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기자신
자기
d라이브러리
"
스스로
"(으)로 총 3,99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여름스포츠의 매력 속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넓은 스키 판이 앞뒤로 기울지 않게 지탱해 주고, 물체를 떠받치는 부력과 물 표면이
스스로
수축하며 생기는 표면장력이 있기 때문에 쉽게 서 있을 수 있답니다. 게다가 모터보트가 시속 24㎞가 넘는 속도로 끌어당기면 몸이 뒤로 쏠리는 관성력이 생겨서 균형만 잘 잡으면 좌우로 넘어지지 않아요 ... ...
전기가 흐르는 누드김밥?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박찬범 교수팀은 두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펩타이드 수만 개가
스스로
조립하게 해 머리카락 굵기의 1000분의 1정도로 가는 나노선을 만들었답니다. 여기에 전기가 잘 흐르는 고분자 물질인‘폴리아닐린’을 코팅해 나노전선을 만들었지요. 그리고 가운데에 있는 펩타이드를 제거해 ... ...
포장이 과학을 만났을 때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과자 봉지도 정말 놀랍지? 게다가 이제 포장은 단순히 산소를 막는 데만 그치지 않아.
스스로
산소를 흡수하거나 항균 물질을 내뿜는 등 적극적으로 첨단과학을 활용하고 있단다.미생물을 막아라!신선한 식품이라면 균이 번식하지 않는 청결함이 기본! 그래서 식품을 포장할 때는 미생물을 차단하는 ... ...
달나라 탐험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거리의 차가 일정한 점들을 쭉 이어도 쌍곡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쌍곡선의 두 곡선은
스스로
대칭일 뿐만 아니라 서로 대칭이기도 합니다.모험가들이 대포알의 궤적으로 놓고 고민하는 이유는 포물선이나 쌍곡선이 모두 무한히 뻗어나가기 때문입니다. 대포알이 끝도 없이 뻗어 나갈 수 있기 ... ...
“북한과의 과학기술 교류, 모험연구 장려 앞장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아이디어, 발견과 수단 등을 모두 포함한다.그는 “연구자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스스로
창의력을 발휘해 모험연구에 마음껏 도전하다 보면 훌륭한 연구성과가 나올 것”이라며 “이런 흐름이 노벨상 수상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노벨상 자체가 연구의 목적이 될 수는 ... ...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따르면 지구는 생물과 무생물, 대기와 바다, 흙과 흙 아래의 암석이 상호작용하면서
스스로
진화하는 하나의 유기체다. 그는 이 이론을 가리켜 대지의 여신의 이름을 빌려와 ‘가이아 이론’이라 불렀다. 오늘날 러브록의 가이아 이론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엄청난 규모의 정보를 처리하는 ... ...
사막이라도 괜찮아~! 낙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다른 포유동물들은 기온이 올라가면 체온 조절을 하기 위해 땀을 흘리지만, 낙타는
스스로
체온을 조절하기 때문에 아무리 더워도 땀을 흘리지 않는답니다. 땀을 흘리지 않으니 그만큼 몸 속에 수분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겠지요? 비결3사람들과 함께 살아요~!내가 사막에서 살 수 있는 세 번째 ... ...
Part 2. 통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사람 중에 여자보다 남자가 많은 것도 남자가 수학을 잘 해서라고만 볼 수 없어. 남자는
스스로
참가하려고 하지만 여자는 선생님의 추천이나 권유가 있을 때 참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야. 전통적인 성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도 여자를 소극적으로 만들지.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여자에겐 ... ...
[인터뷰] 333법칙으로 공신이 되자!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마지막으로 수학동아 독자들의 어머니에게 한마디 하고 싶다고 했다.“수학공부는 아이
스스로
하는 것입니다. 엄마는 아이가 수학공부를 할 수 있도록 매니저의 역할을 해 주면 됩니다. 항상 아이의 눈높이에서 생각하고 칭찬을 많이 해 주세요. 앞에서도 말했지만 수학공부의 반은 자신감입니다. ... ...
분자로 비휘발성메모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촘촘히 박혀 마치 모내기 철 논에서 볼 수 있는 모판과 같은 형상이 된다. 분자들이
스스로
모여(자기조립) 분자 하나 두께로 금 표면을 덮고 있으므로 이를‘단분자막’이라고 부른다.메모리 소자를 만들려면 단분자막의 반대 면에 또 다른 전극을 붙여야 한다. 전극 사이에 전압을 걸어줘야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