것’이 힘든 수험생활을 이기는 친구만의 ... ...
[특별 인터뷰]미생물 영재, 윤관우 기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탐방하고 이 내용을 기사로 써서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에 올릴 계획이랍니다.”“초등
학교
입학 전부터 어려운 과학적 사실들을 재미있는 만화로 풀어 주는 를 즐겨봤어요. 그런데 친구들과 함께 탐구하고, 탐구한 것을 나눌 수 있는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이 생겨서 ... ...
보온에서 생존 비결까지! 털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4호
미국 컬럼비아대
학교
응용물리학과 위난팡 교수와 스위스 취리히대
학교
, 미국 워싱턴대
학교
공동연구팀은 사하라사막 은색 개미의 생존 비결에 대한 연구 결과를 2015년 6월 19일자 사이언스지에 발표했어요.사하라사막 은색 개미는 보통 개미와 달리 몸 전체가 은색 털로 뒤덮여 있어요. 연구팀은 ... ...
영화를 더욱 생생하게! 비주얼 미디어랩을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3호
위해 나오신 홍석표 선생님이 명예기자들을 데리고 간 곳은 소형영화관이었어요.
학교
안에 어떻게 영화관이 있는 걸까요?“이곳은 우리 연구실에서 스크린X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만든 영화관이에요. 보통 영화관에서는 앞에서만 영상이 나오잖아요? 그런데 스크린X는 앞은 물론, 좌우 양쪽 ... ...
Part 2. 닭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사실을 알아냈지요.그럼 적색야계는 어떻게 가축이 됐을까요? 스웨덴 리코핑대
학교
페르 젠슨 교수팀은 적색야계를 몇 대에 걸쳐 직접 키워 봤어요. 그 결과 5대째에 이르자 사람에게 친숙하게 길들여진 적색야계들만 신진대사가 빨라지며 체중도 쑥쑥 늘어났지요. 또 사람에게 적대적인 무리에 ... ...
기후변화의 비극 환경난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곳을 잃고 떠돈다는 게 얼마나 힘든 일인지 너희들은 모를 거야. 이곳 난민 캠프에서는
학교
도 다닐 수 없고 마실 물도 늘 부족해. 게다가 부모님을 잃은 친구들도 얼마나 많은지…. 그런데 앞으로 기후변화로 인해 살곳을 잃은 사람들의 수는 점점 더 많아질 거래.2050년까지 환경난민 3억 5000만 명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