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1건 검색되었습니다.
'1400도 불 뿜어도 반대쪽은 멀쩡' 초강력 단열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5
열과 충격에는 강한 새로운 형태의 단열재료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4
일자
에 발표했다. 단열재는 보통 내부에 미세한 공간을 많이 만드는 방법으로 열과 충격을 막는다. 스펀지나 스티로폼 등이 대표적이다. 이런 특성을 최대화해, 내부 공간을 아주 작게 만든 재료를 ... ...
“이유 없이 ‘콕콕’ 만성통증, 10년 연구 끝에 원인 찾았죠”
동아사이언스
l
2019.02.15
이용해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동물실험으로 밝혀 국제학술지 ‘셀’ 1월 31
일자
에 발표했다. 그는 “동료인 앨릭스 데이비스 영국 옥스퍼드대 의대 연구원(당시 오 교수 연구실 박사후연구원)과 2008년부터 시작한 연구이니 10년이 넘었다”며 “결과가 좋아 다행이지만, 통증은 의학의 ... ...
머릿속 공포기억, 시각자극으로 지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4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동물실험을 통해 규명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온라인판 14
일자
에 소개했다. 현재 사용되는 트라우마를 치료하는 방법 중 하나는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EMDR)’이다. 공포기억을 떠올리고 있는 환자에게 외부 자극을 줘 눈동자를 좌우로 움직이게 해 ... ...
탈모 치료할 모유두세포 대량 배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방법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영국피부학회지'에 1월 31
일자
에도 소개됐다. 오래전부터 학계에서는 탈모를 치료하기 위해 모유두세포에 주목했다. 하지만 이 세포를 탈모 치료의 원료로 사용하기에는 몇 가지 어려움이 있었다. 두피로부터 모유두세포만 ... ...
부부 과학자, 비브리오균의 생존전략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환경 변화에 적응한다는 사실을 알아내 국제학술지 ‘네이처 마이크로바이올로지’ 4
일자
에 발표했다. rRNA는 단백질을 만드는 세포소기관인 리보솜을 구성하는 RNA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각 생명체마다 가장 적합하게 진화한 한 가지 종류의 rRNA를 갖고 있다는 것이 정설이다. 생명체를 ... ...
손이 사포와 실크 구별하는 비결은 ‘뉴런 패턴’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질감을 미세하게 구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월 4
일자
에 발표했다. 촉각정보는 피부와 신경계를 거쳐 대뇌에서 인지된다. 시카고대 유기체생물학및해부학과 슬리맨 벤스마이아 교수팀은 서로 다른 질감을 느낄 때 뇌에서 각각 어떤 뉴런들이 활성화하는지 ... ...
'먹이 찾아 17㎝' 최초의 다세포 생물 21억년 전 첫걸음 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생물이 움직인 흔적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1
일자
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가봉 남동부 지역의 21억 년 전 지층에서 긴 실 모양의 황화철 구조를 80여 개 발견했다. 이 구조는 굵기가 최대 0.6㎝, 길이가 최대 17㎝였으며, 구부러지거나 꼬인 모양 등 형태가 다양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엄밀하게 말하면 촉각의 도움을 받았다. Alex Jordan 제공 학술지 ‘플로스 생물학’ 2월 7
일자
에는 청줄청소놀래기(Labroides dimidiatus)가 원숭이 수준의 자기인식 능력이 있음을 거울 마크 테스트로 입증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어류는 포유류보다 머리가 한참 떨어지는 척추동물로 여겨지고 앞서 ... ...
韓美연구진, 신 총장 논란 X선 현미경 활용해 ‘블로흐 점’ 최초 관측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그 움직임을 관측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해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5
일자
에 발표했다.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기록될 수 있다. 자기장을 이용하는 경우 N극 또는 S극을 이용해 0 또는 1의 디지털 정보를 기록한다. 위상 스핀 구조체에서는 스핀의 구조가 정보를 저장하는 단위가 된다. ... ...
금속이온 자리 교체로 연료전지 성능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하는 원리다.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9
일자
(현지시간)에 게재됐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은 주로 세라믹스와 금속의 합금인 ‘니켓 서멧’ 소재로 만들어졌다. 이 물질은 연료와 산소의 반응을 촉진하는 능력이 좋지만 탄화수소를 연료로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