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조"(으)로 총 7,34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규조류가 남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쓴다. 하지만 규조류라고 무적은 아니다. 강산에 미세구조가 파괴돼 종을 구분하기 어려워지고, 수도 대폭 줄어든다.이 방법이 문제인 까닭은 플랑크톤의 종이 수중시체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플랑크톤은 수심과 지역, 계절에 따라 우점종이 달라진다.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있는 합금 구조물이다. 꼭대기에는 강력한 신호를 보내는 일종의 송신부가 있다. 지상 구조물은 송신부를 포함한 길다란 탑과, 넓은 원형 건물로 이뤄져 있다. 건물에는 네 개의 입구가 있다. 지상을 이동하는 교통 기관이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입구의 크기가 등대 주인을 짐작하는 첫 번째 단서가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데이터를 수집한다. 주변 소음을 최대한 차단하기 위해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구조로 설계되고, 남극이나 사막 같은 오지에서 관측을 하기도 한다. 초저주파 관측은 비교적 최근에 나온 관측법으로, 북한의 3차 핵실험 때 처음으로 실전에 투입됐다. 2013년 3차 핵실험 당시 실험 지점으로부터 120 ... ...
- [Tech & Fun] Inspired by human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사람의 몸은 언제나 공학자에게 아름다운 영감을 준다. 그렇게 해서 탄생한 인간의 몸을 대체할 기기와, 반대로 인간의 몸을 외부로 옮긴 기기를 소개한다.기 ... 맛 등을 분석해 서로 다른 23가지 화이트 와인을 구별하는 데 성공했다. 미각수용체의 구조를 본 따 만든 화학물질을 이용했다 ... ...
-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있고, 2014년에는 스스로 개발한 기법을 응용해 단백질보다 크기가 큰 박테리아의 구조를 X선으로 관찰했다.김 교수는 “새로운 분야를 연구하다보니 안정적이지 못하고 학회를 가도 같은 주제로 얘기할 사람이 없어 외롭지만,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연구한다는 사실이 즐겁고 자부심도 ... ...
- [재미] 수학 소설 수학동아 l2016년 02호
- 형태가 유사하게 반복돼. 물론 완전히 똑같지는 않지만. 이렇게 비슷한 형태가 반복되는 구조는 모두 프랙탈로 볼 수 있어.”“그럼 번개도 프랙탈로 볼 수 있겠네요. 번개는 큰 줄기를 기준으로 옆으로 가지를 치며 나타나는데 전체적인 형태를 보면 비슷한 모양으로 가지를 치고 나가잖아요. ... ...
- [News & Issue]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더불어, 황이 대기 중에서 어떻게 이동해 황산 구름을 만들어내는지를 파악해 황 순환 구조를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존재할 것이라고 추정은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눈으로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는 금성의 번개도 있다. 번개는 존재 자체로도 의미가 있지만, 금성의 구름 형성에 미치는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이야기다. 실제로 포신형폭탄은 폭발 직전에 화약을 터뜨려 두 덩이를 합친다. 별도의 구조가 필요 없기 때문에 설계가 아주 쉽고 실패할 확률도 매우 낮다.우라늄 폭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라늄-235가 90% 이상인 고농축 우라늄이 필요하다. 하지만 자연계에 존재하는 우라늄의 99% 이상은 우라늄-23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비슷한 삼각형으로 나타냈어요. 그 다음 블록을 쌓듯 삼각형을 차례차례 포개 블록의 구조를 표현했어요. 눈에 보이는 블록면을 나타내는 삼각형이 앞으로 나오게 포개면 돼요. 만약 블록끼리 붙어있지 않더라도 보는 방향에 따라 다른 블록에 가려진 블록이 있다면 이 부분 역시 삼각형을 포개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모두 못이나 접착제를 쓰지 않고 나무 조각을 연결합니다.네 번째 관문은 공명쇄의 구조와 공명쇄를 조립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공포가 어떻게 연결됐는지 배울 수 있습니다. 이번 관문을 통과하면 조선의 제 25대 임금인 철종의 초상화를 만날 수 있습니다.이제 ... ...
이전205206207208209210211212213 다음