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모
경비
소각
비용
사용
이용
지출
뉴스
"
소비
"(으)로 총 2,389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룹 ‘클론’ 출신 구준엽, 아이폰 분해하는 까닭은
2015.08.21
누구나 어릴 적에는 무언가 만들기는 좋아하는 메이커였으면서도 어른이 되면 수동적인
소비
자가 되고 창의력도 잃어버리곤 한다”며 “메이커들이 정보와 네트워크를 공유하며 메이커 문화를 확산시키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를 시작으로 10월에는 ... ...
[신나는 공부]쇳물부터 자동차까지… ‘자동차 기술로드’를 달리다
동아일보
l
2015.08.18
내연기관 자동차, 전기자동차 등 다양한 자동차가 함께 존재할 겁니다. 미래 에너지
소비
량을 줄이고 고령화 사회에 대비할 수 있는 자동차를 원하기 때문이죠.”(최웅철 국민대 자동차공학과 학과장) 기술대장정 첫 프로그램은 10일 국민대에서 시작됐다. 국민대 자동차공학과를 방문한 학생들은 ...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
2015.08.10
악화는 인간성과 윤리성의 퇴화와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며 지금의 위기가 자본주의와
소비
주의의 만연에서 비롯된 것이며 따라서 서구사회가 더 큰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즉 자본의 관점에서는 많은 후진국들이 선진국에 빚을 지고 있지만, 교황이 보기에는 선진국들이 오히려 후진국에 ... ...
전기요금 10분의 1로 낮춘 신개념 3D TV 나온다
2015.08.09
제품수명을 떨어뜨리는 원인으로도 지목됐다. 송 교수팀은 구동전압을 10V로 낮춰 전력
소비
와 전자기기의 수명 두 가지 문제를 해결했다. 연구팀이 만든 필름의 전자현미경 사진. 연구팀은 무질서하게 액정이 배열돼있는 등방성 상태(왼쪽 원)와 규칙적으로 배열된 네마틱 상태(오른쪽 원)가 ... ...
[GMO 르포] 美 듀폰 파이오니어, 몬샌토 연구센터 가 보니
2015.08.07
전혀 쓰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2050년에는 세계 인구가 96억 명에 육박하고 육류
소비
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원료인 농산물을 현재 생산량의 2배 이상 늘려야 한다는 분석도 있다. 플린트 부사장은 “작물의 생산량을 증대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 GM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 ... ...
커피 찌꺼기로 전기 만든다
2015.08.06
제공 커피를
소비
하는 인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국내 연간 커피
소비
량은 12만t, 세계
소비
량은 880만t에 이르는 만큼 커피를 내리고 남은 폐 커피분말의 양도 어마어마하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폐 커피분말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커피찌꺼기가 나오는 가정이나 카페에서 ... ...
과학과 요리의 만남, 분자요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7.30
한 말씀 부탁드려요. 요리사는 요리만 하는 사람이 아니에요. 영양까지 고려해
소비
자에게 요리를 제공하는 일이지요. 이런 일을 하기 위해선 ‘공부’가 자격요건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요리사가 되고 싶은 친구들은 다양하게 공부해야 해요. 지금은 학교 공부부터 열심히 해야 하겠죠? ... ...
달콤한 소주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07.28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둘만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건 의미가 없죠. 가장 중요한 것은
소비
자들이 새로운 맛에 얼마나 만족하느냐입니다. 제품 개발 단계에서 20종류 이상의 과실주를 시음하고 선별했습니다. 제품 개발이 한창일 때는 아침부터 저녁까지 입안에서 유자 향이 가신 적이 없을 ... ...
인공피부용 재료, 레이저로 간단히 제작
2015.07.19
17일 밝혔다. 나노와이어를 활용한 센서는 기존의 다른 센서에 비해 크기가 극히 작고
소비
전력이 적으며, 미세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공기 중 특정 화학물질 등 다양한 성분을 검출할 수 있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나노와이어 기반 소자의 까다로운 제작 공정이 상용화의 ... ...
종이 판다 아닌 야생 판다가 풀밭에 있다면?
2015.07.12
관련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원래 육식동물인 판다가 대나무를 먹고 살면서 에너지
소비
를 줄였다는 것이다. 신체 활동을 거의 하지 않으면서 주요 장기의 크기도 줄인 것이다. 연구팀은 갑상선호르몬에도 초점을 맞춰 판다의 낮은 에너지 대사 원인을 설명했다. 갑상선호르몬은 대사를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