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기
뉴스
"
과하기
"(으)로 총 2,336건 검색되었습니다.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대략 150년 전까지 누구도 효모가 뭔지 몰랐다. 하지만 인류는 효모가 거기 있는 줄도 모른 채 효모에 의지해 살아왔다. 완전한 무지 아래 우리는 효모를 파트너로 삼았다. 효모가 작용하는 메커니즘을 전혀 몰랐기 때문에 발효과정은 기적으로 보였다. - 아담 로저스, ‘프루프’ 천변 산책을 하다 ... ...
“4년제 대학보다 취업 잘되는 전문대 갈래요”
동아일보
l
2015.08.06
[동아일보] 학생 대거 몰린 ‘전문대학 엑스포’ “얼마 전 4년제 대학 입시 박람회에 갔을 때는 대부분이 학부모였는데 오늘 여기(전문대 엑스포)는 학생이 대부분이어서 감동받았어요. 집에 있는 고3 아이에게 전문대 진학을 권할 생각이에요.”(이순덕 씨·53) “학교에 붙어 있던 전문대 엑스포 ... ...
몸속 ‘킬러 세포’의 본능 깨우는 알람은?
2015.08.04
T세포(회색). 보라색은 T세포 표면의 수용체다. - 사이언스 제공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체내 침입자나 암세포 등 비정상세포를 처리하는 세포가 있다. 몸속 ‘킬러’로 불리는 T세포다. T세포는 평소 조용하지만 침입자를 발견하면 공격모드로 변한다. 최근 미국 솔크연구소는 T세포를 공격모드 ... ...
당뇨병 치료제로 타이레놀 부작용 막는다
2015.07.3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타이레놀이라는 제품명으로 유명한 ‘아세트아미노펜’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해열진통제다. 하루 4g 이하의 정량을 먹으면 부작용이 거의 없지만 과다 섭취하거나 술과 함께 먹으면 간 손상을 일으킬 수 있고 심하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 ...
달콤한 소주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07.28
요즘 주점에서는 인생의 애환을 달래는 “캬~” 소리를 듣기 어렵다. 대신 “맛있다”는 감탄사 천지다. 달콤한 과일 소주가 주류 시장을 휩쓸었기 때문. 유행을 선도한 유자맛 소주는 출시 100일 만에 4000만 병이 팔려 나갔다. 전국민이 과일 소주의 매력에 풍덩 빠진 이유는 도대체 무엇일까. “ ... ...
분단 70년, 과학 용어 비교..."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15.07.28
'신상선에 병이 생기면 한선에서 땀이 많이 난다’ , ‘회리치는 물의 에네르기는 코시누스 모양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북한의 과학 교과서에 나올 법한 문장을 가상한 것이다. 보다시피 웬만큼 과학을 안다는 사람에게도 ‘외계어’ 수준이다. 남북이 분단 70년 만에 이렇게 많은 차이를 가지게 ... ...
부작용 없는 임플란트 재료 나온다
2015.07.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한국 연구진이 이끄는 국제 공동 연구진이 생체이식에 사용되는 생체재료에 미세한 구멍을 뚫어 재료의 체내 증식을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인공 수정체나 혈관 스텐트 수술 후 세포의 과다증식으로 인해 생기는 부작용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호정 ... ...
너는 내 운명, …일까?
과학동아
l
2015.07.21
로맨스를 찾아 헤매는 소년의 세 번째 이야기입니다. 혹시 그동안 소년에게 좋은 일이 일어났나 궁금해하는 분이 있을지 모르겠군요.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아직’입니다. 너무 조급하게 굴지 마세요. 소년이 열린 마음으로 차분하게 기다린다고 얘기한 게 바로 지난 호예요. 얼마 되지 않았답니 ... ...
뇌과학으로 분석한 영화 ‘인사이드 아웃’
2015.07.17
11세 소녀 라일리의 머릿속에 사는 5가지 감정 ‘기쁨’ ‘슬픔’ ‘버럭’ ‘까칠’ ‘소심’. 이들은 ‘감정 컨트롤 본부’에서 일하며 라일리와 동고동락한다. 어느 날 감정 컨트롤 본부에서 일어난 사고로 기쁨과 슬픔이 라일리의 기억과 잠재의식의 미로에 갇히고, 라일리는 하루아침에 밝고 ... ...
맨손으로 뗄 수 있는 ‘그래핀 스티커’ 개발
2015.07.15
감마알루미늄 기판 위에 성장시킨 그래핀(위)과 그래핀 스티커를 떼어내 가위로 자르고 있는 모습(아래). - 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맨손으로 떼어내는 방식으로 간단히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을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송용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차세대반도체연구소 책임연구원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