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자인
계획
구상
입안
착상
도안
건설
d라이브러리
"
설계
"(으)로 총 3,55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일주 단독 비행 이륙 준비 끝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러턴은 지난 1986년 2명의 조종사를 태우고 최초로 무착륙 세계 일주에 성공한 보이저호의
설계
자이자 작년 말 발사에 성공한 최초의 민간우주선 스페이스십원의 개발자. 조종사 스티브 포세트는 무착륙 단독 세계일주에 성공한 첫 번째 조종사로 기록될 전망이다. 보이저호가 지구를 한바퀴 도는데 ... ...
풍력, 제2의 벤처 바람 몰고 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보통 유럽에서 사용되는 풍력발전기는 연평균 풍속이 5~6m/s정도일 때 경제성이 있도록
설계
됐다. 아직까지 풍력발전기를 전적으로 해외에서 수입하기 때문에 영덕풍력단지처럼 연평균 풍속이 6.8~7m/s 정도인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다. 하지만 영덕이나 대관령, 제주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은 ... ...
효소 이용해 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수 있다.“최근에는 이런 방법을 통해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를
설계
하는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방법이 성공하면 머지않아 화학공장이 사라질 것입니다.”온화한 상태에서 정밀하게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를 통해 각종 의약품과 원료가 생산되는 것이다.“먼 미래의 ... ...
3. 진화론 알아야 세상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질병이 일어나는 원인을 분자수준에서 규명해 그 과정을 차단하거나 변경하는 약물을
설계
하는 방법이다. 마치 자물쇠의 구조를 밝힌 뒤 거기에 맞는 열쇠를 깎는 것과 같다.그런데 최근 진화의 방식이 신약 개발에도 도입되고 있다. 다양한 구조의 분자단위들을 임의적으로 조합해 좀더 복잡한 ... ...
지구온난화로 최근 10년 가장 더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망원경이라 불리는 시야가 넓은 광학계(光學系)를 발명했다 그는 통신기사·사진기사·
설계
기사 등으로 일하면서 천문학과 광학을 독학하고 경혐을 쌓았다1916~ 스웨덴의 생화학자 스톡홀름 태생 1938년 런던에 유학한 후 뉴욕의 컬럼비아 대학, 스위스의 바젤 대학에서 연구를 계속했다 47년 스웨덴 ... ...
BMW 속도 무제한의 비결은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설계
할 수 있도록 만든 최적의 공간”이라고 밝혔다. 안쪽의 원통형 건물에서 자동차를
설계
하고 조립하는 과정을 바깥쪽 건물에서 보다가 아이디어가 있으면 바로 달려가 얘기할 수 있다는 뜻이다. 건물 구조는 조직간의 긴밀한 협력과 최고의 효율을 추구한다는 철학을 담고 있는 것이다.이 ... ...
컴퓨터 그물망이 지능을 창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전자상거래에서 접속자 폭주로 서버 시스템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해결하는 시스템
설계
등 네트워크컴퓨팅에 관련된 여러 가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가 새로운 분야를개척하거나 현재 시스템으로는 해결이 어려운 문제를 돌파하는 것이므로 연구자들의 창의성이 무엇보다도 ... ...
밤하늘에 새긴 화려한 색깔, 불꽃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1호
도화선의 길이를 조절했기 때문이지요. 결국 연화의 모양과 도화선의 길이를 다양하게
설계
해서 화려한 모양의 불꽃을 만들어 낸답니다.또 다른 불꽃 상식 한 가지. 연화 속에 들어 있는 작은 화약덩어리의 이름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밤하늘을 예쁘게 수놓는다고 해서인지, 이름을 ‘별’이라고 ... ...
500층에 도전하는 초고층 빌딩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고층 건물을 여러 건물이 연합하는 형태로 만드는 방식이
설계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쌍둥이 빌딩을 만든 뒤 중간중간 다리를 놓아 한쪽 건물에서 문제가 일어나면 다른 건물로 대피하는 방식이다. 일본에서 구상한 에어로폴리스2001도 4개의 건물이 연합한 형태다.초고층 ... ...
나노분자로 테라급 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박사과정 7명, 석사과정 4명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정 교수는 “우리 학생들은 분자를
설계
해 합성하는 연구부터 나노구조물을 만들어 조작하는 연구, 광전자소자와 바이오칩을 개발하는 연구 등 기초와 응용기술이 다양하게 필요한 분야의 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한편 정 교수는“아직도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