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목성 위성 유로파도 ‘판구조론’ 따른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사라지는 현상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 부분이 오래된 지각으로, 바로 이웃한 얼음 지각 아래로 들어가 사라졌다고 해석했다. 사라진 지각은 녹아 마치 차가운 용암처럼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런 결과를 종합해, 연구팀은 유로파가 지구와 비슷한 판구조론을 따르는 태양계 유일한 천체라고 결론 ... ...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서먹하다).244m 상공에 위치한 더 샤드의 전망대에서 런던 시가지를 굽어보며, 바로 몇 층 아래의 사무실에서 일하고 있을 미지의 런던인들을 생각했다. 그들과 기자 사이에, 과연 어떤 창조적인 관련성이 생겨날 수 있었을까 ... ...
- [hot science] 충격! 화성에도 과학동아 독자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큐리오시티가 보내온 사진을 하나씩 보던 중이었습니다. 그런데 탐사선이 파낸 흙 아래로 슬쩍 보이는 그것…, 그것은 바로 과학동아였습니다! 이럴 수가, 이건 화성에 과학동아의 애독자가 있다는 강력한 증거……는 무슨 증거입니까. 당연히 거짓말입니다. 이번에 할 이야기가 화성 음모론인지라 ...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마찬가지다. 여성은 보다 ‘남성 적인 얼굴’, 즉 눈두덩이 크고 광대뼈가 나왔으며, 아래턱이 더 길고 넓으며 좌우가 대칭적인 얼굴을 매력적이라고 생각한다. 특이한 것은 광대뼈와 턱 이다. 남녀 모두 광대뼈와 턱이 발달한 사람을 매력적으로 꼽았는데, 현대 사회에서는 오히려 ‘광대뼈 ... ...
- [2030 인류, 화성에 가다] 화성 올림픽 폐막 파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화성에서도 올림픽을 열자’는 주장이 나왔다. 당연히 지구로 전부 중계된다는 전제 아래에서였다. 우주 시대의 도래를 알리는 이벤트이자, 동시에 각국의 우주 기술 수준을 전세계인 앞에 선보일 기회라는 의도에서였다. 처음엔 안전 등을 이유로 회의적인 시선이 더 많았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 ...
- 산대와 x로 알아본 동서양의 방정식수학동아 l2014년 09호
- x³+453x²+6581x-5213124=0이란 계수가 복잡한 3차 방정식이다. 자연수 해는 63인데, 풀이 방법은 아래와 같다. 해를 구하는 방법은 처음에 대략 해가 될 것 같은 수를 추측해 상수항의 값을 본 다음, 적절하게 더하고 빼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오늘날의 고차방정식의 정수해를 구할 때 쓰는 ... ...
- 100m달리기 10초벽 깨려면 큰허리근 키우고 중력을 역이용하라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선수보다 점점 빨리 달렸기 때문이다. 100m를 10m씩 나눠 분석하면 뚜렷하게 드러난다(아래 그래픽 참고). 10m까지는 우리 선수가 볼트보다 빠르다. 하지만 20m를 지나면서 상황이 달라진다. 10~20m 사이에서 볼트는 무려 속도를 180% 끌어올렸다. 50~60m 구간에서는 평균 초속 12.2m라는 엄청난 속도에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연산인 ‘123+456’을 처리한다고 가정하자. 백의 자리부터 연산을 시작하는 컴퓨터는 아래 10진법 덧셈표 100가지 경우 중에서 답을 찾은 뒤, 이를 다시 자릿수에 맡게 처리해야 한다. 하지만 같은 연산을 2진법으로 나타내면 ‘1111011$_{(2)}$+111001000$_{(2)}$’로, 2진법 덧셈표 4가지 중에서 찾아 간단히 ... ...
- 필즈상, 금녀의 벽을 허물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금녀의 벽을 깬 수상자, 변방 출신의 수학자마리암 미르자카니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37, 아래 사진)는 필즈상 분야에서 금녀의 벽을 허문 첫 수상자가 됐다. 이란 출신의 미국 수학자인 그는 이슬람권 여성 수학자 중 처음으로 세계수학자대회 기조강연자로 초청받기도 했다. 그는 “수학을 잘하는 ... ...
- 명량, 이순신 그리고 란체스터 법칙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전장에서 정면으로 충돌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쪽이 숨어 있다가 기습하거나 성벽 위아래에서 싸우는 공성전에서는 이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전제가 성립되지 않는 방향으로 전투를 이끌면 수적 약세를 보완하거나 심지어 뒤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아군 병력은 모으고 적의 병력은 ... ...
이전204205206207208209210211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