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향
효험
효능
결과
효력
작용
가치
d라이브러리
"
효과
"(으)로 총 6,539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보] 여름 방학, 도형을 정복하라!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부족하다고 여기는 학년을 선택해 쉬운 문제부터 도전하세요. 학교 성적으로 바로
효과
가 나타나지는 않겠지만, 여러분의 수학 실력은 반드시 도약하게 될 겁니다.도전은 용기를 가져야만 할 수 있어요. 자신의 현재 위치를 부끄러워하지 마세요. 수학이 어렵다면 쉽고 재미있는 방법으로 접근해 ... ...
Part 2. 감기약 먹었는데 왜 변비가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수 있을 것이다. 또 반복적으로 복용하는 약만이라도 이름과 성분 그리고 나에게 어떤
효과
와 부작용이 있는지 기억해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사람 살리는 약, 사람 잡는 약Part 1. 사전피임약 VS 사후피임약Part 2. 감기약 먹었는데 왜 변비가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참여한 미국 웨스턴미시건대 앨런 폴링 교수는 “위험한 상황에서 로봇보다 개가 훨씬
효과
적”이라며 “개는 스스로 자신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애물이나 위험한 상황에서 스스로 벗어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 오번대 연구팀이 지금도 연구중인 원격 조종 개. 오랜 훈련과 GPS ... ...
태양전지 옷 갈아 입혀 파워 업!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대학교 안에 있는 만큼, IT나 생명공학과 같은 다른 학문 분야와도 융합을 해 시너지
효과
를 낼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다.태양전지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발전 단가를 화석연료보다 낮추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지만 그 노력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 유가가 하루가 다르게 요동치고 상승하는 ... ...
뉴턴의 요람을 흔드는 손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멀리 튕겨 나간다. 내 바둑알과 상대편 바둑알 사이에 다른 바둑알이 있어도 같은
효과
를 볼 수 있다. 예전에 TV에서 개그맨 최양락이 연예인을 대상으로 알까기 대국을 중계하면서 인기를 끌어, 일반인 대상 대회도 열렸다. 알까기의 진정한 재미는 그 속에 숨겨진 과학 원리를 알고 이해할 때 느낄 ... ...
Part 1. 사전피임약 VS 사후피임약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나쁜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응급피임약도 자주 사용하면 부작용이 크다. 피임
효과
도 떨어진다. 약국에서 살 수 있게 됐다고 남용하면 최악의 결과가 벌어진다. 그럼에도 의사 처방없이 약국에서 살 수 있게 한 것은 주말 등 급한 상황에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응급피임약은 응급용인 만큼 ... ...
Part 2. 허파꽈리가 칩속에서 헐떡헐떡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 주인공은 바로 항암제 IL-2다. 이 항암제는 신장암이나 피부암에
효과
가 있지만 부작용으로 폐에 물이 차는 폐부종이 나타난다. 혈관 내 조직이 상하면서 혈액이나 혈청이 허파꽈리로 유입돼 폐에 물이 찬다.연구팀은 우선 허파꽈리 칩에 항암제 IL-2를 투여했을 때 실제 ... ...
의료영상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의료영상공학이란 진단 및 치료에 IT기술을 접목해 신체 이미지를 만들고 분석, 의사들이
효과
적으로 진단, 치료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이다. 장비를 이용해 이미지를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수많은 이미지를 처리해 3차원 영상을 보여주거나 2차원 상의 크기나 길이를 분석하는 것을 모두 ... ...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685nm 파장이 가장 많이 도달한다. 현재 지구의 식물은 여기에 적응해 이 파장의 빛을
효과
적으로 흡수하는 엽록소(클로로필 a와 b)를 지니고 있다.만약 태양이 밝은 푸른 빛을 내는 별이고 생명이 태어날 수 있게 적당히 거리가 떨어져 있다고 하자. 지상에서 가장 많이 측정되는 빛의 파장은 450nm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확인했다.“날치 앞지느러미의 뼛살의 비밀은 항공기가 이착륙할 때 발생하는 지면
효과
(일반적으로 뜨는 힘을 감소시킨다)를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궁극적으로는 날치처럼 바다 속을 헤엄치다가 필요할 때 하늘을 나는 비행체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최해천 교수의 포부다.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