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긴
d라이브러리
"
오래
"(으)로 총 3,670건 검색되었습니다.
모자이크로 붙인 카시오페아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1등성 레굴루스까지 모습을 드러내면 ‘출석’이 끝난다.안타깝게도 이 모습은
오래
볼 수 없다. 밤 10시쯤 되면 화성부터 하나둘씩 서쪽 지평선 아래로 넘어가 그들만의 ‘2차 모임’(?)을 갖는다.6월 20일 달과 목성 함께 떠올라초저녁 서쪽 하늘을 토성과 화성이 장식한다면 동쪽 하늘은 목성이 -2.7 ... ...
한국인 최초 개인 게놈 해독 눈앞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분석) 기술의 역할이 컸다. DNA 정보량이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판독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자연히 비용은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결국 문제는 비용이다. 더 싸게, 더 빨리 시퀀싱하는 기술이 개인 유전체학 발전에 필수인 셈.2006년 미국의 X-프라이즈 재단은 100명의 인간 게놈을 10일 안에 한 ... ...
PART2 우리는 누구나 시인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바라보는 시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그러나 1살짜리 아이는 두세 달 된 아기처럼 공을 더
오래
봤다. 물건을 만져서 모양을 추측하는 능력을 획득했기 때문이다. 한편 두세 달 된 아기는 아직 감각이 융합돼 있기 때문에 촉각으로도 시각 정보를 얻는다고 연구자들은 해석했다. 생후 6개월 된 아기는 ... ...
걸리버 여행기 과학으로 들여다보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동물의 수명은 뇌의 크기와 비례하고 이것이 인간이 비슷한 크기의 다른 동물보다
오래
사는 이유라는 식이다.존 타일러 보너미국 프린스턴대 생태 및 진화 생물학 명예 교수. 크기와 모양은 아주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는 통찰을 한 뒤 생물의 크기에 대해 광범위한 자료를 조사해 이 책을 썼다. ...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이용해 원뿔 모양의 인디언텐트를 짓기로 했어요. 조난 상황이 길어질 경우를 대비해 더
오래
머무를 수 있는 거처를 마련하기로 한 거죠.길이가 3m쯤 되는 나무 몇 그루를 베어와 텐트의 뼈대를 세우고 주변을 낙하산으로 감쌌어요. 몇 시간 뒤 텐트는 대충 모양을 갖춘 듯 했어요. 하지만 텐트 안에 ... ...
PART2 우주에 떨친 알파우먼 파워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ISS 최초 여성 선장을 비롯해 우주에서 가장
오래
머문 여성우주인 기록(376일)과 가장
오래
우주유영을 한 여성우주인 기록(40시간)도 갖고 있다. 이 씨는 윗슨이 ‘익스퍼디션’ 16의 선장으로 2007년 10월 소유스 우주선을 타고 ISS에 가기 전까지 가가린 우주센터에서 그와 함께 생활했다. 다른 나라 ... ...
PART1. 공부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❸이마엽에서 잠깐 머물러 있던 기억을 계속 외우고 또 외우면 다른 곳으로 전달돼.
오래
기억될 것들은 다른 곳에 따로 모아두어야 하거든. 이러한 기억을 장기기억이라고 하는데, 보통 관자엽에 저장돼. 하지만 실제로 기억은 기억의 종류와 내용에 따라 뇌의 여러 군데에 나눠서 저장된단다 ... ...
우울증 약 프로작, 시력회복에도 좋아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전망이다.프로작의 주성분인 플루옥세틴은 뇌에서 세로토닌 같은 기분 조절 호르몬이
오래
잔류하게 해 우울증을 호전한다고 알려져 있었는데, 이번에 이 물질이 시력을 강화하는 핵심 성분으로 드러난 것. 이탈리아의 스쿠올라 노르말리 슈페리어대의 레르난도 베텐코트 교수는 플루옥세틴이 뇌 ... ...
만능종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2006년 종이어항을 선보였다. 종이가 전혀 물에 젖지 않도록 방수처리를 한 것. 시간이
오래
지나도 방수성에는 전혀 영향이 없다. 습자지처럼 투명한 종이로 어항을 만든다면 유리어항이 곧‘왕좌’를 내줘야 할지도 모른다.무한 재사용 종이인쇄된 종이를 프린터에 넣고 다시 인쇄하면 이전 내용은 ... ...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밥과 된장국, 김치, 홍삼차를 포함한 한국음식 10가지.한국 우주음식은 ISS에서
오래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먹음직스러운 형태와 맛을 유지하도록 개발됐다. 우주밥은 고온살균과 무균포장으로 수분을 65% 함유했다. 김치는 고유의 맛과 씹는 느낌을 주면서도 국물이 흐르지 않도록 캔 안에 흡수패드를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