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0,4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력거래소 탐방 블랙아웃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208
- 만든 프로그램에 앞서 말한 계절, 날씨, 시간 등을 집어 넣으면 전기를 얼마나 사용할지가 나오는 거죠. 물론 이 프로그램에 모두 의존하지는 않고, 오랫동안 쌓인 사람의 경험을 더해 내일 쓸 전기를 예측한다고 합니다. 전기를 쓰기 위해서 수학과 통계가 꼭 필요하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 ...
- PART 3. “힉스 입자가 질량을 준다는 말은 잘못”과학동아 l201208
- 입자들에게 질량을 주는 현상은 ‘힉스 메커니즘’이다. 이는 힉스 입자와는 분리해 사용해야 하는 용어다. 힉스라는 사람 이름(피터 힉스)이 공통으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혼동하고 있을 뿐이다. 차차 자세하게 얘기하겠지만 힉스는 모든 입자에 질량을 주는 과정(힉스 메커니즘)에서 함께 생겨나는 ... ...
- PART 1. 한국이 금메달 따는 날과학동아 l201208
- 가장 먼저 경기를 치르는 남자 58kg급 신예 이대훈 선수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전자호구 사용에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특히 이대훈 선수는 주체급이었던 63kg급에서 58kg 급으로 체급을 낮춰, 약한 타격으로도 유효득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태권도 국가대표팀의 심리치료를 맡고 있는 ... ...
- 조력발전,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과학동아 l201208
- 6개월 만에 전기생산량 1억 kWh(킬로와트시)를 넘어섰다고 한다. 1억 kWh는 10만 명이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발전시설 용량은 254MW로 이곳 발전소에서 나오는 전기는 큰 도시 하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초기 개발비용이 높지만 전력생산 단가는 가장 저렴한 원자력발전 단가보다 낮은 ... ...
- 자이로드롭의 위대한 자연법칙과학동아 l201208
-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에 자이로드롭에 이런 브레이크 장치가 없었더라면, 분명 전기를 사용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너무나 많은 전기가 소모되고 또한 쉽게 망가질 수 있으므로 불의의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경우가 너무 많다. 오히려 이런 장치를 이용하는 게 매우 안전하다. 또한 이런 ... ...
- 극한광으로 보는 나노세계과학동아 l201208
- 이 시간이면 세포 소기관이 채 폭발하기도 전입니다.”노 센터장의 설명 속에서 CELA가 사용하는 빛이 극한광이어야 하는 이유를 또 다시 찾을 수 있었다. 10펨토초 정도의 짧은 시간만으로 충분한 회절 신호를 얻을 수 있을 만큼 X선이 고출력이어야 하기 때문이다.[X선 회절로 얻은 정보를 컴퓨터 ... ...
- 플라스틱, 제대로 알고 버리기과학동아 l201208
- 완전한 해결책이라고 할 수 없다. 가장 좋은 방법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일회용 용기사용을 줄이고 포장을 간소화하는 등 현실적인 방법이 자연을 살리는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 ...
- 정글의 법칙 수학으로 파도타기!수학동아 l201208
- 물을 표현한 장면과 장면을 연결하는 세밀한 수작업은 필수죠.그런데 미분방정식을 사용하면, 자연스러운 파도의 움직임을 한결 간단하게 그려낼 수 있어요. 미분방정식이란, 각 함수의 기울기를 미지수로 갖는 방정식을 말해요. 파도를 더욱 사실적으로 그리려면 실제 파도 표면을 분석해야 ... ...
- [정보] 여름 방학, 도형을 정복하라!수학동아 l201208
- 키워라!수학과 사랑에 빠지면 학교에서 배우는 모든 단원은 ‘실생활’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알게 됩니다. 수학적 의사소통이란 ‘일반적인 문장’을 ‘수학적인 문장’, 다시 말해 ‘식’으로 바꿔 말하는 것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문장제 문제’를 풀기 힘들어 하는 이유는, 바로 이 ... ...
- 뇌에 상처를 주는 욕어린이과학동아 l201208
- 세상에! 교실에서 입에 담기도 힘든 거친 욕들이 마구 흘러 나오고 있어! 개XX, 새○○○, 돼지△△, 아무렇지도 않은 표정으로 저렇게 험한 욕을 하다니…, 가만, 그러고 보니 ... 그대로 드러낸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항상 따듯하고 사랑 넘치는 언어를 사용하기 바라요~ ... ...
이전204205206207208209210211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